日도 '금융소득과세' 시끌…자민당 총재선거 쟁점으로 부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7일 선거 앞두고 주요후보 이견
이시바 '찬성' 고이즈미 '반대'
이시바 '찬성' 고이즈미 '반대'
![이시바 시게루](https://img.hankyung.com/photo/202409/AA.37900895.1.jpg)
4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고이즈미 전 환경상은 전날 기자들을 만나 “금융소득 과세를 논의할 시기가 아니다”고 밝혔다. 저축에서 투자로 이어지는 흐름을 막으면 안 된다는 인식이다.
![고이즈미 신지로](https://img.hankyung.com/photo/202409/AA.37900834.1.jpg)
고노 디지털상도 지난 3일 기자들과 만나 “재분배를 강화해야 할 부분이 있지만 적어도 지금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 일본에서는 어떻게 투자를 촉진할 것인가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금융소득 과세 강화를 둘러싼 논란의 발단은 2일 한 방송에 나와 과세 강화 의지를 보인 이시바 전 간사장의 발언이다. 앞서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2021년 총재 선거에서 금융소득 과세 재검토를 공약에 넣었지만, 취임 후엔 “당분간 손댈 생각이 없다”고 보류했다. 이시바 전 간사장은 이에 대해 “후퇴한 느낌이 있다”며 “부자들이 해외로 나간다는 이유로 (주장을) 억눌렀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이시바 전 간사장은 3일 각 후보의 반응을 고려해 국회에서 자신의 발언에 대한 진의를 해명했다. 그는 “NISA 등으로 소득을 올리는 사람들에게 과세를 강화하는 것은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일본의 금융소득 세율은 일률 20%(소득세 15%, 주민세 5%)다. 소득이 높을수록 세율이 높아지는 누진제가 아니다. 전체 소득에서 금융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유층일수록 세 부담률이 낮아지는 구조다. 연간 소득 1억엔을 경계로 소득이 높을수록 세 부담률이 낮아지는 ‘1억엔의 벽’이 문제로 지적돼 왔다.
도쿄=김일규 특파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