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위기 확 달라졌다…서울 외곽으로 번지는 '경매 훈풍'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8일 경·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경매 낙찰가율은 전월(93.7%)보다 1.8%포인트 오른 95.5%를 기록했다. 2022년 7월(96.6%) 후 95%를 돌파한 것은 25개월 만이다. 서울 아파트 평균 낙찰률 역시 47.3%로 집계됐다. 전달(46.7%)보다 0.6%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지난달 경기 지역 아파트 낙찰가율도 90.2%로, 2022년 7월(92.6%) 이후 25개월 만에 90%대를 돌파했다. 서울 인접 지역인 성남 분당구, 하남, 구리, 부천 등에서 낙찰가율 상위 물건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이달부터 수도권 대출 규제를 강화하는 2단계 스트레스 DSR이 적용되면서 아파트 경매시장 분위기가 다소 주춤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이번 대출 규제가 경매시장에서의 매수심리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줘 당분간 수도권 낙찰가율이 100%를 넘기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며 “고가 아파트가 많은 강남권보다는 관악구, 노원구 등 중저가 단지가 많은 곳에서 대출 규제의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은정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