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체 결함' 美우주선, 비행사 남겨두고 '나홀로' 지구 귀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ISS에 남은 우주비행사 2명, 내년 2월 복귀 예정
귀환에는 스페이스X '드래건' 활용
귀환에는 스페이스X '드래건' 활용

미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스타라이너는 미국 동부시간으로 6일 오후 6시 4분에 ISS에서 도킹을 해제하고 일련의 연소와 시동 과정을 거쳐 자체 궤도 비행을 시작했다. 약 6시간 후인 미 동부시간 7일 오전 0시 1분(한국시간 7일 오후 1시1분)께 미국 뉴멕시코주 사막의 화이트샌즈 스페이스 하버에 착륙했다.
스타라이너는 2022년 5월 무인 시험비행에서 ISS에 도달한 후 지구에 무사히 귀환한 바 있다. 지난 6월에는 첫 유인 시험비행을 위해 NASA 소속 우주비행사 부치 윌모어와 수니 윌리엄스를 태우고 지구를 떠났다.
하지만 ISS 도킹 이후 헬륨 누출과 기동 추진기 고장 등 여러 기체 결함이 확인돼 지구 귀환이 미뤄졌다. 결국 NASA는 지난달 24일 스타라이너의 무인 귀환을 결정했다. 스타라이너는 유인 시험비행에서 성공할 경우 드래건과 함께 NASA의 ISS 수송선으로 쓰일 예정이었지만, 결국 무인으로 돌아와 NASA와 보잉에 큰 부담을 주게 됐다.
한편 보잉은 NASA와 2014년 42억 달러(약 5조6000억원) 규모의 우주캡슐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개발이 계속 지연되면서 약 16억 달러(약 2조1000억원)의 추가 비용을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