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ty Images Bank
Getty Images Bank
‘한국인은 어디서, 어떻게, 왜 이곳 한반도로 왔는가?’

우리는 누구나 자기 뿌리에 대해 궁금해한다. 한국인은 단일민족이라는 신화에 익숙해져 있지만 그 기원이 유라시아 여러 곳이라는 것이 정설이다.

<한국인의 기원>은 생물지리학, 고기후학, 고생태학을 연구하는 박정재 서울대 지리학과 교수가 한국인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추적하는 책이다. 그는 호모 사피엔스가 아프리카를 빠져나와 어떻게 한반도까지 도달했는지 인류 이동의 역사를 살펴본다.

특히 그는 세계 각 지역에서 인간 집단이 형성될 때 기후변화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전한다. 수만 년 동안 인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며 끊임없이 움직였다는 것. 이 과정에서 다양한 기원의 사람들이 섞였고 한반도의 사람들도 예외가 아니었다.

아프리카에서 출발하여 동쪽으로 이동한 호모 사피엔스가 약 4만 년 전 동아시아에 도착했다. 이때는 농경이 시작되기 전이라 수렵채집민 집단은 어로와 사냥이 쉬운 초원지대 거주지를 선호해 한반도는 인기 있는 곳이 아니었다. 하지만 2만5000년 전 이후 기온이 떨어지면서 추위를 피해 북방민들이 한반도로 들어왔다. 이후 다시 온난해지면서 북방으로 다시 돌아갔고 소빙하기가 올 때마다 남하를 반복했다.
추위 피해 남하한 기후 난민, 한국인의 뿌리가 되다 [서평]
과거 한국인들은 자신이 북방계 유전자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몽골인과 유사하게 생겼다고 여기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한국인과 몽골인은 유전적으로 꽤 차이가 난다. 저자는 한국인은 남방에서 올라와서 북방에서 정착했다가 다시 한반도로 내려온 남중국인들과 유사하다고 밝힌 최신 연구 결과를 전한다.

최근 중국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고대 황허 문명에 앞서 황허 동북쪽에 위치한 랴오허강 유역에 랴오허 문명에 대해 알려지고 있다. 이 랴오허 문명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현대인이 한국인이라는 연구 결과가 드러나고 있다는 것. 이는 중국 학계가 원하던 결과는 아니었지만, 5000년 전 이후 농경민들이 건조해지는 동북 지역을 떠나 농경에 적합한 한반도로 내려왔다고 밝혀졌다.

일본 최초의 벼 농경 문화인 아요이 문명은 금강 중하류에 존재했던 송국리 문화가 전신이라고 전해진다. 삼국시대를 거치면서 한반도 문화 대부분이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고유의 섬 문화로 발전하는 데 기여했다. 한국과 일본의 문화는 서로 상당히 다르지만 유전자 조성만 놓고 보면 의미 있는 차이를 발견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저자는 추위를 피해 남하했던 한국인들의 미래에 대해서도 전망한다. 지구 온난화는 미래의 일이 아니다. 이제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상황이다. 폭염, 폭우, 작물 생산량 감소, 해수면 상승 등 다양한 기후 문제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한국인이 또다시 기후 난민이 되지 말란 법은 없다.

최종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