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테의 일생을 바친 '파우스트'…무대 위 선율이 되어 휘몰아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클래식 레볼루션 2024
지휘자 최수열-한경arte필 협연
<파우스트> 속 인물 표현한
리스트 '파우스트 교향곡' 연주
테너·오르간·합창단까지 등장
지휘자 최수열-한경arte필 협연
<파우스트> 속 인물 표현한
리스트 '파우스트 교향곡' 연주
테너·오르간·합창단까지 등장
단연 축제에 가장 어울리는 곡이었다. 그간 현대음악을 발굴하는 데 집중해온 지휘자 최수열이 지난 9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 한경 아르떼필하모닉의 ‘클래식 레볼루션 2024’ 공연에서 리스트의 파우스트 교향곡을 선곡했다.
리스트는 복잡하고 다층적인 의미와 이야기가 담긴 이 희곡을 곡에 전부 담아내기보다 각 악장에 등장인물인 파우스트, 그레트헨, 메피스토펠레스의 특성과 심리를 음표로 표현해냈다.
최수열이 사전 인터뷰에서 언급한 대로 “1시간여 진행되는 연주 안에 오르간, 테너 솔리스트, 합창단”까지 등장했다. 그러니 이 곡은 공연장에서 오케스트라가 보여줄 수 있는 모든 것을 담아낸 ‘종합예술 세트’나 다름없었다.
파우스트의 복잡한 심경은 연주 시작과 동시에 다양한 주제가 돼 몰아쳤다. 오케스트라는 각 악장을 상징하는 캐릭터가 잘 묘사되게 힘을 합쳐야 하지만, 핵심적인 주제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서 때로는 과감한 솔리스트가 돼야 한다.
악마와 영혼을 거래한 파우스트의 요동치는 심리를 표현한 1악장은 연주가 시작됨과 동시에 5개의 주제가 등장해 변형되고 발전하며 서로 뒤엉켰다. 연주가 시작되자 비올라와 첼로가 12개의 음표를 모두 사용해 조심스럽게 파우스트의 고뇌를 그려냈다. 곧이어 선율을 이어받은 관악 파트에서는 아직 예열이 덜 된 듯한 소리가 들리기도 했지만, 오히려 특유의 스산한 분위기를 고조시키며 객석을 파우스트의 세계로 이끌었다.
플루트와 클라리넷의 아련한 음색으로 2악장이 열리며 파우스트가 한눈에 사랑에 빠진 그레트헨의 이야기가 시작됐다. 예열을 끝낸 목관 파트의 집중력이 돋보인 연주였다. 이어진 오보에와 비올라의 듀엣 연주는 공연 전체에서도 손꼽힐 만큼 아름다웠다.
악마 메피스토펠레스를 상징하는 3악장에서는 1악장의 주제가 창조적으로 변형되며 거대한 회오리처럼 몰아쳤다. 집중력을 발휘해 한껏 달아오른 오케스트라에 최수열의 지휘봉은 예리한 칼날로 변했다. 잘 단련된 칼날은 화려한 춤사위를 뽐내며 템포를 한껏 끌어올렸다. 연주 초반의 조심스럽고 아슬아슬한 연주는 온데간데없이 각 파트 간의 완벽한 호흡을 보여주며 대단원을 향해 질주하기 시작했다. 오르간이 웅장한 저음을 울리자 ‘신비의 합창’이 울려 퍼졌고, 공연은 클라이맥스에 다다랐다.
최수열과 한경 아르떼필하모닉은 앞서 번스타인, 거슈윈, 윌리엄스, 코른골트 등 쉽게 들을 수 없는 현대 작곡가들의 음악으로 호흡을 맞추며 섬세한 표현력을 가다듬어왔다. 이번 공연에서도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각 파트에서 집중력 있는 연주를 보여줬는데, 마치 잘 구성된 솔리스트와 듀엣 연주로 이뤄진 공연을 보는 느낌을 주기도 했다.
조원진 칼럼니스트
리스트는 복잡하고 다층적인 의미와 이야기가 담긴 이 희곡을 곡에 전부 담아내기보다 각 악장에 등장인물인 파우스트, 그레트헨, 메피스토펠레스의 특성과 심리를 음표로 표현해냈다.
최수열이 사전 인터뷰에서 언급한 대로 “1시간여 진행되는 연주 안에 오르간, 테너 솔리스트, 합창단”까지 등장했다. 그러니 이 곡은 공연장에서 오케스트라가 보여줄 수 있는 모든 것을 담아낸 ‘종합예술 세트’나 다름없었다.
파우스트의 복잡한 심경은 연주 시작과 동시에 다양한 주제가 돼 몰아쳤다. 오케스트라는 각 악장을 상징하는 캐릭터가 잘 묘사되게 힘을 합쳐야 하지만, 핵심적인 주제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서 때로는 과감한 솔리스트가 돼야 한다.
악마와 영혼을 거래한 파우스트의 요동치는 심리를 표현한 1악장은 연주가 시작됨과 동시에 5개의 주제가 등장해 변형되고 발전하며 서로 뒤엉켰다. 연주가 시작되자 비올라와 첼로가 12개의 음표를 모두 사용해 조심스럽게 파우스트의 고뇌를 그려냈다. 곧이어 선율을 이어받은 관악 파트에서는 아직 예열이 덜 된 듯한 소리가 들리기도 했지만, 오히려 특유의 스산한 분위기를 고조시키며 객석을 파우스트의 세계로 이끌었다.
플루트와 클라리넷의 아련한 음색으로 2악장이 열리며 파우스트가 한눈에 사랑에 빠진 그레트헨의 이야기가 시작됐다. 예열을 끝낸 목관 파트의 집중력이 돋보인 연주였다. 이어진 오보에와 비올라의 듀엣 연주는 공연 전체에서도 손꼽힐 만큼 아름다웠다.
악마 메피스토펠레스를 상징하는 3악장에서는 1악장의 주제가 창조적으로 변형되며 거대한 회오리처럼 몰아쳤다. 집중력을 발휘해 한껏 달아오른 오케스트라에 최수열의 지휘봉은 예리한 칼날로 변했다. 잘 단련된 칼날은 화려한 춤사위를 뽐내며 템포를 한껏 끌어올렸다. 연주 초반의 조심스럽고 아슬아슬한 연주는 온데간데없이 각 파트 간의 완벽한 호흡을 보여주며 대단원을 향해 질주하기 시작했다. 오르간이 웅장한 저음을 울리자 ‘신비의 합창’이 울려 퍼졌고, 공연은 클라이맥스에 다다랐다.
최수열과 한경 아르떼필하모닉은 앞서 번스타인, 거슈윈, 윌리엄스, 코른골트 등 쉽게 들을 수 없는 현대 작곡가들의 음악으로 호흡을 맞추며 섬세한 표현력을 가다듬어왔다. 이번 공연에서도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각 파트에서 집중력 있는 연주를 보여줬는데, 마치 잘 구성된 솔리스트와 듀엣 연주로 이뤄진 공연을 보는 느낌을 주기도 했다.
조원진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