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W 2024] 업계 리더들 "웹3로의 매스 어돕션 더 이상 꿈 아니야…일부 개선은 필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업계 리더들은 향후 10년 내 블록체인 기술이 대중에게 전달되는 '웹3의 매스 어돕션(Mass Adoption)'이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동시에 매스 어돕션을 위한 개선점들도 여전히 많다고 설명했다.
12일 강유빈 논스클래식 대표, 안수빈 해시드 애널리스트, 정민교 프레스토랩스 애널리스트는 여의도 콘래드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된 코리아인베스트먼트위크(KIW 2024) 블루밍비트 컨퍼런스에서 '웹3 생태계의 미래'를 주제로 대담을 나눴다.
세 전문가 모두 향후 10년 블록체인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먼저 강유빈 대표는 "5~10년은 굉장히 긴 시간이라고 생각한다"며 "이 기간동안 블록체인 기술이 더욱 발전해 대중들에게 채택받을 수 있을 정도가 될 수 있다고 본다"고 전망했다.
구체적으로 그는 "5~10년 후의 미래를 예측하려면 5~10년 전의 과거를 봐야하는 데, 불과 5년 전만해도 업계에서는 인프라 구축에만 집중했지만 5년 사이 상황이 크게 바꼈다"며 "이제는 유저들이 충분히 즐길만한 웹3 콘텐츠들이 생성되고 있어 매스 어돕션이 촉진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상자산(암호화폐)이 단순히 투자 자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사용성을 가질 수 있는 자산으로 진화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안수빈 애널리스트 역시 "10년후는 현재 상상하는 것들이 모두 현실이 될 것이다"라며 "탈중앙화 조직의 등장, 가상세계의 대중화, 모든 자산의 토큰화 등이 대표적인 예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러한 기술에 핵심인 블록체인이 향후 10년 이런 매개체들을 통해 널리 채택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민교 애널리스트는 "매스 어돕션의 발생은 이제 사용자들을 더 끌어들일 수 있는 더 매력있고 다양한 탈중앙화애플리케이션(디앱·dApp)들에 달려있다고 본다"며 "아직 인프라가 완벽하다고 보기는 힘들지만 현재 개발자들이 인프라 확보에 힘을 쓰고 있는 만큼, 2차 시장의 활성화, 사용자들이 즐길 수 있는 디앱들이 나온다면 매스 어돕션의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생각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진정한 매스 어돕션을 위해서는 시장 참여자들과 규제 당국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세 패널은 진단했다. 개선해야할 점으로는 ▲인프라의 편리성, ▲토큰을 제외한 동기부여의 결여, ▲부족한 규제의 명확성 등이 꼽혔다. 이밖에 한국에서는 가상자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도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유빈 대표는 "사실 인터넷이나 기술에 익숙한 우리 세대는 어느정도 웹3를 이해할 수 있겠지만, 부모님 세대는 그렇지 못하다"라며 "계정 추상화(어카운트 앱스트랙션·Account Abstraction) 같은 기술들을 꾸준히 개발하여 불편함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안수빈 애널리스트는 "많은 프로젝트들이 토큰을 통해 참여자들을 끌어들였다"며 "그런데 이 방식의 문제점은 토큰 가격이 하락하게 되면 프로젝트의 지속 가능성에 큰 문제가 발생한 다는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사용자들이 내적동기, 즉 블록체인의 가치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한국의 경우 가상자산에 대한 인식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민교 애널리스트는 "한국 시장에 대해 분석한 보고서를 작성한 결과 한국 시장은 가상자산에 대해 여전히 투기적이라는 인식이 강하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며 "이밖에 다수의 투자자들이 테라-루나 사태, 하루-델리오 사태로 인해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다"고 진단했다. 이어 그는 "이 때문에 규제가 이용자 보호에 초점이 맞춰져, 개발자 측면의 규제 명확성이 부족하다"며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인재 이탈을 우려할 수 밖에 없다"고 부연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12일 강유빈 논스클래식 대표, 안수빈 해시드 애널리스트, 정민교 프레스토랩스 애널리스트는 여의도 콘래드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된 코리아인베스트먼트위크(KIW 2024) 블루밍비트 컨퍼런스에서 '웹3 생태계의 미래'를 주제로 대담을 나눴다.
세 전문가 모두 향후 10년 블록체인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먼저 강유빈 대표는 "5~10년은 굉장히 긴 시간이라고 생각한다"며 "이 기간동안 블록체인 기술이 더욱 발전해 대중들에게 채택받을 수 있을 정도가 될 수 있다고 본다"고 전망했다.
구체적으로 그는 "5~10년 후의 미래를 예측하려면 5~10년 전의 과거를 봐야하는 데, 불과 5년 전만해도 업계에서는 인프라 구축에만 집중했지만 5년 사이 상황이 크게 바꼈다"며 "이제는 유저들이 충분히 즐길만한 웹3 콘텐츠들이 생성되고 있어 매스 어돕션이 촉진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상자산(암호화폐)이 단순히 투자 자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사용성을 가질 수 있는 자산으로 진화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안수빈 애널리스트 역시 "10년후는 현재 상상하는 것들이 모두 현실이 될 것이다"라며 "탈중앙화 조직의 등장, 가상세계의 대중화, 모든 자산의 토큰화 등이 대표적인 예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러한 기술에 핵심인 블록체인이 향후 10년 이런 매개체들을 통해 널리 채택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민교 애널리스트는 "매스 어돕션의 발생은 이제 사용자들을 더 끌어들일 수 있는 더 매력있고 다양한 탈중앙화애플리케이션(디앱·dApp)들에 달려있다고 본다"며 "아직 인프라가 완벽하다고 보기는 힘들지만 현재 개발자들이 인프라 확보에 힘을 쓰고 있는 만큼, 2차 시장의 활성화, 사용자들이 즐길 수 있는 디앱들이 나온다면 매스 어돕션의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생각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진정한 매스 어돕션을 위해서는 시장 참여자들과 규제 당국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세 패널은 진단했다. 개선해야할 점으로는 ▲인프라의 편리성, ▲토큰을 제외한 동기부여의 결여, ▲부족한 규제의 명확성 등이 꼽혔다. 이밖에 한국에서는 가상자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도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유빈 대표는 "사실 인터넷이나 기술에 익숙한 우리 세대는 어느정도 웹3를 이해할 수 있겠지만, 부모님 세대는 그렇지 못하다"라며 "계정 추상화(어카운트 앱스트랙션·Account Abstraction) 같은 기술들을 꾸준히 개발하여 불편함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안수빈 애널리스트는 "많은 프로젝트들이 토큰을 통해 참여자들을 끌어들였다"며 "그런데 이 방식의 문제점은 토큰 가격이 하락하게 되면 프로젝트의 지속 가능성에 큰 문제가 발생한 다는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사용자들이 내적동기, 즉 블록체인의 가치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한국의 경우 가상자산에 대한 인식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민교 애널리스트는 "한국 시장에 대해 분석한 보고서를 작성한 결과 한국 시장은 가상자산에 대해 여전히 투기적이라는 인식이 강하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며 "이밖에 다수의 투자자들이 테라-루나 사태, 하루-델리오 사태로 인해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다"고 진단했다. 이어 그는 "이 때문에 규제가 이용자 보호에 초점이 맞춰져, 개발자 측면의 규제 명확성이 부족하다"며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인재 이탈을 우려할 수 밖에 없다"고 부연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