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MO 2024
ESMO 2024
3조1000억달러(약 4100조원). 지난 13~17일 열린 유럽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ESMO 2024)에 참가한 상위 10개 기업의 시가총액이다. 세계 10대 제약사 중 당뇨약에만 집중하는 노보노디스크를 제외한 모든 기업이 총출동했다. 세계 각국에서 모인 의학자들에게 부스를 차리고 자신들의 신약 기술을 소개한 기업만 165곳이다.

ESMO는 학술행사인 데다 사람 대상 임상시험에 진입해 성과가 입증된 연구결과가 주로 발표된다. 혁신 기술 발표는 많지 않은 이유다. 하지만 올해엔 항체약물접합체(ADC),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키메릭항원수용체(CAR)-T세포, 방사성의약품 등에 대한 최신 연구결과가 이어졌다. 기술 개발 속도가 그만큼 빨라졌다는 의미다.

지난해 일본 아스텔라스의 파드셉 임상 결과발표로 기립박수를 받았던 ADC 연구 성과는 올해에도 나왔다. 낸시 린 다나파버 암센터 교수는 ESMO 개막식 후 첫 메인 세션에서 일본 다이이찌산쿄와 영국 아스트라제네카의 ADC 엔허투가 뇌로 전이된 유방암 환자에게 효과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코로나19로 상용화 시대를 연 메신저리보핵산(mRNA) 기술을 이용한 암 정복 시도는 계속됐다. 독일 큐어백의 악성 뇌종양 치료용 mRNA 백신 ‘CVGBM’은 임상 1상에서 안전성이 입증돼 추가 임상시험을 준비중이다.

아담 그리핀 미국 엠디엔더슨 암센터 교수는 코로나19 mRNA 백신이 면역항암제 치료를 받은 폐암 환자 생존율을 높이는 데에 도움된다는 이색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면역항암제 치료를 시작한 지 100일 안에 모더나와 화이자의 mRNA 코로나19 백신을 맞은 사람은 3년 생존율이 57.2%로,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 30.7%보다 높았다. 의학계에선 mRNA 백신이 면역을 자극하는 효과를 내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했다.

차세대 면역항암제 등장을 알리는 성과도 공개됐다. 데이비드 스피겔 미국 사라캐논 연구소 교수는 아이테오스테라퓨틱스와 영국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의 면역항암제 ‘벨레스토터그’와 ‘젬펠리’를 폐암 환자에게 투여해 암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는 내용의 임상 결과를 공개했다. 벨레스토터그는 미국 머크(BMS),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BMS), 스위스 로슈 등이 개발에 나섰지만 아직 성공하지 새로운 계열(TIGIT)의 면역항암제다.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의 신약 성과 발표도 이어졌다. 유럽 1위 암병원인 프랑스 구스타브루시병원의 벤자민 베스 교수는 유한양행의 렉라자와 미국 얀센의 리브리반트를 함께 투여하는 치료가 폐암 환자의 내성을 억제하는 데 도움된다는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렉라자와 리브리반트 같은 표적항암제는 내성이 생기면 더이상 약이 듣지 않는다. 암 환자 재발·사망률을 높이는 주요한 원인 중 하나다.

베스 교수 연구에 따르면 렉라자와 리브리반트를 투여한 폐암 환자는 경쟁 약물인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를 투여한 환자보다 약물 내성을 일으키는 유전자 변이가 생길 위험이 3분의 1에서 8분의 1 수준까지 낮아졌다. 환자 치료 장점이 크다는 것을 입증했다. 네오이뮨텍은 림프종 환자 대상 키메릭항원수용체(CAR)-T세포 초기 임상에서 안전성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포스터 발표에 참여한 국내 기업도 많았다. 티움바이오는 항암신약 후보물질 ‘TU2218’를 미국 머크(MSD)의 키트루다와 함께 투여하는 임상 1b상 결과를 공개했다.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초기 연구지만 최고 용량을 투여한 환자 말기암 환자 10명 중 3명에게서 암 세포가 30% 이상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췌장암, 항문암, 소세포암 환자다. 악성 피부암인 흑색종 환자는 200일 넘게 계속 투여하고 있다.

한미약품, 에스티팜, 에이비온, 유틸렉스 등의 신약 후보물질 연구 결과물이 포스터 형태로 공개됐다. 아이엠비디엑스, 루닛, 엠비디 등은 진단기술을 선보였다. 그래디언트바이오컨버전스, HLB의 미국 자회사 엘레바 등은 부스를 차리고 연구 성과를 공유했다.

바르셀로나=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