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권 침해'로 신고당한 고교생, 학교장 상대 소송 이겼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교육활동 간섭" 보건교사 신고
학생 승소…법원 "반복성 없는 행동"
학생 승소…법원 "반복성 없는 행동"

인천지법 행정1-3부(장유진 부장판사)는 고등학생 A양이 학교장을 상대로 낸 교권보호위원회 심의 결과 통지 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고 19일 밝혔다.
A양은 지난해 11월 1일 점심시간 무렵 보건실에 찾아가 보건교사와 상담 중인 다른 학생에게 "잠시 (밖으로) 나가 달라"고 요청했다. 당시 보건 선생님에게는 아무런 양해도 구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A양 행동이 무례했다고 생각한 보건교사는 10여일 뒤 "교육활동을 부당하게 간섭받았다"며 학교 측에 심의를 신청했다. 학교장도 A양이 보건교사의 교육활동을 침해했다고 판단해 교권보호위원회 심의를 요청했다.
학교 측은 엿새 뒤 위원회를 열고 '교원의 지위 향상 및 교육 활동 보호를 위한 특별법'에 따라 A양의 행위를 교육활동 침해로 인정했다. 보건교사에게는 심리치료와 상담을 지원하기로 했다.
A양은 징계 등 추가 조치를 받진 않았으나 지난 1월 학교장을 상대로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특별법에 따르면 피해 교원의 보호조치에 필요한 비용은 학생이나 학부모가 내야 해서다. 피해 교사가 요청할 경우 수사기관에 A양을 고발할 수도 있었다.
법원은 A양이 보건실에서 한 행동은 정당한 교육활동을 간섭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반복성이 없어 교육활동 침해로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피고는 '원고가 상담 중인 학생을 (밖으로) 나가게 했고 치약과 칫솔 등 물품을 여러 차례 요구해 반복적으로 부당한 간섭을 했다'고 주장한다"고 전제했다.
이어 "교원지위법에 따르면 교육활동 침해는 부당한 간섭행위가 반복적으로 이뤄질 경우 인정된다"며 "원고가 반복적으로 보건 교사의 교육활동에 간섭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부연했다.
김영리 한경닷컴 기자 smart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