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준부터 이이남까지… 파리서 미디어 아트로 해독한 코리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arte] 신미래의 파리통신
현대 한국을 탐구하는 전시
<DECODING KOREA>
현대 한국을 탐구하는 전시
<DECODING KOREA>
지난 8월, 파리 12구에 위치한 ‘그랑 팔레 이메르시프(Grand Palais Immersif)’ 아트센터에서 한국 사회를 미학적, 문화적으로 재해석한 전시가 열렸다. 제목 ‘디코딩 코리아(DECODING KOREA)’가 암시하듯, ‘경계’, ‘기술’, ‘역사’, ‘환경’ 등의 복잡한 한국 사회의 키워드를 예술을 통해 대중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독한다.
‘미디어 아트’ 작품만으로 구성된 전시는, 복합적 매체로 조직되는 보통의 현대미술 전시와 차이를 둔다. 단일한 예술 매체로 전개된 이번 전시에서, ‘미디어 아트’는 어떻게 작동하고 있을까?
전시장 정면 블루 스크린이 가득 채워졌다가, 이내 푸른색 천 조각처럼 힘없이 흘러내린다. 푸른색 천이 덮은 부분을 보고 있으니, 어딘가 낯익은 형상이 나타난다. 턱을 괴고 구부정히 앉아있는 모습 ‘생각하는 사람’이다. 정보미디어 시대에서 블루 스크린 오류메시지는 전통적인 공포와는 다른 새로운 종류의 공포로 다가온다. 세상과 연결되는 작은 창구, 스마트폰, 컴퓨터가 작동되지 않는 것은 마치 일상이 일시적으로 정지된 것과 같이 느껴진다.
이용백의 ‘NFT 미술관: 생각하는 사람(2022)’은 최근 사회적, 정치적, 환경적 변화- 코로나, 셧다운, 전쟁, 메타버스, AI 등이 야기한 물리적 소통의 단절, 원본 부재의 문제의식을 예술적 주제로 확장 시킨다. 한시적 이미지가 오랫동안 미술사적 의미를 지닌 예술 작품들을 가렸다가 함께 사라지는 아이러니한 모습은, 작품 제목에 명시된 NFT의 보존성과 작품 가치 안정성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작가가 설정한 1분 30초의 짧은 러닝타임은, 가속화되고 있는 예술의 물리적 가치 변화와 소통의 결핍을 반영하고 있다. 작품에서 ‘미디어 아트’는 전통 미술과 현시대의 예술 흐름의 차이를 극대화하기 위한 적합한 매체로서 작용한다. 바람에 흔들리는 꽃인 줄 알았지만, 자세히 바라보니 화려한 꽃들로 위장한 군인들이다. 명확한 형태 없이 입체감만으로 모습을 드러낸 군인들은, 낮은 보폭으로 앞을 향해 전진하고 있다. 느린 속도로 천천히 이동하는 걸음마저 숨죽인 채, 자연의 소리만 나지막이 들려온다. 이내 앞으로 걸어가던 군인 뒤에 등을 맞대고 반대 방향을 주시하는 다른 병사가 스크린 안으로 들어온다. 정면을 바라보던 관람객의 시선은 스크린의 양방향을 바라보게 된다.
‘미디어 아트’의 경우 감상자의 몸은 대상과 함께 연동한다.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 촉각 등의 표현 방법을 통해, 관람자는 다감각적으로 작품을 인식, 지각하게 되는 것이다. 작품의 시간, 운동, 방향의 변화에 따라 보는 이의 시선은 이동하게 되고, 장면에서 장면으로 넘어갈 때 연속적인 지각 경험을 하게 된다. 작품 ‘엔젤 솔저(2011)’에서 몸을 반대로 맞대고 조준하는 총의 상반된 방향성은, 보는 이로 하여금 사방을 포위당한 것 같은 긴장감을 들게 한다. 또한, 군인의 움직임에 따라 감상자의 시선은 점차 정면에서 밖을 향하게 되는데, 이는 스크린 너머 끝없이 이어질 것만 같은 군사 행렬을 상상하게 만드는 것이다. 따라간 시선은 스크린을 벗어나 외부의 공간까지 확장되고, 전시 공간 전체는 작품의 하나의 시퀀스로 느껴진다. 작가는 꽃으로 위장한 군인의 이미지, 느린 걸음의 속도, 적막한 소리를 통해, 평온함 속에 잠재된 폭력성, 전쟁의 양면성에 해 이야기한다.
포춘쿠키의 행운을 잡기 위해 한동안 의자에 앉아 허공을 휘저었다. 람한의 작업 '배부른 운'(2023)은 VR 영상 작품으로, 관람객이 직접적으로 작품에 참여할 수 있다. VR 안경을 착용하면, 회전 초밥집을 연상시키는 컨베이어 벨트가 보인다. 벨트 위에 무작위로 놓여있는 음식을 핸드 트래킹 기술을 통해 사용자의 입 가까이 가져가도록 유도한다. 음식 먹기를 성공하면, 포쿠키가 생성되고 이를 부수면 Chat GPT가 만든 예언 메모들을 읽을 수 있다. 최근 ‘미디어 아트’는 전시 공간 구조 전체를 마치 하나의 스크린처럼 사용하여 공간을 연출하기도 하고, 디지털 기술, AI를 접목해 참여 예술의 폭을 넓혀왔다. 관람자의 보다 능동적인 체험을 고려한 예술 형태는, 작품과 관람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깊고 다양한 시, 지각 감상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작품을 돋보이게 하기 위한 배경의 역할이 아닌, 전시 공간 자체를 작품과 한 흐름으로 연결하여 주된 작품 구성 요소로서 기능하게 한다. 전시 공간을 이동하며 감상, 탐색, 체험하는 행위는 관람자 개개인의 시선, 속도, 동선에 따라 다양한 미적 경험으로 축적된다.
‘DECODING KOREA’는 백남준의 ‘글로벌 그루브(1973)’을 비롯하여, 한국의 비무장지대에서의 경험을 묘사한 권하윤의 ‘489년(2016)’, 옛 산수화에 현대 문물이 스며들며, 대한민국의 발전과정을 프로젝터 매핑한 이이남의 ‘잃어버린 파라다이스(2024)’ 등 10명의 한국의 미디어 아티스트의 작품을 통해 대한민국의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담론을 국경을 넘어 글로벌적으로 제안한다. 파리=신미래 통신원
전시장 정면 블루 스크린이 가득 채워졌다가, 이내 푸른색 천 조각처럼 힘없이 흘러내린다. 푸른색 천이 덮은 부분을 보고 있으니, 어딘가 낯익은 형상이 나타난다. 턱을 괴고 구부정히 앉아있는 모습 ‘생각하는 사람’이다. 정보미디어 시대에서 블루 스크린 오류메시지는 전통적인 공포와는 다른 새로운 종류의 공포로 다가온다. 세상과 연결되는 작은 창구, 스마트폰, 컴퓨터가 작동되지 않는 것은 마치 일상이 일시적으로 정지된 것과 같이 느껴진다.
이용백의 ‘NFT 미술관: 생각하는 사람(2022)’은 최근 사회적, 정치적, 환경적 변화- 코로나, 셧다운, 전쟁, 메타버스, AI 등이 야기한 물리적 소통의 단절, 원본 부재의 문제의식을 예술적 주제로 확장 시킨다. 한시적 이미지가 오랫동안 미술사적 의미를 지닌 예술 작품들을 가렸다가 함께 사라지는 아이러니한 모습은, 작품 제목에 명시된 NFT의 보존성과 작품 가치 안정성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작가가 설정한 1분 30초의 짧은 러닝타임은, 가속화되고 있는 예술의 물리적 가치 변화와 소통의 결핍을 반영하고 있다. 작품에서 ‘미디어 아트’는 전통 미술과 현시대의 예술 흐름의 차이를 극대화하기 위한 적합한 매체로서 작용한다. 바람에 흔들리는 꽃인 줄 알았지만, 자세히 바라보니 화려한 꽃들로 위장한 군인들이다. 명확한 형태 없이 입체감만으로 모습을 드러낸 군인들은, 낮은 보폭으로 앞을 향해 전진하고 있다. 느린 속도로 천천히 이동하는 걸음마저 숨죽인 채, 자연의 소리만 나지막이 들려온다. 이내 앞으로 걸어가던 군인 뒤에 등을 맞대고 반대 방향을 주시하는 다른 병사가 스크린 안으로 들어온다. 정면을 바라보던 관람객의 시선은 스크린의 양방향을 바라보게 된다.
‘미디어 아트’의 경우 감상자의 몸은 대상과 함께 연동한다.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 촉각 등의 표현 방법을 통해, 관람자는 다감각적으로 작품을 인식, 지각하게 되는 것이다. 작품의 시간, 운동, 방향의 변화에 따라 보는 이의 시선은 이동하게 되고, 장면에서 장면으로 넘어갈 때 연속적인 지각 경험을 하게 된다. 작품 ‘엔젤 솔저(2011)’에서 몸을 반대로 맞대고 조준하는 총의 상반된 방향성은, 보는 이로 하여금 사방을 포위당한 것 같은 긴장감을 들게 한다. 또한, 군인의 움직임에 따라 감상자의 시선은 점차 정면에서 밖을 향하게 되는데, 이는 스크린 너머 끝없이 이어질 것만 같은 군사 행렬을 상상하게 만드는 것이다. 따라간 시선은 스크린을 벗어나 외부의 공간까지 확장되고, 전시 공간 전체는 작품의 하나의 시퀀스로 느껴진다. 작가는 꽃으로 위장한 군인의 이미지, 느린 걸음의 속도, 적막한 소리를 통해, 평온함 속에 잠재된 폭력성, 전쟁의 양면성에 해 이야기한다.
포춘쿠키의 행운을 잡기 위해 한동안 의자에 앉아 허공을 휘저었다. 람한의 작업 '배부른 운'(2023)은 VR 영상 작품으로, 관람객이 직접적으로 작품에 참여할 수 있다. VR 안경을 착용하면, 회전 초밥집을 연상시키는 컨베이어 벨트가 보인다. 벨트 위에 무작위로 놓여있는 음식을 핸드 트래킹 기술을 통해 사용자의 입 가까이 가져가도록 유도한다. 음식 먹기를 성공하면, 포쿠키가 생성되고 이를 부수면 Chat GPT가 만든 예언 메모들을 읽을 수 있다. 최근 ‘미디어 아트’는 전시 공간 구조 전체를 마치 하나의 스크린처럼 사용하여 공간을 연출하기도 하고, 디지털 기술, AI를 접목해 참여 예술의 폭을 넓혀왔다. 관람자의 보다 능동적인 체험을 고려한 예술 형태는, 작품과 관람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깊고 다양한 시, 지각 감상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작품을 돋보이게 하기 위한 배경의 역할이 아닌, 전시 공간 자체를 작품과 한 흐름으로 연결하여 주된 작품 구성 요소로서 기능하게 한다. 전시 공간을 이동하며 감상, 탐색, 체험하는 행위는 관람자 개개인의 시선, 속도, 동선에 따라 다양한 미적 경험으로 축적된다.
‘DECODING KOREA’는 백남준의 ‘글로벌 그루브(1973)’을 비롯하여, 한국의 비무장지대에서의 경험을 묘사한 권하윤의 ‘489년(2016)’, 옛 산수화에 현대 문물이 스며들며, 대한민국의 발전과정을 프로젝터 매핑한 이이남의 ‘잃어버린 파라다이스(2024)’ 등 10명의 한국의 미디어 아티스트의 작품을 통해 대한민국의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담론을 국경을 넘어 글로벌적으로 제안한다. 파리=신미래 통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