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업 시작점은 자본인식…모범사례는 메리츠금융지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진=조아라 기자](https://img.hankyung.com/photo/202409/01.38061578.1.jpg)
김우진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는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주최로 진행한 ‘밸류업 중간 평가, 무엇이 문제인가’ 세미나에서 "자기자본이익률(ROE)이 자기자본비용(COE)보다 높을 경우 주주환원을 줄이고 재투자를 늘리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며 "밸류업 정책이 무조건 다 배당하라는 얘기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자본비용은 투자자들이 기업의 자본조달 비용과 사업의 불확실성 위험에 상응해 기대하는 요구 수익률이다. 자기자본이익률이 자본비용을 밑도는 기업은 자본이 효율적으로 활용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에 있는 주주 충실의무가 대법원 확정판결로 일반 상장기업에는 부재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김규식 변호사는 "부동산투자회사법상 리츠를 인가할 때 주주에 대한 충실 의무가 잘 이행되고 있는지, 그 시스템을 갖췄는지를 심사하지만 일반 상장기업은 이같은 의무가 없다"며 상법 개정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밸류업 정책과 관련해 일반 투자자들과 소통 늘리겠다는 업계 관계자의 목소리도 나왔다. 천상영 신한금융지주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신한지주의 밸류업 핵심은 ROE와 주주환원율을 높이고 주식 수를 줄여 주당 가치를 높이겠다는 것"이라며 "이사회를 중심으로 투자자와 소통하는 자리를 만들어 밸류업 진행 상황을 투명하게 공유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조아라 기자 rrang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