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업종별 대표기업 매출 17% 증가…美·日 앞섰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총, 한미일 상반기 실적 비교
"지속 성장 위해 규제 완화해야"
"지속 성장 위해 규제 완화해야"
17.1%. 올해 상반기 한국 대표 기업의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증가율이다. 미국(14.6%)은 물론 일본(7.1%)을 크게 앞섰다. 특히 한국은 반도체(75.4%)와 제약·바이오(38.1%) 주요 기업의 매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22일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이런 내용을 담은 ‘한·미·일 업종별 대표기업 경영실적 비교’ 보고서를 발표했다. 경총은 한국과 미국의 8개 업종(반도체, 철강, 자동차, 유통, 제약·바이오, 통신, 인터넷서비스) 32개 기업의 매출 증가율과 영업이익률을 비교했다. 일본은 자료 미비로 반도체와 인터넷서비스를 제외한 6개 업종의 12개 기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한국은 철강(-9.4%)을 제외한 7개 업종의 매출이 모두 작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 한국 반도체 대표기업인 삼성전자(18%)와 SK하이닉스(132.8%)는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이 크게 늘었다. 한국 제약·바이오 대표 기업인 삼성바이오로직스(32.6%)와 셀트리온(43.7%)의 매출 증가세도 두드러졌다. 미국에서는 반도체(87.3%)와 인터넷서비스(19.5%) 업종이, 일본에서는 자동차(16.7%)와 제약·바이오(14.6%) 업종의 매출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영업이익률은 미국이 18.5%로 가장 높았다. 한국(9.5%)과 일본(7.5%)은 미국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미국은 인터넷서비스(35%)와 제약·바이오(29.4%), 반도체(25.8%), 통신(21.4%) 등 전 산업에 걸쳐 영업이익률이 골고루 높았다. 특히 미국 반도체 대표기업 엔비디아(63.4%)와 제약·바이오 대표기업 머크(37.3%)의 영업이익률이 압도적이었다.
한국은 반도체(20.3%)와 제약·바이오(18.3%)의 영업이익률이 높았으며, 일본은 통신(14%)과 제약·바이오(9.2%), 자동차(8.9%) 산업에서 호실적을 기록했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올해 상반기 반도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선전으로 우리 대표 기업들의 성장률이 미국·일본에 비해 눈에 띄게 높았다”며 “국내 기업이 계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경쟁국 수준의 세제 지원,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진원 기자 jin1@hankyung.com
22일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이런 내용을 담은 ‘한·미·일 업종별 대표기업 경영실적 비교’ 보고서를 발표했다. 경총은 한국과 미국의 8개 업종(반도체, 철강, 자동차, 유통, 제약·바이오, 통신, 인터넷서비스) 32개 기업의 매출 증가율과 영업이익률을 비교했다. 일본은 자료 미비로 반도체와 인터넷서비스를 제외한 6개 업종의 12개 기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한국은 철강(-9.4%)을 제외한 7개 업종의 매출이 모두 작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 한국 반도체 대표기업인 삼성전자(18%)와 SK하이닉스(132.8%)는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이 크게 늘었다. 한국 제약·바이오 대표 기업인 삼성바이오로직스(32.6%)와 셀트리온(43.7%)의 매출 증가세도 두드러졌다. 미국에서는 반도체(87.3%)와 인터넷서비스(19.5%) 업종이, 일본에서는 자동차(16.7%)와 제약·바이오(14.6%) 업종의 매출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영업이익률은 미국이 18.5%로 가장 높았다. 한국(9.5%)과 일본(7.5%)은 미국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미국은 인터넷서비스(35%)와 제약·바이오(29.4%), 반도체(25.8%), 통신(21.4%) 등 전 산업에 걸쳐 영업이익률이 골고루 높았다. 특히 미국 반도체 대표기업 엔비디아(63.4%)와 제약·바이오 대표기업 머크(37.3%)의 영업이익률이 압도적이었다.
한국은 반도체(20.3%)와 제약·바이오(18.3%)의 영업이익률이 높았으며, 일본은 통신(14%)과 제약·바이오(9.2%), 자동차(8.9%) 산업에서 호실적을 기록했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올해 상반기 반도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선전으로 우리 대표 기업들의 성장률이 미국·일본에 비해 눈에 띄게 높았다”며 “국내 기업이 계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경쟁국 수준의 세제 지원,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진원 기자 jin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