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기대 커진 韓·인도네시아 핀테크 협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동남아서 확산 중인 디지털 페이
전자결제 시스템서 윈윈 기대
곽주영 연세대 경영대학 교수
전자결제 시스템서 윈윈 기대
곽주영 연세대 경영대학 교수
동남아시아 경제 블록인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은 젊은 인구 비중이 높다. 동남아 청년층의 모바일 결제도 빠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를 방문하면 ‘큐리스(QRIS)’ 등 디지털 페이가 일상에서 널리 쓰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인도네시아뿐 아니라 싱가포르의 ‘페이나우(PayNow)’, 베트남의 ‘비엣큐알(Viet QR)’, 캄보디아의 ‘바콩(Bakong)’, 말레이시아의 ‘두잇나우(DuitNow)’ 등 아세안 국가에서는 이미 디지털 페이가 보편화돼 있다.
특히 전자결제 시스템 수요가 많은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등 5개국은 2022년 아세안 정상회의에서 국가별 상이한 디지털 결제를 ‘지역 간 지급 연결성’(RPC·Regional Payment Connectivity)으로 통일했다. 이를 통해 본국의 디지털 페이를 5개국 안에서 자유롭게 쓸 수 있게 됐다. 정부는 현금 사용을 줄이면서 거래 투명성을 높이고, 안정적인 세수를 확보하기 위해 반기는 처지여서 다자가 참여해도 쾌속으로 의견 일치에 도달할 수 있었다.
인도네시아는 지급준비율이 2024년 8월 기준 9%에 이른다. 지급준비율이 0%인 미국이나 1%(7월 기준)인 독일 같은 금융 선진국과는 거리가 있다. 지급준비율의 기술적 정의는 은행이 전체 예금액 중 일정 비율 이상을 중앙은행에 예치해 둬야 하는 비율이다. 지급준비율이 높다는 것은 은행이 그만큼 돈을 빌려줄 여력이 작다는 뜻이다. 따라서 인도네시아는 자본에 접근하기가 쉽지 않았기에 높은 지준율과 별도로 민간 차원에서는 아예 은행 돈을 빌리는 행위가 흔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인도네시아 국민은 금융 서비스도 잘 몰랐고 활용도 잘하지 못했다. 그런데 디지털로 전환하면서 청년층이 할부 거래를 비롯해 디지털을 통한 금융서비스를 잘 활용하는 등 금융 접근성이 높아졌다.
인도네시아에는 ‘고페이’, ‘오보’, ‘링크아자’ 등 다양한 디지털 페이가 있다. 이들 디지털 페이는 예전에는 가맹점에서만 쓸 수 있었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 정부가 2019년 ‘큐리스’라는 국가표준을 만들어 시스템을 모두 통합한 뒤 은행의 뱅킹앱에서도 큐리스를 쓸 수 있게 됐다. 심지어 인접국인 말레이시아에 여행을 가서도 쓸 수 있다.
특히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비대면 전자상거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큐리스는 이제 디지털 페이로 굳건히 자리를 잡았다. 디지털 뱅킹과 결제에 대한 수요도 자연스럽게 늘어났다.
반면 아세안 국가 중 싱가포르를 제외하면 금융 혁신을 목적으로 수립해 놓은 정부 정책이나 플랫폼은 눈에 띄지 않는다. 금융결제원에서 구축한 센터에 접속하면 오픈뱅킹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한국과 달리 인도네시아는 ‘스냅(SNAP)’이라는 오픈뱅킹 표준만 만들어 놓았다. 두 국가 간이라면 몰라도 복수 국가 내 큐리스의 사용을 대중화하려면 중앙에서 운영을 전담할 기관이 필요하며 이 기관에서는 표준부터 계좌 그리고 미디어와 채널까지 관리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오픈뱅킹 중앙화 시스템은 잘 발달해 있으나 전자결제 시스템이 정리가 안 돼 큐리스 도입이 힘들지만 인도네시아는 반대로 전자결제 시스템은 통합됐으나 오픈뱅킹 중앙화가 돼 있지 않다. 전자결제 시스템의 정리는 이해관계가 복잡한 국가 내부의 일이지만 오픈뱅킹 중앙화나 시스템 도입은 기술적인 문제다. 앞으로 한국과 인도네시아 간에 금융 분야에서도 다양한 기술 협력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전자결제 시스템 수요가 많은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등 5개국은 2022년 아세안 정상회의에서 국가별 상이한 디지털 결제를 ‘지역 간 지급 연결성’(RPC·Regional Payment Connectivity)으로 통일했다. 이를 통해 본국의 디지털 페이를 5개국 안에서 자유롭게 쓸 수 있게 됐다. 정부는 현금 사용을 줄이면서 거래 투명성을 높이고, 안정적인 세수를 확보하기 위해 반기는 처지여서 다자가 참여해도 쾌속으로 의견 일치에 도달할 수 있었다.
인도네시아는 지급준비율이 2024년 8월 기준 9%에 이른다. 지급준비율이 0%인 미국이나 1%(7월 기준)인 독일 같은 금융 선진국과는 거리가 있다. 지급준비율의 기술적 정의는 은행이 전체 예금액 중 일정 비율 이상을 중앙은행에 예치해 둬야 하는 비율이다. 지급준비율이 높다는 것은 은행이 그만큼 돈을 빌려줄 여력이 작다는 뜻이다. 따라서 인도네시아는 자본에 접근하기가 쉽지 않았기에 높은 지준율과 별도로 민간 차원에서는 아예 은행 돈을 빌리는 행위가 흔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인도네시아 국민은 금융 서비스도 잘 몰랐고 활용도 잘하지 못했다. 그런데 디지털로 전환하면서 청년층이 할부 거래를 비롯해 디지털을 통한 금융서비스를 잘 활용하는 등 금융 접근성이 높아졌다.
인도네시아에는 ‘고페이’, ‘오보’, ‘링크아자’ 등 다양한 디지털 페이가 있다. 이들 디지털 페이는 예전에는 가맹점에서만 쓸 수 있었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 정부가 2019년 ‘큐리스’라는 국가표준을 만들어 시스템을 모두 통합한 뒤 은행의 뱅킹앱에서도 큐리스를 쓸 수 있게 됐다. 심지어 인접국인 말레이시아에 여행을 가서도 쓸 수 있다.
특히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비대면 전자상거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큐리스는 이제 디지털 페이로 굳건히 자리를 잡았다. 디지털 뱅킹과 결제에 대한 수요도 자연스럽게 늘어났다.
반면 아세안 국가 중 싱가포르를 제외하면 금융 혁신을 목적으로 수립해 놓은 정부 정책이나 플랫폼은 눈에 띄지 않는다. 금융결제원에서 구축한 센터에 접속하면 오픈뱅킹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한국과 달리 인도네시아는 ‘스냅(SNAP)’이라는 오픈뱅킹 표준만 만들어 놓았다. 두 국가 간이라면 몰라도 복수 국가 내 큐리스의 사용을 대중화하려면 중앙에서 운영을 전담할 기관이 필요하며 이 기관에서는 표준부터 계좌 그리고 미디어와 채널까지 관리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오픈뱅킹 중앙화 시스템은 잘 발달해 있으나 전자결제 시스템이 정리가 안 돼 큐리스 도입이 힘들지만 인도네시아는 반대로 전자결제 시스템은 통합됐으나 오픈뱅킹 중앙화가 돼 있지 않다. 전자결제 시스템의 정리는 이해관계가 복잡한 국가 내부의 일이지만 오픈뱅킹 중앙화나 시스템 도입은 기술적인 문제다. 앞으로 한국과 인도네시아 간에 금융 분야에서도 다양한 기술 협력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