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예원의 드로잉, '재즈로운 몽상을 캔버스에 담아내다
일러스트레이터 민예원(27·스튜디오 파도나무)은 어릴 때에도 아이돌 가수를 좋아한 적이 없다. K팝도 거의 안 들었다. 외국의 락, 인디 음악에 심취했고 남들과 다른 음악을 듣고 싶어했다. 대중음악의 뿌리를 거슬러 올라가다보니 어느덧 재즈라는 역에 도착했다.

"다른 장르 음악보다 깊이가 있었어요. 빠른 시간 안에 빠져 들었고 지금도 여전히 재즈가 좋아요." 그를 만난 건 지난 19일. 한 독립출판사가 운영하는 카페에서였다. 그곳에 그가 스케치한 재즈 연주자의 드로잉 수십점이 걸려 있었다. 한옥 건물 곳곳 창호지에 스며든 빛은 그림들을 더욱 돋보이게 만들었다.
민예원의 드로잉, '재즈로운 몽상을 캔버스에 담아내다
미술을 좋아했지만 안정적인 길을 가길 바라는 부모님 맘을 헤아려 미대엔 진학하지 않았다. 대학에서는 철학을 전공했고, 그리고 싶은 마음을 매주 학보에 삽화를 그리며 해소했다고. 지금 본업은 요가를 가르치는 선생님이다.

그런데 지금 그가 전시하고 있는 작품들은 미술이나 음악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이라 생각하기 어려울 정도로 완성도와 짜임새가 갖춰져 있었다. "정물같은 정형화된 그림보다는 인물화 중에서도 움직이는 모습, 순간의 표정을 포착해내는 게 예전부터 좋았어요. 재즈를 듣다보니 연주자들의 영상을 자주 보는데 그들이 연주할 때 황홀경에 빠지는 모습에 끌리기 시작했어요." 그리기 도구는 단순했다. 연필, 과슈 물감, 아크릴 물감. 디지털 도구를 쓸 때도 연필 질감이 나는 브러시를 쓴다. 색깔도 재즈의 블루스 느낌을 살려 검정이지만 오묘하게 푸른색이 도는 느낌의 색깔을 섞어서 순식간에 칠해버린다고 했다.
민예원의 드로잉, '재즈로운 몽상을 캔버스에 담아내다
이렇게 하나 둘씩 그림을 그리다보니 욕심이 생겼다. "나를 통해 사람들이 재즈라는 음악을 궁금해하고, 실제로 들었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재즈 일력을 기획하고 출시했는데 그 계기로 이름이 알려져 이렇게 전시도 하게 됐네요." 재즈 일력은 1년 365일 날짜에 맞춰 기본적인 365곡을 소개하는 캘린더로 2022년에 처음 출시됐다. 일력 속 그림이든, 전시된 그림이든 그의 드로잉은 단 한번의 수정도 없이 '일필휘지'로 그려내는 게 특징이다. "남을 의식하거나 확신이 없을 때 자꾸 수정하고 싶어지는 거거든요. 그러면 선(線)도 탁해져요. 재즈 연주자도 마찬가지래요. 단단한 내면이 없으면 소리가 흔들린다고 하더라고요."
민예원의 드로잉, '재즈로운 몽상을 캔버스에 담아내다
그의 그림속 재즈 뮤지션들은 쳇 베이커, 아트 블래키, 마일드 데이비스와 같은 전설적인 연주자의 초상화가 아니다. 수많은 얼굴들이 겹쳐진 드로잉이다. 작가는 연주자들의 어떤 모습을 가장 나타내고 싶었을까? "재즈를 연주할 때 뮤지션들은 자신의 연주를 음악 흐름에 맡기고, 자기다운 모습을 드러내요. 정해진 코드 진행과 템포, 멜로디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꿈에 빠져드는 모습을 잘 그렸을 때 가장 짜릿해요."
민예원의 드로잉, '재즈로운 몽상을 캔버스에 담아내다
그의 그림은 인물화지만 정형화된 비율의 신체나 얼굴과는 거리가 멀다. 연주하는 손은 크고 이목구비는 캐리커처에 가까워 그림을 보는 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그는 이를 '재즈로운 몽상'이라고 이름 붙였다. 인생 재즈 곡을 추천해 달라는 말에 작가는 재즈 플루티스트 데이브 발렌틴의 'Pana Fuerte(Strong Frendship)'를 골랐다. "플루트에서 터져나오는 소리가 아티스트만의 개성이 묻어나서 정말 좋아해요. 지금은 돌아가셨는데 저도 천국에서 꼭 그분의 라이브를 듣고 싶어요."
민예원의 드로잉, '재즈로운 몽상을 캔버스에 담아내다
최근 민예원은 무대 바로 옆에서 뮤지션과 상호작용하며 완성하는 드로잉에 재미를 붙였다. 그는 올해 서울 동대문역사문화공원 V Space에서 열렸던 <2024 Rockin'&Swingin' 페스티벌>에 초청받아 재즈 선율에 맞춰 춤을 추는 이들의 모습을 마음껏 그렸다. 그는 "동영상이나 사진을 보며 그림을 그렸던 것과 라이브 드로잉에는 에너지와 교감 등 많은 것들이 달랐다"고 회상했다. 앞으로도 재즈 선율이 들려오는 어느 곳이든 달려가서, 털썩 주저앉아 그림을 그리고 싶다는 게 그의 바람이다.

이해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