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둘기' 신성환 "집값 둔화 완전히 확인될 때까지 기다리기 어렵다" [강진규의 BOK워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동산 시장이 완전히 둔화될 때까지 기다릴 정도로 경제가 녹록한 상황이 아닙니다. 금리 인하의 위험성을 고려해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지만 엑셀로 발을 옮길지 종합적인 판단이 필요합니다."
신성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은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향후 통화정책 관련 주요 현안에 대해 발표하면서 이같이 설명했다. 신 위원은 주택시장과 이에 따른 가계부채 문제를 집중적으로 거론했다.
신 위원은 자신을 "대표적인 비둘기(통화 완화 선호)"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개인적으로는 6월 초까지만해도 7월 금통위부터 피벗(금리 인하) 의견을 내도 되겠다는 생각이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는 6월부터 시작된 부동산 가격 상승 흐름을 보고 생각을 바꿨다. 신 위원은 "6월부터 예상치 못한 집값 급등이 나타나면서 금융안정의 이슈가 불거져 급하게 브레이크가 걸렸다"며 "개인적으로 금리를 내리고 싶지만 위험이 현실화되고 있기 때문에 인내심을 갖고 지켜보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신 위원이 우려하는 것은 현재의 부동산 가격 상승 모멘텀이 금리 인하 결정으로 더욱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이다. 신 위원은 "부동산은 투자자산일뿐 아니라 미래의 거주비 변동 위험을 헷지하는 수단"이라며 "위험이 확대될 때도 투자가 늘어나는 특성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 등이 공급한 특례보금자리론 등 정책금융도 집값 상승의 요인 중 하나로 꼽았다. 신 위원은 "정책금융을 줄여야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환이 가능한 범위에서 하는 것이 맞다"며 "그 이상으로 차입해 담보물이 차압되는 고통을 당하는 것은 약탈적 대출"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상승 모멘텀의 둔화를 완전히 확인한 후에 금리를 내려야한다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우리 경제가 그렇게 녹록지 않은 상황"이라고 답했다. 그는 "지금의 위험이 100이라면 이것이 5나 0으로 완전히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때까지 기다리기는 어려운 것 같다"며 "내수 부진 완화를 위해 금리를 내려야할 필요성도 있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 금통위인 10월11일 이전까지 지표로 판단이 가능하겠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연휴 등으로 9월 데이터에 노이즈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은 한은도 인지하고 있다"며 "10월 초까지 데이터를 보고 특수성을 감안해서 판단을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날 신 위원은 한국의 외환시장에 대해 "달러가 급격하게 빠져나가는 '달러-런'이 나타날 가능성은 거의 없다"며 "환율은 위기 시그널보다는 시장에서의 수요공급에 의해 움직인 시장변수로 받아들이는 게 합리적"이라고 설명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신성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은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향후 통화정책 관련 주요 현안에 대해 발표하면서 이같이 설명했다. 신 위원은 주택시장과 이에 따른 가계부채 문제를 집중적으로 거론했다.
신 위원은 자신을 "대표적인 비둘기(통화 완화 선호)"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개인적으로는 6월 초까지만해도 7월 금통위부터 피벗(금리 인하) 의견을 내도 되겠다는 생각이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는 6월부터 시작된 부동산 가격 상승 흐름을 보고 생각을 바꿨다. 신 위원은 "6월부터 예상치 못한 집값 급등이 나타나면서 금융안정의 이슈가 불거져 급하게 브레이크가 걸렸다"며 "개인적으로 금리를 내리고 싶지만 위험이 현실화되고 있기 때문에 인내심을 갖고 지켜보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신 위원이 우려하는 것은 현재의 부동산 가격 상승 모멘텀이 금리 인하 결정으로 더욱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이다. 신 위원은 "부동산은 투자자산일뿐 아니라 미래의 거주비 변동 위험을 헷지하는 수단"이라며 "위험이 확대될 때도 투자가 늘어나는 특성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 등이 공급한 특례보금자리론 등 정책금융도 집값 상승의 요인 중 하나로 꼽았다. 신 위원은 "정책금융을 줄여야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환이 가능한 범위에서 하는 것이 맞다"며 "그 이상으로 차입해 담보물이 차압되는 고통을 당하는 것은 약탈적 대출"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상승 모멘텀의 둔화를 완전히 확인한 후에 금리를 내려야한다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우리 경제가 그렇게 녹록지 않은 상황"이라고 답했다. 그는 "지금의 위험이 100이라면 이것이 5나 0으로 완전히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때까지 기다리기는 어려운 것 같다"며 "내수 부진 완화를 위해 금리를 내려야할 필요성도 있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 금통위인 10월11일 이전까지 지표로 판단이 가능하겠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연휴 등으로 9월 데이터에 노이즈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은 한은도 인지하고 있다"며 "10월 초까지 데이터를 보고 특수성을 감안해서 판단을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날 신 위원은 한국의 외환시장에 대해 "달러가 급격하게 빠져나가는 '달러-런'이 나타날 가능성은 거의 없다"며 "환율은 위기 시그널보다는 시장에서의 수요공급에 의해 움직인 시장변수로 받아들이는 게 합리적"이라고 설명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