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국회서 출범한 유니콘팜 "성과 내서 이름값 하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2대 국회 스타트업 지원·연구모임 ‘유니콘팜’이 25일 공식 출범했다. 유니콘팜은 20대 국회 때 시작돼 21대에 여야 함께 공식 출범한 연구단체다.
이날 출범식에는 유니콘팜 공동대표인 강훈식·배현진 의원과 연구책임의원인 김한규·이해민 의원을 비롯해 정회원(박덕흠·박상혁·장철민·김성회 의원), 준회원(김성원·이양수·한지아·김소희 의원)이 참석했다. 발제에는 벤처기업협회 스타트업위원회 이용균 위원장과 한국벤처캐피탈협회 윤건수 회장이 참여했다.
유니콘팜 공동대표인 강훈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유니콘팜은 그동안 보람차고 신나는 여정을 했지만, 시행착오를 겪은 것도 사실이다. 22대 국회에서는 성과를 내서 유니콘팜 이름값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스타트업들과 함께 국민의 삶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실천해 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공동대표인 배현진 의원은 “22대 국회에서는 스타트업 기업들의 생태계가 국회 안에서 더 탄탄하게 만들어질 수 있도록 유니콘팜이 더 훌륭한, 더 스마트한 여러분의 보조자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21대 유니콘팜 공동대표였던 김성원 의원은 “21대 국회에서 마지막 성과를 얻는 게 상당히 힘들었다”면서 “22대 국회에서는 국회의 힘을 여러분들과 함께 보여줘야 할 때가 아닌가, 성과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구책임의원을 맡은 김한규 의원은 “연구책임의원으로서 22대 국회에서는 반드시 가시적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거듭 성과에 대한 결심을 언급했다.
구글 출신 IT 전문가이면서 또 다른 연구책임의원인 이해민 의원은 국회에서 논의하는 세세한 것들이 산업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며 “스타트업 업계의 진흥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1대에 이어 유니콘팜 활동을 이어가는 박상혁 의원은 “21대 국회에서 우리 유니콘팜이 입법 결실을 더 많이 거두었어야한다는 아쉬운 점도 있지만 공유차량서비스 환경 개선 등 작은 성과들 만들어내기도 했다”며 “22대 국회에서 더 많은 성과 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장철민 의원은 “21대 때는 유니콘팜도 스타트업 같았는데, 많은 분들이 모여 계신 것을 보니 확실히 더 큰 책임감을 가지고 임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며 “스타트업 업계와 더욱 많은 소통을 해나가겠다”는 결심을 밝혔다. 준회원으로서 참석한 이양수 의원과 한지아 의원, 김소희 의원은 입을 모아 정회원처럼 열심히 활동하겠다면서 여야가 함께하는 연구단체인 유니콘팜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벤처기업협회의 성상엽 회장은 “스타트업들이 규제로 인해 어려움을 많이 겪는데, 개별 기업들이 나서서 그런 문제를 해결하기란 대단히 어렵다”면서 “앞으로도 유니콘팜 의원님들이 힘을 보태주시면 큰 힘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국회 유니콘팜의 역할에 대한 당부를 이어갔다. 8주년을 맞이한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은 구태언 부의장이 축사에 나섰다. 구태언 부의장은 “스타트업 강국을 만들어가는 든든한 우군으로서 유니콘팜이 지난 8년간 함께 해주셔서 감사드린다”면서 “앞으로도 스타트업의 손을 잡고 함께 이끌어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첫 번째 발제는 이용균 벤처기업협회 스타트업위원회 위원장이 “한국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벤처스타트업 생태계의 역할과 과제”를 주제로 진행했다. 이 위원장은 “신산업 분야의 스타트업들이 혁신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고, 또 광범위하고 적극적으로 사전 허용 원칙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며 “유니콘팜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혁신 스타트업이 많이 만들어지고 생태계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많은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두 번째 발제는 윤건수 한국벤처캐피탈협회 회장이 “벤처투자의 이해와 벤처 생태계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진행했다. 윤 회장은 최근 벤처투자 시장은 도전보다는 안정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뚜렷해지면서 초기단계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급감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설명했다. 특히 인공지능(AI)·빅데이터·시스템반도체 등 소수의 딥테크 기업에 자본이 집중되고 있으며, 고금리 영향으로 2022년 하반기부터 민간 출자가 위축되었고, 이에 벤처투자와 펀드결성이 감소하는 어려움도 장기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서 “벤처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코스닥 시장을 활성화하고, 퇴직연금이 벤처생태계에서 순환할 수 있는 구조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전달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
이날 출범식에는 유니콘팜 공동대표인 강훈식·배현진 의원과 연구책임의원인 김한규·이해민 의원을 비롯해 정회원(박덕흠·박상혁·장철민·김성회 의원), 준회원(김성원·이양수·한지아·김소희 의원)이 참석했다. 발제에는 벤처기업협회 스타트업위원회 이용균 위원장과 한국벤처캐피탈협회 윤건수 회장이 참여했다.
유니콘팜 공동대표인 강훈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유니콘팜은 그동안 보람차고 신나는 여정을 했지만, 시행착오를 겪은 것도 사실이다. 22대 국회에서는 성과를 내서 유니콘팜 이름값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스타트업들과 함께 국민의 삶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실천해 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공동대표인 배현진 의원은 “22대 국회에서는 스타트업 기업들의 생태계가 국회 안에서 더 탄탄하게 만들어질 수 있도록 유니콘팜이 더 훌륭한, 더 스마트한 여러분의 보조자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21대 유니콘팜 공동대표였던 김성원 의원은 “21대 국회에서 마지막 성과를 얻는 게 상당히 힘들었다”면서 “22대 국회에서는 국회의 힘을 여러분들과 함께 보여줘야 할 때가 아닌가, 성과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구책임의원을 맡은 김한규 의원은 “연구책임의원으로서 22대 국회에서는 반드시 가시적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거듭 성과에 대한 결심을 언급했다.
구글 출신 IT 전문가이면서 또 다른 연구책임의원인 이해민 의원은 국회에서 논의하는 세세한 것들이 산업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며 “스타트업 업계의 진흥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1대에 이어 유니콘팜 활동을 이어가는 박상혁 의원은 “21대 국회에서 우리 유니콘팜이 입법 결실을 더 많이 거두었어야한다는 아쉬운 점도 있지만 공유차량서비스 환경 개선 등 작은 성과들 만들어내기도 했다”며 “22대 국회에서 더 많은 성과 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장철민 의원은 “21대 때는 유니콘팜도 스타트업 같았는데, 많은 분들이 모여 계신 것을 보니 확실히 더 큰 책임감을 가지고 임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며 “스타트업 업계와 더욱 많은 소통을 해나가겠다”는 결심을 밝혔다. 준회원으로서 참석한 이양수 의원과 한지아 의원, 김소희 의원은 입을 모아 정회원처럼 열심히 활동하겠다면서 여야가 함께하는 연구단체인 유니콘팜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벤처기업협회의 성상엽 회장은 “스타트업들이 규제로 인해 어려움을 많이 겪는데, 개별 기업들이 나서서 그런 문제를 해결하기란 대단히 어렵다”면서 “앞으로도 유니콘팜 의원님들이 힘을 보태주시면 큰 힘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국회 유니콘팜의 역할에 대한 당부를 이어갔다. 8주년을 맞이한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은 구태언 부의장이 축사에 나섰다. 구태언 부의장은 “스타트업 강국을 만들어가는 든든한 우군으로서 유니콘팜이 지난 8년간 함께 해주셔서 감사드린다”면서 “앞으로도 스타트업의 손을 잡고 함께 이끌어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첫 번째 발제는 이용균 벤처기업협회 스타트업위원회 위원장이 “한국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벤처스타트업 생태계의 역할과 과제”를 주제로 진행했다. 이 위원장은 “신산업 분야의 스타트업들이 혁신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고, 또 광범위하고 적극적으로 사전 허용 원칙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며 “유니콘팜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혁신 스타트업이 많이 만들어지고 생태계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많은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두 번째 발제는 윤건수 한국벤처캐피탈협회 회장이 “벤처투자의 이해와 벤처 생태계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진행했다. 윤 회장은 최근 벤처투자 시장은 도전보다는 안정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뚜렷해지면서 초기단계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급감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설명했다. 특히 인공지능(AI)·빅데이터·시스템반도체 등 소수의 딥테크 기업에 자본이 집중되고 있으며, 고금리 영향으로 2022년 하반기부터 민간 출자가 위축되었고, 이에 벤처투자와 펀드결성이 감소하는 어려움도 장기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서 “벤처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코스닥 시장을 활성화하고, 퇴직연금이 벤처생태계에서 순환할 수 있는 구조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전달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