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4000개↑…독서인구 주는데 출판사는 왜 늘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나 혼자 책 낸다' 1인 출판사 도전
4년새 1.7만개나 늘어 8만개 육박
진입 비교적 쉬워 너도나도 등록
89%는 책 한권도 못낸 '무실적'
4년새 1.7만개나 늘어 8만개 육박
진입 비교적 쉬워 너도나도 등록
89%는 책 한권도 못낸 '무실적'
![사진=게티이미지뱅크](https://img.hankyung.com/photo/202409/99.33311754.1.jpg)
![매년 4000개↑…독서인구 주는데 출판사는 왜 늘지?](https://img.hankyung.com/photo/202409/AA.38121909.1.jpg)
출판업계에선 “1인 출판사를 차리는 일반인, 작가가 늘어난 게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과거에는 기성 출판사 출신의 편집인이 독립해 1인 출판사를 설립하는 사례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본인만의 콘텐츠를 갖춘 직장인이 책을 내거나, 교재를 제작하는 데 직접 뛰어든다는 것이다. 최근 출판사 신고를 마치고 아동 상담 관련 책 출간을 준비 중인 이모씨(56)는 “내 명의로 수익을 내는 게 목표”라며 “기성 출판사를 찾아다니는 시간과 추가 지출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출판사는 비교적 쉽게 차릴 수 있다. 기초지방자치단체 문화과(팀)에 출판사 설립을 신고하고 등록면허세(2만7000원)를 납부하면 사업자등록을 할 수 있다.
다만 1인 출판사가 이익을 내며 업계에 제대로 정착한 사례는 극히 드물다. 박성열 사이드웨이 대표는 “도서 디자인, 인쇄소 섭외, 홍보 등 외주를 주더라도 모든 게 오롯이 개인의 책임이어서 부담이 작지 않다”고 했다. 사이드웨이는 임명묵 작가의
출판사 수 통계 자체가 ‘허수’라는 지적도 나온다. 진흥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책을 단 한 권도 내지 않은 ‘무실적 출판사’는 7만451개(88.5%)로 절대다수를 차지했다. 대한출판문화협회 관계자는 “각종 모임 및 연구소에서 자체 출판물을 내려고 신고해도 출판사로 집계된다”고 설명했다.
박시온 기자 ushire90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