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사진=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과열됐던 부동산 시장의 열기가 8·8 부동산 대책 이후 한풀 꺾였다는 진단이 나왔다.

26일 서울 동작구 전문건설회관에서 열린 '주택공급 활성화를 위한 정책 세미나'에서 한성수 국토교통부 주택정책과장은 "거래량과 주택담보대출 잔액, 매물 수 등 3가지 지표를 면밀히 보고 있다"며 "8·8 대책 발표한 이후 부동산 시장의 뜨거운 여름은 지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8월 거래량이 7월 대비 20% 감소했고, 9월 들어서는 더 감소 폭이 커졌다"며 "주간 단위로는 1000건 이하로 내려왔다"고 강조했다. 이어 "5대 은행 주담대가 많이 둔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매물도 7월과 8월 서울 아파트가 1만8000건 정도 거래됐음에도 계속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장의 개업중개사들도 7월과 8월보다는 9월 들어 거래 문의나 거래 성사 건수가 줄었다는 반응을 보인다"며 이런 시장의 흐름에서 8·8 대책 추진을 빠르게 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도 8·8 대책이 효과를 내고 있으며, 후속 조치들을 빠르게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재원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처장은 "공급 확대 정책과 대출 규제 영향이 맞물려 주택 가격 상승 폭이 축소하고 있다"며 "주택공급 확대 정책이 기존 재고 주택 출회를 늘려 실제 주택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성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정책대출을 비롯한 주택담보대출이 많이 늘어나면서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값이 올랐다"며 "대출 기관의 태도가 경직적 변해 당분간 주택 시장도 안정화 모습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하반기 주택 시장이 안정화하면서 이전 국토부 장관이 말했던 '빵'을 구울 수 있는 시간을 벌었다"고 후속 조치를 당부했다.

이지현 주택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강력한 정책을 내놔도 2~3개월 뒤에는 효과가 퇴색한다. 대출 규제로 시장이 조정되고 있지만 길게 갈 수는 없다"며 "2021~2023년 인허가 이후 미착공 상태로 있는 아파트가 20만호에 달한다. 단기간 내 주택 공급이 가능한 이러한 물량에 집중해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작년과 올해 인허가 감소에 대비하기 위한 브릿지론 지원 방안과 착공물량 감소에 대비한 신용보강 등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정상화 방안이 필요하다"며 "매수 대기자를 안심시킬 수 있도록 수도권 신도시 등 택지지구의 구체적 분양물량과 일정도 제시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