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건보료 폭탄' 맞았어요"…이것 몰랐다간 '날벼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은퇴 후 건강보험료 부담 줄이는 세 가지 방법
KB 금융매니저
KB 금융매니저

은퇴 후 건보료 부담을 줄이는 방법은 세 가지가 있다. 먼저 임의계속가입 제도를 활용하는 방안이다.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의 퇴직 전 건강보험료(임의계속보험료)가 지역가입자 보험료보다 적다면 최대 36개월간 임의계속보험료로 납부할 수 있다. 퇴직 후 최초로 지역가입자 보험료를 고지받은 납부기한부터 2개월이 경과하기 전에 건강보험공단으로 신청하면 된다.
재산요건의 경우 아파트 기준 공시지가의 약 60~70%에 해당하는 ‘재산세 과세표준’을 기준으로 한다. 만약 부부가 각각 연소득 2000만원 이하면서 시가 20억원의 아파트를 50%씩 공동명의로 보유하고 있다면, 피부양자의 소득 요건과 재산 요건을 모두 충족해 직장을 다니는 자녀의 피부양자로 등재할 수 있다.
세 번째는 근로소득자로 재취업하는 방법이다. 은퇴 후 이자와 배당으로 노후 생활비를 마련하는 이들이 적지 않은데 금융소득이 1000만원 이상인 경우 자녀의 피부양자로 등재하기 어렵다. 이때는 재취업을 통해 직장가입자가 되면 건강보험 지역가입자가 되는 시기를 늦출 수 있다. 취업이 아닌 창업을 고려하는 경우 종업원의 유무에 따라 지역가입자로 분류될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김성태 KB라이프생명 W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