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주가 계속 갈까요"…고민 깊어진 개미들 [종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예상 웃돈 마이크론 실적에…SK하이닉스 이틀 만에 11% 급등
"내년에도 HBM 성장 지속"
"공정 어려워 공급 증가도 힘들어"
"내년에도 HBM 성장 지속"
"공정 어려워 공급 증가도 힘들어"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7일 SK하이닉스는 18만3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26일부터 2거래일 만에 11.19% 올랐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는 3.22% 상승해 6만4200원을 기록했다.
마이크론의 2024회계연도 4분기 주당순이익(EPS)은 1.18달러로, 시장 전망치 1.11달러를 웃돌았다. 2025회계연도 1분기 매출 가이던스도 85억~89억달러로 제시해 시장 전망치(82억3000만달러)를 상회했다.
증권가에선 마이크론의 어닝 서프라이즈를 계기로 시작된 반도체 대형주의 반등이 이어질 가능성을 점친다. 마이크론 실적 발표 전부터 반도체 대형주들의 낙폭이 과하다는 분석이 제기돼왔고, 과도한 하락을 촉발한 우려를 마이크론의 실적이 해소해줬다고 본 것이다. 27일 종가 기준 삼성전자는 7월9일의 8만7800원 대비 26.88%, SK하이닉스는 7월11일의 24만1000원 대비 23.73% 하락했다.
하지만 마이크론은 이번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AI 가속기에 들어가는 고대역폭메모리반도체(HBM) 시장이 내년에는 최소 250억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약 180억달러)보다 40%가량 성장한다는 것이다.
황민성 삼성증권 연구원은 “내년에는 AI 가속기 한 대에 들어가는 HBM 탑재량이 늘어난다”며 “동일 수량의 가속기가 팔린다는 전제에서도 30% 중반 이상의 용량 기준 수요 증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범용 D램 시황도 크게 악화되지는 않을 전망이다. 올해 하반기엔 수요업계에 기존 버전인 DDR4 재고가 남아 있어 수요가 흔들리고 있지만, 생산량(공급)도 함께 줄고 있다고 삼성증권은 분석했다. 황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범용 D램 가격이 약세일 수 있지만, 약한 시기는 짧게 지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에는 새로운 버전인 DDR5를 중심으로 수요가 늘어날 가능성도 점쳐진다. 황 연구원은 “D램을 구입하는 업계에서는 AI로 인해 변화될 환경에 대비해 DDR5와 LPDDR5(저전력 제품) 등 고부가 제품 중심의 구매에 나설 것”이라며 “가격이 비싼 DDR5 중심으로 매출 구성이 변해간다는 이야기”라고 분석했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