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의 애수' 부른 원로가수 김용만 별세…향년 89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민적 노래에 삶의 애환과 해학 담아"…작곡가로도 활약
'남원의 애수', '청춘의 꿈' 등으로 1950∼60년대를 풍미한 원로가수 겸 작곡가 김용만이 27일 오전 별세했다.
향년 89세.
박성서 대중음악평론가에 따르면 고인은 지난 1935년 경기민요를 하던 국악인 김대근 선생의 3남으로 서울 종로에서 태어났다.
고인의 동생인 김용남 역시 대금 연주와 악기 제작을 한 국악인이었다.
고인은 악기점에서 일하는 친구 때문에 그곳을 드나들며 '개나리 처녀'의 작곡가 김화영을 만났고, 이를 계기로 '남원의 애수'를 녹음하고 이 곡으로 1953년 가수 활동을 시작했다.
이 노래는 '한양 천 리 떠나간들 너를 어이 잊을쏘냐 / 서낭당 고갯마루 나귀마저 울고 넘네 / 춘향아 우지마라 달래었건만 / 대장부 가슴 속을 울리는 님이여' 하는 춘향전을 모티브로 애틋한 절개와 사랑을 담은 가사로 당시 히트했다.
김용만은 이 노래의 성공에 힘입어 신신레코드사 전속가수로 발탁됐고, 이후 '효녀 심청'·'청춘의 꿈'·'삼등인생'·'생일 없는 소년' 등을 잇따라 히트시키며 인기 가수의 반열에 올랐다.
김용만은 일반 대중가요로 데뷔했지만, 점차 우리 가락을 접목한 민요와 만요(漫謠·희극적인 풍자곡) 등으로 음악의 스펙트럼을 넓혀갔다.
이 때문에 그는 무대에서 '민요 가수' 혹은 '만요 가수'로 종종 소개됐다.
김용만은 생전 무대에서 '아침'을 '아츰'으로, '수고합니다'를 '수고합네다' 등으로 특이하게 발음해 그의 노래를 듣는 이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또 노랫말에 당대 시대상과 함께 해학을 녹여내 청자를 위로했다.
그는 이후 싱어송라이터로 변신해 '명동 부르스', '후라이 맘보' 등을 냈고, 소속 음반사를 통해 '김용만 작곡집'도 발표했다.
직접 작사·작곡을 하는 가수가 드물었던 1950년대, 그는 지방 무대를 다니는 틈틈이 노래를 만드는 열정을 보였다.
김용만은 특히 가수 백야성과 콤비를 이뤄 그의 대표곡을 여럿 만드는 등 작곡가로도 활약했다.
히트곡 '잘 있거라 부산항'을 비롯해 '항구의 영번지', '못난 내 청춘', '마도로스 도돔바' 같은 백야성의 노래가 모두 김용만의 작품이다.
두 사람은 듀엣으로 '김군 백군'도 발표하기도 했다.
김용만은 드라마 주제가 '회전의자'·'적자인생'·'토정비결', 영화 주제가 '무적자'·'꿩 먹고 알 먹고' 등을 내놓는 등 OST 분야에서도 두각을 드러냈다.
박성서 평론가는 "김용만의 노래는 지극히 서민적으로, 삶의 애환이 해학적으로 담겨 있던 것이 특징"이라며 "'무영탑'·'삼국지'·'놀부와 흥부'·'한양 가는 방자' 등 고전 인물, 명작, 전래동화를 소재로 한 노래를 많이 발표한 점도 특이하다"고 평가했다.
김계홍 SBS미디어넷 전 대표가 고인의 아들이다.
빈소는 서울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장례식장 특7호에 마련됐다.
발인은 29일 오전 8시.
/연합뉴스
향년 89세.
박성서 대중음악평론가에 따르면 고인은 지난 1935년 경기민요를 하던 국악인 김대근 선생의 3남으로 서울 종로에서 태어났다.
고인의 동생인 김용남 역시 대금 연주와 악기 제작을 한 국악인이었다.
고인은 악기점에서 일하는 친구 때문에 그곳을 드나들며 '개나리 처녀'의 작곡가 김화영을 만났고, 이를 계기로 '남원의 애수'를 녹음하고 이 곡으로 1953년 가수 활동을 시작했다.
이 노래는 '한양 천 리 떠나간들 너를 어이 잊을쏘냐 / 서낭당 고갯마루 나귀마저 울고 넘네 / 춘향아 우지마라 달래었건만 / 대장부 가슴 속을 울리는 님이여' 하는 춘향전을 모티브로 애틋한 절개와 사랑을 담은 가사로 당시 히트했다.
김용만은 이 노래의 성공에 힘입어 신신레코드사 전속가수로 발탁됐고, 이후 '효녀 심청'·'청춘의 꿈'·'삼등인생'·'생일 없는 소년' 등을 잇따라 히트시키며 인기 가수의 반열에 올랐다.
김용만은 일반 대중가요로 데뷔했지만, 점차 우리 가락을 접목한 민요와 만요(漫謠·희극적인 풍자곡) 등으로 음악의 스펙트럼을 넓혀갔다.
이 때문에 그는 무대에서 '민요 가수' 혹은 '만요 가수'로 종종 소개됐다.
김용만은 생전 무대에서 '아침'을 '아츰'으로, '수고합니다'를 '수고합네다' 등으로 특이하게 발음해 그의 노래를 듣는 이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또 노랫말에 당대 시대상과 함께 해학을 녹여내 청자를 위로했다.
그는 이후 싱어송라이터로 변신해 '명동 부르스', '후라이 맘보' 등을 냈고, 소속 음반사를 통해 '김용만 작곡집'도 발표했다.
직접 작사·작곡을 하는 가수가 드물었던 1950년대, 그는 지방 무대를 다니는 틈틈이 노래를 만드는 열정을 보였다.
김용만은 특히 가수 백야성과 콤비를 이뤄 그의 대표곡을 여럿 만드는 등 작곡가로도 활약했다.
히트곡 '잘 있거라 부산항'을 비롯해 '항구의 영번지', '못난 내 청춘', '마도로스 도돔바' 같은 백야성의 노래가 모두 김용만의 작품이다.
두 사람은 듀엣으로 '김군 백군'도 발표하기도 했다.
김용만은 드라마 주제가 '회전의자'·'적자인생'·'토정비결', 영화 주제가 '무적자'·'꿩 먹고 알 먹고' 등을 내놓는 등 OST 분야에서도 두각을 드러냈다.
박성서 평론가는 "김용만의 노래는 지극히 서민적으로, 삶의 애환이 해학적으로 담겨 있던 것이 특징"이라며 "'무영탑'·'삼국지'·'놀부와 흥부'·'한양 가는 방자' 등 고전 인물, 명작, 전래동화를 소재로 한 노래를 많이 발표한 점도 특이하다"고 평가했다.
김계홍 SBS미디어넷 전 대표가 고인의 아들이다.
빈소는 서울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장례식장 특7호에 마련됐다.
발인은 29일 오전 8시.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