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현지시간 어제저녁, 이스라엘 하늘에는 200여 발의 탄도미사일이 쏟아졌습니다.

미사일을 발사한 이란 측은 '방어권을 행사한 것'이라고 밝혔지만, 이스라엘은 '큰 실수를 저지른 것'이라며 맞받아쳤습니다.

이에 불안감이 고조되며, 유가는 장중 5%대까지 치솟았는데요.

다만 중동 리스크에도 연말까지 유가가 하락할 것이란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인지, 우리 기업들에 미치는 영향은 어떨지 짚어보겠습니다.

<앵커>

이스라엘과 이란의 분쟁이 전면전으로 확전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고조되며, 간밤 유가가 치솟았는데요.

추세적으로 보면 최근 들어 유가는 하락세지 않았습니까?

정 기자, 연말이면 감산 조치가 해제될 것이란 소식 때문이겠죠?

<기자>

그렇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가 연말부터 내년까지 최대 100만 배럴을 증산할 것이란 소식이 영향을 미친 겁니다.

최근 유가 흐름을 살펴보면요. 작년 9월 배럴당 93달러를 웃돌았던 유가는 일 년 새 20% 넘게 하락했거든요.

때문에 주요 산유국들이 모인 OPEC+는 원래 10월에 감산을 해제하려고 했는데, 12월까지 다시 연장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업계에선 2022년부터 계속된 OPEC+의 감산 조치가 득보다 실이 더 크다는 판단 아래, 종지부를 찍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원유 패권' 때문인데요. 산유국하면 중동 국가들이 먼저 떠오르실 겁니다.

하지만 최대 산유국은 미국입니다. 지난해 하루 평균 2,200만 배럴을 생산하며 2위 사우디에 비해 약 2배 많은 원유를 생산했는데요.

현재 사우디는 하루 200만 배럴을 감산하며, 평균 890만 배럴만 생산 중입니다.

결국 계속된 감산에도 유가 방어는 안 되는데, 캐나다나 중국 등 OPEC+ 비가입국들이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리니 내부에서도 불만이 많은 상황입니다.

이를 고려해, 내년 연말까지 100만 배럴 증산이라는 카드를 꺼내 든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유가를 끌어올릴 수 있는 요인, 세 가지만 짚어보면요.

첫 번째는 처음 짚었던 지정학적 리스크입니다.

이란과 이스라엘의 분쟁이 전면전으로 격화될 경우, 이란을 비롯해 주변 산유국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고요.

두 번째는 중국의 대규모 부양책인데요. 상해 지수를 보면 1년 3개월동안 하락한 걸 최근 5일 만에 만회했더라고요.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그만큼 크다는 반증인데요.

내부 경기가 살아난다면, 석유 수요가 늘어나고, 장기적으로 유가 상승을 자극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마지막으로 올겨울 한파로 인해 난방 수요가 늘 수 있다는 겁니다.

일반적으로 겨울은 연료 수요가 많은 계절이기도 합니다만, 올해는 라니냐 현상이 나타나며 연료 수요가 늘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정 기자, 유가 불안정이 우리 기업들에 미치는 영향도 점검해 봐야겠죠?

<기자>

네, 사실 원유가 안 쓰이는 업종이 없긴 하지만, 가장 민감한 업종들 중심으로 살펴볼 텐데요.

두 가지 시나리오를 가정해 보겠습니다. 먼저 중동 리스크가 고조되고, 여러 이유로 수요가 늘어나 유가가 상승한다면요.

S-Oil 같은 정유주의 실적엔 긍정적입니다. 두 가지 측면에서 짚어보겠습니다.

첫 번째로, 유가가 오르면, 장부상 재고 평가액이 늘고요.

두 번째로, 원유를 정제할 때 생기는 '정제 마진'이 일반적으로 유가와 정비례하는 만큼, 정유 기업들은 웃는 환경이 조성됩니다.

한편 매출 원가 가운데, 연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큰 해운사나 항공사 입장에선 유가 상승이 악재겠죠.

올해 상반기에만 해도 HMM과 대한항공은 조 단위의 돈을 연료비에 썼습니다.

전체 영업비용에서 유류비의 비중은 HMM이 약 18%, 대한항공은 약 34%였고요.

연료비 변동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팬오션 같은 경우 스왑계약을 맺기도 했지만요. 그만큼 이익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이고요.

반대로 유가가 하락한다면, 정유주 입장에선 아쉽지만, 해운사나 항공사 입장에선 비용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앵커>

정 기자, 오늘 소식 어떻게 정리해 볼까요?

<기자>

오늘 방송에선 기업의 이익 관점에서만 다뤘는데요. 우선 사람의 생명이 걸린 문제이기도 하고요.

우리 생활적으로 볼 때에는 이제 막 잡혀가는 물가에 다시 불을 붙일 수도 있죠.

탈무드에선 '최고의 복수는 잘 사는 것'이라고 하는데, 반복되는 복수의 쳇바퀴에서 내려오길 바라면서요.

"반복되는 분쟁, 떨고 있는 시장…이제 멈춰!"로 마무리하겠습니다.


정호진기자 auva@wowtv.co.kr
"방어권 행사" vs "이란, 큰 실수"…중동 위기에 날뛰는 유가 [엔터프라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