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싼 中 후판 밀려들자…정부, 반덤핑 조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산보다 싸…수입 물량 급증
포스코·현대제철 등 피해
선박 건조비 20% 차지하는데
호실적 조선사는 이익 줄까 걱정
포스코·현대제철 등 피해
선박 건조비 20% 차지하는데
호실적 조선사는 이익 줄까 걱정
국산보다 15~20% 저렴한 중국산 후판이 국내 시장에 밀려들자 정부가 4일부터 해당 제품을 대상으로 반덤핑 조사에 들어갔다. 현대제철의 제소로 정부가 행동에 나서기는 했지만, 실제로 반덤핑 판정을 내릴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중국산 후판에 의존하는 중소 조선사의 반발이 심한 데다 중국 정부가 경기 부양에 나서면서 철강 수출을 줄일 가능성이 있어서다.
4일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올 1~9월 중국산 후판은 88만7000t 수입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81만9000t)보다 8.3% 늘었다. 6㎜ 이상 두꺼운 철판인 후판은 선박 건조용, 건설용 등으로 주로 쓰인다. 중국산 후판 유통가격은 국산보다 t당 10만~20만원가량 저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후판을 제조하면 남는 돈이 없는 실정인데 값싼 중국산 때문에 고객사들이 가격을 낮춰달라고 해 실적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이유로 현대제철은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에 반덤핑 조사를 요청했다. 무역위는 3개월 예비조사 이후 본조사 판정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후판을 제조하는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은 지난해부터 쏟아진 중국산 저가 후판 때문에 피해가 크다는 입장이다. 칠레 멕시코 브라질 등도 중국산 철강 관세를 높이고 베트남과 튀르키예도 반덤핑 조사에 들어가는 등 글로벌 각국이 비슷한 대책을 세우고 있다.
반면 국내 조선사들은 후판 반덤핑 조사에 불편한 기색을 내비치고 있다. 선박 건조 비용의 20%를 차지하는 후판에 관세를 물리면 10여 년 만에 실적이 개선되는 조선사에 타격이 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업계 관계자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을 제작할 땐 국산 후판이 좋지만, 범용 제품에서는 중국산의 품질도 많이 올라왔다”고 지적했다.
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지난달 말 회원사를 통해 후판 관세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다. HD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조선 빅3는 중국산 후판 이용 비중이 20%가량인데, 보세구역을 이용하기 때문에 관세를 물지 않는다. 하지만 중국산 후판을 30~50% 사용하는 케이조선, 대선조선, HJ중공업 등 중형 조선사는 보세구역 등 관련 시스템을 이용할 여력이 없다는 점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변수는 중국 정부의 부양책에 따른 경기 회복이다. 자국 내에서 철강재 소비가 늘면 수출하는 철강재 양이 감소하며 한국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든다. 철강업체 입장에선 명분이 약해지는 셈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언제든 중국산 철강이 국내로 밀고 들어올 수 있다”며 “각국에서 중국산 철강재 ‘관세 장벽’을 높이는 만큼 이번 기회에 한국에서도 진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형규/황정환 기자 khk@hankyung.com
이런 이유로 현대제철은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에 반덤핑 조사를 요청했다. 무역위는 3개월 예비조사 이후 본조사 판정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후판을 제조하는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은 지난해부터 쏟아진 중국산 저가 후판 때문에 피해가 크다는 입장이다. 칠레 멕시코 브라질 등도 중국산 철강 관세를 높이고 베트남과 튀르키예도 반덤핑 조사에 들어가는 등 글로벌 각국이 비슷한 대책을 세우고 있다.
반면 국내 조선사들은 후판 반덤핑 조사에 불편한 기색을 내비치고 있다. 선박 건조 비용의 20%를 차지하는 후판에 관세를 물리면 10여 년 만에 실적이 개선되는 조선사에 타격이 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업계 관계자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을 제작할 땐 국산 후판이 좋지만, 범용 제품에서는 중국산의 품질도 많이 올라왔다”고 지적했다.
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지난달 말 회원사를 통해 후판 관세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다. HD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조선 빅3는 중국산 후판 이용 비중이 20%가량인데, 보세구역을 이용하기 때문에 관세를 물지 않는다. 하지만 중국산 후판을 30~50% 사용하는 케이조선, 대선조선, HJ중공업 등 중형 조선사는 보세구역 등 관련 시스템을 이용할 여력이 없다는 점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변수는 중국 정부의 부양책에 따른 경기 회복이다. 자국 내에서 철강재 소비가 늘면 수출하는 철강재 양이 감소하며 한국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든다. 철강업체 입장에선 명분이 약해지는 셈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언제든 중국산 철강이 국내로 밀고 들어올 수 있다”며 “각국에서 중국산 철강재 ‘관세 장벽’을 높이는 만큼 이번 기회에 한국에서도 진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형규/황정환 기자 k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