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다 진짜 문 닫을 판" 공포…보쌈집에 무슨 일이 [이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채소값 폭등에 밑반찬 양 줄이는 식당들
"손님들 채소 막 퍼다 먹어"
셀프서비스 폐지로 비용 절감도
"손님들 채소 막 퍼다 먹어"
셀프서비스 폐지로 비용 절감도
![서울의 한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410/ZA.38222486.1.jpg)
이 씨는 최근 상추 4㎏을 12만원대에 구입했다. 평년 2만~3만원에 비해 최대 6배가량 비싼 가격이었다. “채소 가격이 올라도 너무 올랐다”고 푸념한 그는 “가뜩이나 배추 값도 폭등이라 보쌈 김치 담그는 것도 부담인데 깻잎, 상추, 오이까지 줄줄이 올라 재룟값이 가게 운영 비용의 50%를 넘어섰다”며 “영업을 계속할 수 있을지 ‘공포심’이 들 정도”라고 말했다.
폭염과 가뭄 여파로 먹거리 물가가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식당 인심이 팍팍해지고 있다. 밑반찬 가짓수는 물론 각종 서비스를 축소하거나 재료를 저렴한 대체품으로 바꾸는 등 비용 절감에 나선 것이다. 자영업자들은 “한 푼이라도 아껴야 겨우 가게 유지라도 할 판”이라고 호소했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배추 판매대에 폭염으로 인한 작황 부진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사진=뉴스1](https://img.hankyung.com/photo/202410/ZN.38220636.1.jpg)
상추 가격도 함께 올랐다. 상추(청상추)는 100g당 2779원으로 1년 전(1841원)보다 50% 올랐다. 지난 7월 초순만 하더라도 1500원 안팎이던 상추 가격은 폭염이 심해진 같은달 하순부터 2500원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배추도 소매가격도 aT 조사에서 지난달 한때 1만원대에 육박할 정도로 폭등세다.
식당들은 앞다퉈 반찬과 메뉴를 교체하고 있다. 김치 등 밑반찬으로 배추를 사용하는 일부 한정식 음식점은 배추김치 대신 깍두기나 열무김치로 메뉴를 바꾸고 있었다. 서울 영등포구에서 백반집을 운영하는 유모 씨(63)는 이달부터 직접 담근 배추김치 대신 열무김치, 깍두기로 대체했다. 유 씨는 “한 망에 8000원 하던 배추가 최근 한 달새 2만원을 넘어섰다”며 “손님들이 중국산 김치를 내놓으면 싫어해서 (메뉴를) 바꿨다“고 했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포장김치 코너에 배추 수급 문제로 인한 김치 상품 소량 입점 안내문이 붙치되어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410/ZA.38120678.1.jpg)
셀프 서비스였던 김치나 채소 밑반찬을 배식제로 바꾸는 것도 식당이 비용 절감을 위해 쓰는 주된 방법이다. 인천에서 대패 삼겹살집을 운영하는 자영업자 박모 씨는 ‘채소 반찬 셀프바’를 없앴다. 쌈채소를 양껏 먹지 못하게 됐다고 핀잔을 주는 손님들도 있지만, 가게 사정을 몰라서 하는 말이라고 그는 귀띔했다.
‘반찬 무한 리필’에 익숙한 한국인의 특성상 다 먹지도 못할 만큼 퍼 가서 남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추가 요청을 할 때마다 번거롭지만 조금씩 더 가져다주는 방식이 낫다는 얘기다. 박 씨는 “채소 가격이 올랐다고 하니 평소에 잘 못먹는 쌈채소나 나물 반찬들을 예전보다 더 많이 가져다 먹으려는 손님들이 많았다”며 “평소에 상추나 깻잎 등을 한 박스 사놓으면 닷새는 너끈히 갔는데 하루를 채 못가 소진되는 것을 보고 당분간 셀프바를 치우기로 했다”고 귀띔했다.
폐업을 고려하는 사장님들도 있다. 쌈밥집이나 고깃집 등 주로 채소 반찬이 많이 나가는 식당들이다. 인천에서 쌈밥집을 운영하는 이모 씨(61)는 “올해 내내 채소 가격이 오르지 않은 때가 없는 것 같다”며 “물가가 뛴다고 해도 이정도로 오른 적은 처음”이라며 “인건비에다 월세, 전기세 등도 다 비싸졌는데 재료 물가도 쉽게 잡힐까 싶어 가게를 접을까 하고 있다”고 했다.
자영업자 온라인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에서도 채소 값에 대한 고민을 호소하는 글이 여럿 올라왔다. 한 쌈밥집 사장은 일부 쌈채소를 쌈무나 다시마 등으로 대체해도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다고 하소연했다. 한 고깃집 사장은 "상추 무한리필이냐는 전화를 받았다"며 황당해 했다. 채소 가격이 많이 오르자 식당에서 최대한 많이 먹고 가자는 분위기가 감지된다는 이야기다. “상추, 깻잎 등이 너무 비싸 주말에 시골에 가 직접 따러 간다”는 이도 있었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410/ZA.38222445.1.jpg)
비싼 배추 가격에 포장 김치 수요가 몰리면서 일부 기업의 온라인몰에서는 포장 김치 품절 사태까지 벌어지고 있다. 한 마트에서는 1인 세 통으로 배추 구매을 제한한다는 안내문도 걸렸다.
치솟은 채소 가격은 전체 물가 상승까지 부추기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3년6개월 만에 1%대로 진입했지만 농산물 물가는 3.3%가 올라 전체 물가를 0.14%포인트 끌어올렸다. 특히 배추(53.6%) 무(41.6%) 상추(31.5%) 등 채소류가 11.5%로 많이 올랐다. 특히 채소는 서민 생활과 직결한 대표 먹거리 품목이라 체감 물가를 더 높이는 요인이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