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를 1조6000억원 넘게 밑돈 9조1000억원에 그쳤다. 주력인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이 직전 분기보다 1조원 이상 줄어든 영향이다.

삼성전자 실적 부진…초유의 '반성문'
수익성이 좋은 고대역폭메모리(HBM)에서 SK하이닉스에 밀리고, 범용 D램에서는 중국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의 저가 공세에 시달린 여파다. ‘삼성 위기론’이 확산하자 반도체 부문(DS)을 이끄는 전영현 부회장이 8일 실적 공개 직후 이례적으로 사과 메시지를 내고 대대적인 혁신을 약속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올 3분기 매출 79조원, 영업이익 9조10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2분기보다 매출은 6.66% 늘었지만 영업이익이 12.84% 감소했다. 2분기에 10조원 넘는 영업이익을 내며 ‘위기론’을 잠재웠지만 곧바로 뒷걸음질 쳤다. 컨센서스(매출 80조9903억원, 영업이익 10조7717억원)에 한참 못 미친 ‘어닝 쇼크’였다. 삼성전자는 “서버와 HBM 수요는 견조했지만, 일부 모바일 고객사가 재고를 조정한 데다 중국 업체의 범용제품 공급이 늘어난 영향을 받았다”며 “연말 성과급 1조5000억원을 3분기에 적립하는 등 일회성 비용이 든 것도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3분기 메모리사업 부문 영업이익(5조5000억원)이 메모리사업만 벌이는 SK하이닉스(6조7679억원)에 밀린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메모리 챔피언이 30여 년 만에 바뀔 수 있다는 의미다. 삼성의 경쟁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전 부회장은 “걱정을 끼쳐 송구하다”며 “위기 극복을 위해 경영진이 앞장서 꼭 재도약의 계기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스마트폰 등을 담당하는 모바일경험(MX) 부문과 디스플레이 부문은 3분기 각각 2조6000억원과 1조7000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두는 등 나름 선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채연/박의명 기자 why2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