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편의점 맞아요?"…라면 사러 갔다가 '깜짝' [트렌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혁신 나선 편의점 업계
"천편일률적 점포는 그만"
점포별 개성 살린 '특화점 경쟁' 치열
"천편일률적 점포는 그만"
점포별 개성 살린 '특화점 경쟁' 치열
편의점업계가 단순히 물건을 사고파는 공간에서 탈피해 다양한 체험과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실험을 하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CU는 지난해 12월 도입한 '라면 라이브러리'를 앞세워 특화점 확대에 공을 들이고 있다. 라면 라이브러리는 라면을 직접 조리해 맛볼 수 있는 체험형 편의점이다. 전국으로 확대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가맹점 20여곳이 신청했고, 이달 부산에서 3개 점포가 문을 열면서 총 10곳으로 늘었다.
CU는 샐러드 특화점도 도입했다. 주로 관광지에 자리잡은 라면 특화점과 달리 서울 지역 내 오피스 및 대학 상권에 위치해 직장인과 학생 고객을 겨냥했다. 5개 점포에서 시범 운영하고 내년 100여 곳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GS25는 점포가 있는 상권의 특수성과 결합한 특화점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청년층이 많이 모이는 서울 성수동에는 카페 콘셉트의 '도어투성수' 매장을 열어 각종 팝업을 진행하거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를 기치로 내걸어 인공지능(AI), 로봇 등 리테일테크를 도입한 '가산스마트점', '그라운드블루49점'을 운영하는 식이다.
농축수산 식품군을 일반 매장보다 500종 이상 늘린 신선강화형 매장(FCS)도 지난 9월 기준 515곳으로 확대했다. 야구 팬이 많은 잠실(LG트윈스)과 대전(한화 이글스)에는 야구 특화점도 도입했다. GS25 관계자는 "공간적인 한계로 인해 다양한 콘셉트를 여러 지역에 접목해 랜드마크화하려 한다"며 "편의점 투어도 가능한 형태로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븐일레븐도 지난달 27일 패션·뷰티 상품으로 차별화한 '세븐일레븐 동대문던던점'을 선보이며 특화점 경쟁에 합류했다. 지난 6일까지 패션·뷰티 특화존에 운영하는 상품은 누적 300개에 육박하는 판매량을 보였고, '뭉' 후드티·맨투맨티는 20개나 팔렸다. 이 점포의 비식품군 매출 비중은 27%로 일반 점포(20%) 대비 7%포인트가량 높다. 세븐일레븐을 운영하는 코리아세븐은 자체 브랜드(PB) 화장품 출시도 검토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편의점이 생활 속에 자리잡으면서 소비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안길 수 있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며 "단순히 물건을 사고파는 공간이라틑 틀에서 벗어나 카페, 식당, 쇼핑몰 등 점포별 개성을 살린 형태로 변모해 다양한 콘텐츠와 체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9일 업계에 따르면 CU는 지난해 12월 도입한 '라면 라이브러리'를 앞세워 특화점 확대에 공을 들이고 있다. 라면 라이브러리는 라면을 직접 조리해 맛볼 수 있는 체험형 편의점이다. 전국으로 확대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가맹점 20여곳이 신청했고, 이달 부산에서 3개 점포가 문을 열면서 총 10곳으로 늘었다.
CU는 샐러드 특화점도 도입했다. 주로 관광지에 자리잡은 라면 특화점과 달리 서울 지역 내 오피스 및 대학 상권에 위치해 직장인과 학생 고객을 겨냥했다. 5개 점포에서 시범 운영하고 내년 100여 곳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GS25는 점포가 있는 상권의 특수성과 결합한 특화점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청년층이 많이 모이는 서울 성수동에는 카페 콘셉트의 '도어투성수' 매장을 열어 각종 팝업을 진행하거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를 기치로 내걸어 인공지능(AI), 로봇 등 리테일테크를 도입한 '가산스마트점', '그라운드블루49점'을 운영하는 식이다.
농축수산 식품군을 일반 매장보다 500종 이상 늘린 신선강화형 매장(FCS)도 지난 9월 기준 515곳으로 확대했다. 야구 팬이 많은 잠실(LG트윈스)과 대전(한화 이글스)에는 야구 특화점도 도입했다. GS25 관계자는 "공간적인 한계로 인해 다양한 콘셉트를 여러 지역에 접목해 랜드마크화하려 한다"며 "편의점 투어도 가능한 형태로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븐일레븐도 지난달 27일 패션·뷰티 상품으로 차별화한 '세븐일레븐 동대문던던점'을 선보이며 특화점 경쟁에 합류했다. 지난 6일까지 패션·뷰티 특화존에 운영하는 상품은 누적 300개에 육박하는 판매량을 보였고, '뭉' 후드티·맨투맨티는 20개나 팔렸다. 이 점포의 비식품군 매출 비중은 27%로 일반 점포(20%) 대비 7%포인트가량 높다. 세븐일레븐을 운영하는 코리아세븐은 자체 브랜드(PB) 화장품 출시도 검토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편의점이 생활 속에 자리잡으면서 소비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안길 수 있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며 "단순히 물건을 사고파는 공간이라틑 틀에서 벗어나 카페, 식당, 쇼핑몰 등 점포별 개성을 살린 형태로 변모해 다양한 콘텐츠와 체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