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이 공립대 재정 지원 확대 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한 데 대해 의원들이 토론하는 동안 학생과 교수들이 의회 밖에서 집회를 열고 있다. /사진=AP
지난 9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이 공립대 재정 지원 확대 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한 데 대해 의원들이 토론하는 동안 학생과 교수들이 의회 밖에서 집회를 열고 있다. /사진=AP
중국에선 최근 몇 년 사이 연간 1000만여명의 대학 졸업생 태반이 실업자로 전락해 공산당 정부가 발표한 실업률이 15%에 이를 정도다. 그런데 이런 현상이 중국 뿐만 아니고 인도와 아르헨티나 몽골 등 신흥국 전반에서 벌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자녀 교육을 통해 보다 나은 미래를 꿈꿨지만 그 나라의 고급 인력 수요는 늘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구직에 실패한 대졸자들이 교육 수준이 낮은 사람들보다 정신적으로 더 불행한 삶을 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보다 더 많은 인도 대졸 실업자

1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UN 국제노동기구(ILO)의 8월 보고서를 인용해 "고등교육을 받은 개발도상국 청년의 실업률은 고소득 국가의 2~3배에 이른다"고 보도했다.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중동, 북아프리카 등의 중·하위소득 국가의 30세 미만 대졸자 5분의 1 이상이 실업 상태인 것으로 집계됐다.

WSJ는 "농부, 노동자, 목동들은 자녀들의 고등 교육을 위해 버는 돈을 쏟아부었고, 자녀는 변호사, 엔지니어, 외교관의 꿈을 키웠으나 일은 잘 풀리지 않았다"고 했다. 대학 졸업생은 급증했으나, 신흥국 사회와 경제는 화이트칼라 일자리를 그만큼 창출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중국에선 최근 '전업 자녀'라는 말이 유행이다. 부모에게 용돈을 받아 연명하는 삶을 자조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인도 역시 사정은 다르지 않다. 인도는 지난 20년간 대졸자 비율이 3배나 증가했다. 그러나 ILO가 지난 3월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22년 기준 30세 미만 인도 대졸자의 29%가 실업상태다. 초등교육도 못받은 사람의 실업률은 3%대에 불과한 반면 대졸자의 실업률은 그의 9배에 달한다. 인도의 최고 공대를 졸업한 일부만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등으로 일하고 나머지는 배달원, 운전사 등의 직업을 구해야 한다.

변호사, 외교관 꿈꿨던 불법 이민자

몽골에서도 1990년대 초반 공산주의 종식 후 대학이 난립하면서 대졸자들이 늘어났다. 목축업을 하는 집안에서 자란 아즈자르갈 뎀베렐 씨(37)는 10대 시절 수도 울란바토르로 유학을 떠나 지역 대학에서 저널리즘 학위를 받았다. 그녀의 남동생 두 명도 의학과 법학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아무도 전공을 살리지 못했다. 아즈자르갈 씨는 암웨이 외판원으로 일하고 있고 동생은 한국으로 이주해 청소를 하거나 이사짐을 나르고 있다.

라틴아메리카도 마찬가지다. 서울대보다 글로벌 대학 순위가 높았던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대 산업디자인과를 2023년에 졸업한 카밀라 오르티스 카람(26)은 전공 분야에서 일자리가 거의 없어 독립을 미루다 결국 향수 가게 점원이 됐다. 이력서를 위해 대학에서 무급 시간강사로 일하고 있다.

일부 청년들은 해외 이주를 택하고 있다. 미국 퓨리서치의 수석 인구학자 제프 파셀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에 불법으로 입국한 25~64세 이민자 가운데 대졸 이상 학력을 가진 비율이 2007년 17%에서 2022년 36%로 두 배 이상으로 늘었다. 현실에 실망한 학위 소지자들은 결혼을 미루고 자녀를 갖지도 않고 있어 인구 침체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된다.

대학 정원을 너무 확대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보스턴 칼리지 국제 고등교육 센터의 명예교수인 필립 알트바흐는 "(대학 교육)문이 과도하게 넓게, 무차별적으로, 너무 빨리 열렸다"며 "지니가 병에서 나오면 다시 넣기는 매우 어렵다"고 말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