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이 젊음을 만나면 어떻게 될까? 바로 ‘춤추는 죽음’이 된다. <말러 교향곡 9번 Mahler Symphonie No. 9 in D Major> 이 젊고 재기발랄한 지휘자 클라우스 메켈레를 만났을 때 얘기다.
관객에게 인사하러 무대로 등장하는 클라우스 메켈레 / 사진. ⓒ이진섭
관객에게 인사하러 무대로 등장하는 클라우스 메켈레 / 사진. ⓒ이진섭
지난 2일 핀란드 출신의 28세 젊은 지휘자 클라우스 메켈레는 파리 필하모니 콘서트홀에서 현재 자신이 음악감독을 맡고있는 파리 오케스트라와 함께 <말러 교향곡 9번>을 연주했다.

지난 8월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서 봤던 안드리스 넬손스와 빈 필하모닉의 <말러 교향곡 9번> 연주가 폭넓은 소리 경험과 묵직한 인상을 남긴 연주였는데, 현재 클래식 음악계에서 가장 촉망받는 지휘자인 클라우스 메켈라가 파리 관현악단과 함께 <말러 교향곡 9번>을 공연한다면 과연 어떤 느낌일지 궁금했다. 특히 동일한 교향곡을 두 지휘자가 어떻게 해석하고, 관혁악단의 소리를 이끌어낼지 비교하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에 파리에 머무는 짧은 기간 짬을 내어 공연장을 찾았다.

<말러 교향곡 9번>은 1909년 이탈리아 슬루더바흐에서 여름휴가를 보내면서 초고를 완성했고, 틈틈이 작업한 끝에 1910년 뉴욕에서 총보를 완성한 교향곡이다. 이 곡을 작곡할 때쯤 말러는 육체적, 심리적 고통을 겪고 있었다. 오랜 기간 동안 앓고 있던 심장 질환이 점점 더 심해졌고, 새로 부임했던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극장에서는 한 시즌밖에 지휘하지 못한 채 아르투로 토스카니니에게 자리를 내줘야 했으며, 아내였던 알마가 건축가이자 바우하우스의 설립자인 발터 그로피우스와 외도한 사실을 알게 되어 (프로이드에게) 정신과 상담을 받아야 할 정도였다.

1911년 5월 18일 말러가 하늘나라로 가기 전까지 말러에게 일어난 비극적 상황들은 악보에 있는 신비로운 문구들(1악장 267 마디-“오! 젊음이여! 사라졌구나! 오 사랑이여! 가버렸구나! O Jugendzeit! Entschwundene! O Liebe! Verwehte!”/1 악장 434 마디-“안녕! 안녕! (Leb'wol! Leb' wol!)” 그리고, 4악장 종결부에 표시된 “죽어가듯이’(Ersterbend)” 등)과 어우러져 곡을 접하는 지휘자나 연주자 청자들에게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남겨뒀다. 죽음에 대한 은유와 한 작곡가의 치열한 말년을 어떻게 받아들여 연주로 구현하느냐에 따라 <말러 교향곡 9번>의 느낌과 깊이는 달라는 것이다.

메켈레에겐 너무 좁았던 포디움. 발레하듯 춤추며, 모든 열정 쏟아내...

클라우스 메켈레가 활짝 웃는 모습으로 무대에 등장했다.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서 안드리스 넬손스가 다소 엄숙한 분위기로 등장했던 것과는 사뭇 대조적이었다.

<대지의 노래> 마지막 부분을 모티브로 시작하는 1악장 초반부를 메켈레는 여느 지휘자와 다름없이 잔잔하고, 섬세하게 숨죽인 악기들을 깨웠다. 2주제가 1주제를 휘몰아치듯이 밀어내는 부분에서 클라우스 메켈레는 온몸을 휘저어가며 오케스트라 단원들의 모든 소리 역량을 이끌어냈다. 28분 정도 되는 길이의 1악장이 끝나자, 오랜 시간 숨죽였던 관객들은 각양각색의 기침으로 숨통을 틔웠다. 관객들의 기침 심포니에 매켈레는 참던 웃음을 터트렸고, 티를 내고 싶지 않은 듯 고개를 숙인 채 다음 악장을 향한 기운을 가다듬었다.

말러가 즐겨 쓰던 춤곡 형식의 2악장을 메켈레는 발레리나가 춤추듯 지휘했다. 젊은 혈기와 솟구치는 열정이 죽음의 교향곡에 투사되어 공연장에 전반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말 그대로 죽음의 무희 같은 2악장이었다. 2악장에서 뒤틀리고 어두운 느낌의 렌틀러와 거친 표현의 왈츠는 하나의 드라마처럼 흥미진진하게 전개되었다.

‘아주 빠르고 매우 고집스럽게 연주하라.’는 3악장은 ‘해학극’이라는 부제를 지닌 만큼 불협화음을 다소 과장되게 희화화시켜서 표현한 것이 인상적이었다. 트럼펫과 현의 주고받음을 좀 더 극적인 소리의 대조를 주면서 죽음의 축제가 공연장에 펼쳐진 것처럼 연주를 이끌고 갔다. 메켈레는 3악장의 주요 포인트와 긴장을 능수능란하게 조절하면서 <말러 교향곡 9번>에 골계미와 원숙미를 더했다. 트럼펫 멜로디가 고음으로 내면서도 섬세하게 연주하는 부분이나 호른 4대가 공연장 전체를 들이받듯 연주하는 부분은 죽음의 축제가 광기로 재탄생하는 것 같았다.
클라우스 메켈레, 춤추는 죽음을 연주하다
연주를 마치고 관객들에게 인사하는 클라우스 메켈레 / 사진. ⓒ이진섭
연주를 마치고 관객들에게 인사하는 클라우스 메켈레 / 사진. ⓒ이진섭
죽음 혹은 소멸로 수렴하는 4악장은 A-B-A-B-A 형태의 론도 형식에 185마디임에도 불구하고 약 20분 동안 느린 전개로 청자에게 미학적 카타르시스를 선사하는 부분이다. 현악기 중심으로 구성된 이 악장은 악보에 표시된 ‘죽어가듯이’를 어떤 뉘앙스와 긴장감으로 이끌고 가느냐가 관건이며, 연주가 끝나고 관객들이 약 1분에서 30초가량 묵상 같은 시간을 가진 후 박수를 치는 것이 관례다. 매켈레는 마지막 부분까지 세심한 노력을 기울이며 <말러 교향곡 9번>을 완성시켰다.

연주가 모두 끝나고, 30초 정도 시간이 흐른 후 메켈레가 자신의 소명을 다했다는 듯 포디움에서 내려왔다. 수석 바이올린 연주자를 향해 환하게 웃는 모습에서 음악적 소명을 다한 지휘자의 책임감과 천진난만한 아이의 순수함이 동시에 느껴졌다.
연주를 마치고 단원들에게 웃음을 보내는 클라우스 메켈레 / 사진. ⓒ이진섭
연주를 마치고 단원들에게 웃음을 보내는 클라우스 메켈레 / 사진. ⓒ이진섭
춤추는 죽음, 숭고한 아름다움으로….

죽음은 보편적으로 어둡고, 두려운 주제일 수 있지만, 일상처럼 흔하고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대지의 현상이다. 인간은 ‘갑작스러운 죽음 (Mors Improvisia)’에 대해 항상 상기해야 한다. ‘너는 죽음을 항상 기억하라.’ 즉 ‘메멘토 모리 (Memento Mori)’ 근저에 깔린 교훈이 이것이다. 메켈레가 연주한 <말러 교향곡 9번>은 이런 일상적 죽음이 언젠가 춤이 되고, 축제가 될 수 있다는 뉘앙스가 짙게 묻어나는 창의적인 해석이었다. 그것은 황망한 슬픔보다 숭고한 아름다움과 더 가깝게 느껴졌다. 지휘자 메켈레의 성장과 다음 연주가 기대되는 이유기도 하다.

파리=이진섭 칼럼니스트·아르떼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