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동휘의 재계인사이드] '늑대'와 '사마리아인'의 경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동휘 산업부 기자
사랑과 불륜의 차이는 지극히 주관적이다. 타인은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그 차이가 당사자에겐 좀처럼 납득되지 않기 마련이다. 그래서 ‘내로남불’이라고 하지 않던가. 고려아연의 경영권 분쟁에 뛰어든 MBK파트너스가 서 있는 지점도 사랑과 불륜의 경계 어디쯤이다. 자신의 이름(마이클 병주 킴)을 걸고 MBK를 동북아 최대 사모펀드로 키운 김병주 회장은 왜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의 한복판에 뛰어들었을까. 경영권을 노린 적대 세력(늑대)인지 아니면 회사 경영을 정상으로 되돌리려는 ‘착한 사마리아인’인지의 논란에서 결론에 다다르려면 우선 MBK라는 사모펀드의 특성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영문학도인 한국계 미국인 김 회장이 자본시장의 큰판에 뛰어들도록 만든 건 ‘차입 매수(LBO)’라는 새로운 시장이었다. 그가 전 세계 연기금을 돌아다니며 펀드를 조성한 2000년대 초반은 KKR, 칼라일, 블랙스톤 등 글로벌 사모펀드(PEF)들이 사자후를 발하던 시절이었다.
KKR 등은 불과 20여 년 만에 세계 자본시장의 주요 플레이어 지위를 차지했다. 김 회장의 눈에 이 같은 변화는 마치 신이 내린 계시 같은 것이었을 터다. 조금 더 거칠게 표현하자면 ‘정해진 돈벼락’이었다. 이는 마치 미국의 아주 맛있고 수익성 좋은 햄버거 프랜차이즈를 극소수의 한국인만 알고 있고, 그 중 한 명이 한국에 수입하기로 한 결정과 비슷하다.
김 회장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자본시장의 변화 현장을 직접 목도하고, 몸으로 체득했다. 그의 수첩은 전 세계 연기금 담당자의 목록으로 빼곡했을 것이다. 한국, 일본, 대만 등 아시아의 시장경제 우등생들도 어느덧 사업재편과 구조조정의 전환기를 맞고 있었다. MBK 도전의 결과는 익히 아는 바다. 작년 말 기준 펀드 운용 규모가 300억달러(약 40조원)에 달하는 거대 사모펀드로 성장했다.
MBK가 정말로 ‘늑대의 길’, 다시 말해 칼 아이컨(아이컨엔터프라이즈), 폴 싱어(엘리엇매니지먼트), 빌 애크먼(퍼싱스퀘어캐피털매니지먼트) 등의 행동주의 전략으로 선회한 건지는 좀 더 두고봐야 한다. MBK 측은 영풍과 연합해 공개매수전을 펴면서 “잘못된 경영을 바로잡으려는 것일 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상황은 MBK가 ‘새로운 도전’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들게 만든다. 엔데믹과 함께 저금리 시대가 막을 내리면서 차입매수 대가들의 위세는 예전만 못하다. 대기업 비위 맞춰가며 감나무에서 감 떨어지기만을 바라보는 기존 방식으로는 성이 안 찰 수 있다는 얘기다. 게다가 한국 상장사 주식은 너무 싸다. MBK 같은 배고픈 포식자에겐 내로남불을 외칠 요인이 너무나 많다.
영문학도인 한국계 미국인 김 회장이 자본시장의 큰판에 뛰어들도록 만든 건 ‘차입 매수(LBO)’라는 새로운 시장이었다. 그가 전 세계 연기금을 돌아다니며 펀드를 조성한 2000년대 초반은 KKR, 칼라일, 블랙스톤 등 글로벌 사모펀드(PEF)들이 사자후를 발하던 시절이었다.
시장 개척자 MBK의 야성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사상 첫 마이너스 금리 시대가 도래하자, 이들의 영향력은 글로벌 산업계를 휩쓸었다. 저리로 은행에서 돈을 빌려 대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파생하는 기업들을 인수한 뒤 한때 낙오자 취급받던 기업을 회생시켜 되파는 M&A 전략은 수십 명의 사모펀드 억만장자를 탄생시켰다.KKR 등은 불과 20여 년 만에 세계 자본시장의 주요 플레이어 지위를 차지했다. 김 회장의 눈에 이 같은 변화는 마치 신이 내린 계시 같은 것이었을 터다. 조금 더 거칠게 표현하자면 ‘정해진 돈벼락’이었다. 이는 마치 미국의 아주 맛있고 수익성 좋은 햄버거 프랜차이즈를 극소수의 한국인만 알고 있고, 그 중 한 명이 한국에 수입하기로 한 결정과 비슷하다.
김 회장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자본시장의 변화 현장을 직접 목도하고, 몸으로 체득했다. 그의 수첩은 전 세계 연기금 담당자의 목록으로 빼곡했을 것이다. 한국, 일본, 대만 등 아시아의 시장경제 우등생들도 어느덧 사업재편과 구조조정의 전환기를 맞고 있었다. MBK 도전의 결과는 익히 아는 바다. 작년 말 기준 펀드 운용 규모가 300억달러(약 40조원)에 달하는 거대 사모펀드로 성장했다.
'늑대의 길'에서 발견한 기회
여기까지는 MBK도 소위 모범생의 길을 걸었다. 블랙스톤 등 MBK가 벤치마킹 대상으로 삼은 선구자들은 확고한 원칙을 지켰다. 요약하자면 ‘수익률을 극대화하되, 적대적 M&A 전략은 취하지 않는다’였다. 늑대로 돌변하는 순간, 거래선(딜 파이프라인)이 끊길 우려가 컸다. 아무리 부실한 양이라고 한들 그 양을 울타리 밖으로 내보내면 어떤 양치기가 늑대에게 일을 맡기겠나. 언제 야밤을 틈타 울타리 안의 양을 공격할지 모를 일이니 말이다. 펀드에 돈을 댄 연기금들도 펀드 약정서에 ‘적대적 M&A 금지’ 조항을 명시한다. 연금을 굴려 국민 노후를 보장한다면서 건실한 기업의 경영권을 뺏는 일을 하는 건 이율배반적이기 때문이다.MBK가 정말로 ‘늑대의 길’, 다시 말해 칼 아이컨(아이컨엔터프라이즈), 폴 싱어(엘리엇매니지먼트), 빌 애크먼(퍼싱스퀘어캐피털매니지먼트) 등의 행동주의 전략으로 선회한 건지는 좀 더 두고봐야 한다. MBK 측은 영풍과 연합해 공개매수전을 펴면서 “잘못된 경영을 바로잡으려는 것일 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상황은 MBK가 ‘새로운 도전’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들게 만든다. 엔데믹과 함께 저금리 시대가 막을 내리면서 차입매수 대가들의 위세는 예전만 못하다. 대기업 비위 맞춰가며 감나무에서 감 떨어지기만을 바라보는 기존 방식으로는 성이 안 찰 수 있다는 얘기다. 게다가 한국 상장사 주식은 너무 싸다. MBK 같은 배고픈 포식자에겐 내로남불을 외칠 요인이 너무나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