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엔비디아 등의 AI칩 판매, 국가별 상한선 검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데이터센터지출 늘리는 사우디 등 중동국가 타겟
기존 첨단AI칩 선적 제한조치 40개국이상에 적용중
기존 첨단AI칩 선적 제한조치 40개국이상에 적용중
미국 정부는 국가별로 인공지능(AI) 역량을 제한하기 위해 엔비디아 및 AMD 등의 첨단 AI칩 판매 상한선을 국가별로 두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이는 중국을 대상으로 한 첨단 AI칩 수출 규제가 확대되는 것으로 중국을 포함, 페르시아만 주변의 중동 국가들이 초점이 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한데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 관리들은 국가 안보를 위해 특정 국가에 대해 수출 허가에 상한선을 정하는 것을 추진중이다. 소식통은 특히 AI 데이터센터에 대한 욕구가 커지고 있으며 이를 지원할 자금도 풍부한 페르시아만 국가들이 주된 목표라고 전했다.
이 정책은 최근 미 상무부가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 같은 국가의 데이터센터로 AI칩을 선적하는데 관련된 허가 절차를 완화하기 위한 사전승인조치를 내놓은 것과 관련돼있다.
상무부는 이달 초 미국 기업이 특정국가로 AI칩을 선적하기 위한 사전 승인 조치를 공개했다. 이 조치에는 미국 정부가 검사할 수 있도록 하고, 우려국가나 우려 기관의 컴퓨팅 파워 제한, 특정국가(중국)의 직원이 시설에 들어가는 것 금지 등의 내용이 포함돼있다.
국가별 상한선을 정하는 방안은 당초 중국을 주 대상으로 삼았던 첨단반도체 수출 규제가 확대되고 강화되는 의미가 있다. 이미 미국은 AI 개발이 초래할 수 있는 안보 위험을 고려해 엔비디아와 AMD의 첨단 AI칩 선적 제한 조치를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40개국 이상에 적용하고 있다. 제품이 제3국을 우회해 중국으로 전용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동시에, 일부 미국 관리들은 엔비디아 칩을 중심으로 한 반도체 수출 허가를 더 광범위한 외교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레버리지 포인트로 보고 있다.
국가 안보 위원회(NSC)의 기술 담당 수석 이사인 타룬 차브라는 6월 포럼에서 특정 국가의 이름을 밝히지 않고 "이 역량을 어떻게 사용할 계획인지 전세계 국가와 대화를 나눌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 다른 NSC 관계자인 마허 비타르는 글로벌 AI 개발이 미국의 정보 작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한 의문도 있다고 말했다.
엔비디아 등의 AI 칩 제조업체의 추가 규제에 대한 반응은 알려지지 않았다.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첨단 AI칩 수출 규제를 처음 발표했을 때 엔비디아는 중국시장 전용 저사양 AI칩을 설계해서 판매하기도 했다.
전 세계 정부는 소위 주권적 AI(자체 AI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능력)를 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AI칩 수요의 주요 원동력이라고 엔비디아의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이 지적하기도 했다. 엔비디아 칩은 데이터센터 운영자에게는 표준화됐으며 이 회사는 세계에서 가장 가치있는 반도체기업이 됐다.
한편 중국은 자체 첨단 반도체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최고의 미국 AI칩에는 뒤져 있다. 그럼에도 미국 관리들은 화웨이 같은 칩 제조업체가 언젠가 엔비디아에 대한 실행 가능한 대안을 만들 경우 미국이 글로벌 AI 환경을 통제하는 능력이 약화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한데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 관리들은 국가 안보를 위해 특정 국가에 대해 수출 허가에 상한선을 정하는 것을 추진중이다. 소식통은 특히 AI 데이터센터에 대한 욕구가 커지고 있으며 이를 지원할 자금도 풍부한 페르시아만 국가들이 주된 목표라고 전했다.
이 정책은 최근 미 상무부가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 같은 국가의 데이터센터로 AI칩을 선적하는데 관련된 허가 절차를 완화하기 위한 사전승인조치를 내놓은 것과 관련돼있다.
상무부는 이달 초 미국 기업이 특정국가로 AI칩을 선적하기 위한 사전 승인 조치를 공개했다. 이 조치에는 미국 정부가 검사할 수 있도록 하고, 우려국가나 우려 기관의 컴퓨팅 파워 제한, 특정국가(중국)의 직원이 시설에 들어가는 것 금지 등의 내용이 포함돼있다.
국가별 상한선을 정하는 방안은 당초 중국을 주 대상으로 삼았던 첨단반도체 수출 규제가 확대되고 강화되는 의미가 있다. 이미 미국은 AI 개발이 초래할 수 있는 안보 위험을 고려해 엔비디아와 AMD의 첨단 AI칩 선적 제한 조치를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40개국 이상에 적용하고 있다. 제품이 제3국을 우회해 중국으로 전용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동시에, 일부 미국 관리들은 엔비디아 칩을 중심으로 한 반도체 수출 허가를 더 광범위한 외교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레버리지 포인트로 보고 있다.
국가 안보 위원회(NSC)의 기술 담당 수석 이사인 타룬 차브라는 6월 포럼에서 특정 국가의 이름을 밝히지 않고 "이 역량을 어떻게 사용할 계획인지 전세계 국가와 대화를 나눌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 다른 NSC 관계자인 마허 비타르는 글로벌 AI 개발이 미국의 정보 작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한 의문도 있다고 말했다.
엔비디아 등의 AI 칩 제조업체의 추가 규제에 대한 반응은 알려지지 않았다.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첨단 AI칩 수출 규제를 처음 발표했을 때 엔비디아는 중국시장 전용 저사양 AI칩을 설계해서 판매하기도 했다.
전 세계 정부는 소위 주권적 AI(자체 AI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능력)를 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AI칩 수요의 주요 원동력이라고 엔비디아의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이 지적하기도 했다. 엔비디아 칩은 데이터센터 운영자에게는 표준화됐으며 이 회사는 세계에서 가장 가치있는 반도체기업이 됐다.
한편 중국은 자체 첨단 반도체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최고의 미국 AI칩에는 뒤져 있다. 그럼에도 미국 관리들은 화웨이 같은 칩 제조업체가 언젠가 엔비디아에 대한 실행 가능한 대안을 만들 경우 미국이 글로벌 AI 환경을 통제하는 능력이 약화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