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노인들 클래스가 다르다…소득도 부동산 자산도 '역대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 결과 발표
소득도, 부동산 자산도 역대 최대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연령 70.5세→71.6세
일하고 있는 노인 비중도 지속 증가
소득도, 부동산 자산도 역대 최대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연령 70.5세→71.6세
일하고 있는 노인 비중도 지속 증가
지난해 노인 가구의 연간 소득이 2008년 조사 이래 역대 최대인 3469만원을 기록했다. 소득은 물론 금융·부동산 자산 수준도 과거 노인 세대를 뛰어넘는 새로운 노년층이 등장하고 있다. 소득, 학력 수준 등이 높은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대거 은퇴하며 노년층으로 편입하고 있는 결과로 분석된다.
보건복지부는 16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3년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노인실태조사는 2008년 이후 3년 주기로 실시하는 조사다. 이번에는 전국 65세 이상 노인 1만78명을 대상으로 191개 문항에 대해 방문·면접 방식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이전 세대보다 소득·교육 수준이 높은 새로운 노년층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노인 가구의 연간 소득은 3469만원으로 3년 전인 2020년(3027만원)에 비해 442만원(14.6%) 증가했다. 개인 소득은 2020년 1558만원에서 지난해 2164만원으로 606만원(38.8%) 늘었다. 가구 소득과 개인 소득 모두 2008년 첫 조사 이래 역대 최대 규모다.
자산도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해 금융 자산과 부동산 자산 규모는 각각 4912만원, 3억1817만원으로 집계됐다. 2020년에 비해 각각 1699만원(52.8%), 5634만원(21.5%) 늘었다. 자산 규모와 부동산 자산 보유율(97%) 모두 2008년 이래 역대 최대치다. 신노년층의 경제적 자립도도 확대되고 있다. 가구 소득의 구성을 보면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이 53.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국민연금, 기초연금 등 공적이전소득이 25.9%, 사적이전소득(자녀로부터의 부양 지원) 8.0%, 재산소득 6.7% 순이었다. 2008년 30.4%에 달했던 사적이전소득 비중은 큰 폭으로 감소했는데, 이는 노년층이 더 이상 자식 등 가족에게 기대지 않고 스스로 일하며 경제활동을 하고 있다는 의미로 분석된다.
실제로 일을 하는 노인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08년 일하는 노인 비중은 30%에서 등락을 반복하다가 2020년 36.9%로 오른 뒤 지난해 역대 최고치인 39%를 찍었다. 종사 직종은 단순 노무 33.0%, 농림어업 숙련노동 20.3%, 서비스 종사자 14.4%, 판매 종사자 12.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 수준도 높아졌다. 지난해 노년층 중 고졸 비율은 31.2%로 2020년(28.4%)에 비해 2.8%포인트 증가했다. 전문대학 이상 졸업자는 2020년(5.9%) 대비 1.1%포인트 늘어난 7.0%였다.
신노년층은 노인 연령, 재산 장속, 장사 방식 등에 대한 가치관도 이전과 다른 것으로 조사됐다.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연령' 기준은 평균 71.6세로, 2020년(70.5세) 대비 1.1세 높아졌다. 전체 노인의 79.1%는 노인의 연령 기준을 70세 이상이라고 생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산 상속 방식과 관련해선 '모든 자녀에게 골고루 상속'이 51.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뒤를 이어 '자신 및 배우자를 위해 사용' 24.2%, '부양을 많이 한 자녀에게 많이 상속' 8.8%로 나타났다. 특히 자신 및 배우자를 위해 사용하겠다는 비중이 이전 조사보다 큰 폭으로 상승하고, 반대로 장남에게 많이 상속하겠다는 비중은 크게 줄었다.
선호하는 장사 방식은 '화장 후 납골당'이 38.0%로 가장 많았다. '화장 후 자연장'과 '아직 생각해보지 않았다'는 각각 23.1%, 19.6%를 차지했다.
응답자 중 경로당을 이용하는 비중은 2020년 28.1% 대비 1.6%포인트 감소한 26.5%였다. 대신 친목 단체에 참가하는 비중이 2020년 44.1%에서 지난해 54.2%로 큰 폭으로 확대됐다.
건강 상태 관련 지표도 일부 개선됐다. 우울 증상을 가진 노인은 2020년 13.5% 대비 2.2%포인트 감소한 11.3%였다. 응답일 기준 최근 한 달간 병·의원 외래진료를 이용한 비율은 2020년 70.6%에서 지난해 68.8%로 1.8%포인트 감소했다. 다만 만성질환 평균 보유 개수는 2020년 1.9개에서 지난해 2.2개로 증가했다.
건강 관리 측면에서 열악한 1인 가구(독거노인)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주의가 필요한 대목으로 꼽혔다. 지난해 1인 가구 비율은 32.8%로 부부 가구(55.2%)보다 낮지만 자녀와 동거하는 가구(10.3%)보다 높았다. 이들 독거노인 비율은 2020년(19.8%) 조사 대비 13%포인트 급증했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
보건복지부는 16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3년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노인실태조사는 2008년 이후 3년 주기로 실시하는 조사다. 이번에는 전국 65세 이상 노인 1만78명을 대상으로 191개 문항에 대해 방문·면접 방식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이전 세대보다 소득·교육 수준이 높은 새로운 노년층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노인 가구의 연간 소득은 3469만원으로 3년 전인 2020년(3027만원)에 비해 442만원(14.6%) 증가했다. 개인 소득은 2020년 1558만원에서 지난해 2164만원으로 606만원(38.8%) 늘었다. 가구 소득과 개인 소득 모두 2008년 첫 조사 이래 역대 최대 규모다.
자산도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해 금융 자산과 부동산 자산 규모는 각각 4912만원, 3억1817만원으로 집계됐다. 2020년에 비해 각각 1699만원(52.8%), 5634만원(21.5%) 늘었다. 자산 규모와 부동산 자산 보유율(97%) 모두 2008년 이래 역대 최대치다. 신노년층의 경제적 자립도도 확대되고 있다. 가구 소득의 구성을 보면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이 53.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국민연금, 기초연금 등 공적이전소득이 25.9%, 사적이전소득(자녀로부터의 부양 지원) 8.0%, 재산소득 6.7% 순이었다. 2008년 30.4%에 달했던 사적이전소득 비중은 큰 폭으로 감소했는데, 이는 노년층이 더 이상 자식 등 가족에게 기대지 않고 스스로 일하며 경제활동을 하고 있다는 의미로 분석된다.
실제로 일을 하는 노인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08년 일하는 노인 비중은 30%에서 등락을 반복하다가 2020년 36.9%로 오른 뒤 지난해 역대 최고치인 39%를 찍었다. 종사 직종은 단순 노무 33.0%, 농림어업 숙련노동 20.3%, 서비스 종사자 14.4%, 판매 종사자 12.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 수준도 높아졌다. 지난해 노년층 중 고졸 비율은 31.2%로 2020년(28.4%)에 비해 2.8%포인트 증가했다. 전문대학 이상 졸업자는 2020년(5.9%) 대비 1.1%포인트 늘어난 7.0%였다.
신노년층은 노인 연령, 재산 장속, 장사 방식 등에 대한 가치관도 이전과 다른 것으로 조사됐다.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연령' 기준은 평균 71.6세로, 2020년(70.5세) 대비 1.1세 높아졌다. 전체 노인의 79.1%는 노인의 연령 기준을 70세 이상이라고 생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산 상속 방식과 관련해선 '모든 자녀에게 골고루 상속'이 51.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뒤를 이어 '자신 및 배우자를 위해 사용' 24.2%, '부양을 많이 한 자녀에게 많이 상속' 8.8%로 나타났다. 특히 자신 및 배우자를 위해 사용하겠다는 비중이 이전 조사보다 큰 폭으로 상승하고, 반대로 장남에게 많이 상속하겠다는 비중은 크게 줄었다.
선호하는 장사 방식은 '화장 후 납골당'이 38.0%로 가장 많았다. '화장 후 자연장'과 '아직 생각해보지 않았다'는 각각 23.1%, 19.6%를 차지했다.
응답자 중 경로당을 이용하는 비중은 2020년 28.1% 대비 1.6%포인트 감소한 26.5%였다. 대신 친목 단체에 참가하는 비중이 2020년 44.1%에서 지난해 54.2%로 큰 폭으로 확대됐다.
건강 상태 관련 지표도 일부 개선됐다. 우울 증상을 가진 노인은 2020년 13.5% 대비 2.2%포인트 감소한 11.3%였다. 응답일 기준 최근 한 달간 병·의원 외래진료를 이용한 비율은 2020년 70.6%에서 지난해 68.8%로 1.8%포인트 감소했다. 다만 만성질환 평균 보유 개수는 2020년 1.9개에서 지난해 2.2개로 증가했다.
건강 관리 측면에서 열악한 1인 가구(독거노인)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주의가 필요한 대목으로 꼽혔다. 지난해 1인 가구 비율은 32.8%로 부부 가구(55.2%)보다 낮지만 자녀와 동거하는 가구(10.3%)보다 높았다. 이들 독거노인 비율은 2020년(19.8%) 조사 대비 13%포인트 급증했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