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켓 부품, 3D 프린터로 출력"…우주항공 미래 바꿀 '핵심 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제우주항공기술대전
한화·KAI 등 175여 곳 참가
한화·KAI 등 175여 곳 참가
![우주항공 부품을 찍어내는 3D프린터 모습.](https://img.hankyung.com/photo/202410/AA.38404488.1.jpg)
창원산업진흥원은 이날 ‘K방위산업’ 관련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창원형 대·중·소 상생마켓’을 국제우주항공기술대전을 통해 열었다. 한화에어로, 현대로템, STX, 해군군수사령부 등 관내 주요 기관과 기업들이 매년 참가하는 행사다.
이조원 3D프린팅연구조합 이사장은 “전 세계 적층제조 기술 전문가들은 우주항공과 방위산업을 가장 유망한 분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조합은 대건테크, 에이엠솔루션즈 등 20개 업체와 함께 적층제조 전시관을 차렸다. 국내외 대형 상용 원전에 들어가는 부품을 3D프린터로 제조해 납품하는 대건테크 전시장에 관람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이 회사는 금속분말 3D프린팅으로 제작한 우주항공 부품 모형을 전시했다.
에이블맥스와 경상국립대 위성시스템기술연구센터가 주관하는 우주기술 세미나도 24일 열린다. 해외 엔지니어들이 미국 항공우주국(NASA)으로부터 신뢰성을 인증받은 위성 발열 제어 기술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창원=이해성/김해연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