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과자서 철수세미…위해물질 적발 40%가 중국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자료
이물질 수입 식품 적발 年 60→80건
중국산 40% 1위…베트남·미국 등 순
해외 현지 실사 최근 줄어드는 분위기
"통관검사로 한계…수입 전 관리 강화"
이물질 수입 식품 적발 年 60→80건
중국산 40% 1위…베트남·미국 등 순
해외 현지 실사 최근 줄어드는 분위기
"통관검사로 한계…수입 전 관리 강화"
중국산을 중심으로 수입식품에서 이물질 등 위해 물질이 발견되는 사례가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 전자상거래(이커머스)가 활성화되면서 해외 식품 수요가 늘고 있지만, 국내 소비자들의 먹거리 안전이 계속해서 위협받고 있는 것이다. 수입 전 관리 방법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중국산 월병에 철수세미가 꽂혀 있어 회수된 사례도 있었다. 이 사례의 경우 해외제조업소에서 제조단계에서 철수세미가 들어간 것으로 식약처는 판정하고, 행정처분을 실시해 해당 제품을 회수했다.
2021년에는 중국에서 한 남성이 옷을 벗은 채 수조에 들어가 배추를 절이는 영상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도마 위에 오르고, 지난해에는 중국 유명 맥주회사 칭다오 맥주 생산공장에서 한 남성이 원료에 소변을 보는 영상이 공개되는 등 중국산 식품이 이따금 논란이 되고 있다.
베트남 다음으로는 미국 21건, 이탈리아 14건, 프랑스 12건, 독일 11건, 말레이시아 10건 등 순이다. 발견 신고 건수는 벌레·곰팡이 순
위해물질 발견 신고 건수는 지난 5년간 총 2742건으로 집계됐다. 이물종류별로는 벌레 690건, 곰팡이 445건, 플라스틱 222건, 금속 192건, 유리 32건 등이다. 머리카락·실·고무줄 등 기타는 1161건이다. 수입국가별로 이물 신고 건수가 가장 많이 접수된 곳은 중국(670건·24%), 뉴질랜드(263건·9%), 미국(230건·8%) 등 순이었다.
식품 종류별로는 가공식품이 가장 많았는데 그중에서도 과자·빵·떡류가 891건으로 전체 32%를 차지했다. 그다음으로 초콜릿·코코아 가공품류 192건, 음료류 171건, 과채 가공품 105건 등 순이었다. 치즈·아이스크림·버터 등을 포함하는 축산물 및 축산물 가공품 신고 건수는 571건으로 전체 20%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주류도 110건에 달했고, 건강기능식품도 63건이나 신고 접수됐다.
해외 현지 업소 실사는 2020년 289건→2021년 284건→2022년 339건→2023년 310건→2024년 8월까지 212건이다. 2022년까지 많아지다 최근 다소 줄어드는 분위기다. 그중 적발이 가장 많이 된 중국은 최근 연간 30~40%를 차지하고 있다. 다만 이렇게 현지 실사를 해도 여전히 적발 건수는 줄지 않고 있어 대책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남 의원은 "식품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해외에서 다양한 위해정보와 식품 안전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기존의 통관검사 중심의 관리체계로는 수입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해외 식품 제조업소에 대한 현지실사를 확대하여, 수입 전(前) 식품안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
이물질 나오는 수입식품↑…中 압도적 1위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지난 8월까지 약 5년 간 수입식품 이물 행정 처분 결과는 총 367건(시정명령은 332건·영업정지는 23건)으로 집계됐다. 2020년까지는 연간 총 60건 정도 수준이었는데 2021년부터는 연간 80건에 달하고 있어 먹거리 안전 위험이 커지는 상황으로 분석된다. 이 중 중국이 140건으로 약 40%를 차지했다. 2위인 베트남이 39건(11%)을 기록한 것과 비교해보면 다른 국가들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수준이다. 특히 중국산 이물 적발 건수는 2020년까지 20건 정도였는데, 2021년부터는 매년 30건을 웃돌고 있다. 지난 8월까지 올해 22건이 발생해 남은 기간까지 이대로면 최근 3년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특히 중국산 월병에 철수세미가 꽂혀 있어 회수된 사례도 있었다. 이 사례의 경우 해외제조업소에서 제조단계에서 철수세미가 들어간 것으로 식약처는 판정하고, 행정처분을 실시해 해당 제품을 회수했다.
2021년에는 중국에서 한 남성이 옷을 벗은 채 수조에 들어가 배추를 절이는 영상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도마 위에 오르고, 지난해에는 중국 유명 맥주회사 칭다오 맥주 생산공장에서 한 남성이 원료에 소변을 보는 영상이 공개되는 등 중국산 식품이 이따금 논란이 되고 있다.
베트남 다음으로는 미국 21건, 이탈리아 14건, 프랑스 12건, 독일 11건, 말레이시아 10건 등 순이다.
발견 신고 건수는 벌레·곰팡이 순
"수입 전 식품 안전 강화해야"
위해물질 발견 신고 건수는 지난 5년간 총 2742건으로 집계됐다. 이물종류별로는 벌레 690건, 곰팡이 445건, 플라스틱 222건, 금속 192건, 유리 32건 등이다. 머리카락·실·고무줄 등 기타는 1161건이다. 수입국가별로 이물 신고 건수가 가장 많이 접수된 곳은 중국(670건·24%), 뉴질랜드(263건·9%), 미국(230건·8%) 등 순이었다.식품 종류별로는 가공식품이 가장 많았는데 그중에서도 과자·빵·떡류가 891건으로 전체 32%를 차지했다. 그다음으로 초콜릿·코코아 가공품류 192건, 음료류 171건, 과채 가공품 105건 등 순이었다. 치즈·아이스크림·버터 등을 포함하는 축산물 및 축산물 가공품 신고 건수는 571건으로 전체 20%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주류도 110건에 달했고, 건강기능식품도 63건이나 신고 접수됐다.
해외 현지 업소 실사는 2020년 289건→2021년 284건→2022년 339건→2023년 310건→2024년 8월까지 212건이다. 2022년까지 많아지다 최근 다소 줄어드는 분위기다. 그중 적발이 가장 많이 된 중국은 최근 연간 30~40%를 차지하고 있다. 다만 이렇게 현지 실사를 해도 여전히 적발 건수는 줄지 않고 있어 대책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남 의원은 "식품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해외에서 다양한 위해정보와 식품 안전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기존의 통관검사 중심의 관리체계로는 수입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해외 식품 제조업소에 대한 현지실사를 확대하여, 수입 전(前) 식품안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