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 아니라 김밥지옥"…인구 13만명 도시에 10만명 몰렸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천 공식 SNS](https://img.hankyung.com/photo/202410/01.38457030.1.jpg)
행사장에 예상보다 많은 인파가 몰리면서 김밥을 즐기지 못하는 사태가 빚어졌다.
김천시는 지역 랜드마크 사명대사공원 및 친환경생태공원 일대에서 '김천김밥축제'를 열게 된 건 젊은이들이 만든 신조어 때문이다. 실제로 시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이번 축제가 김천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를 묻는 설문조사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소개했다. 설문 결과 김천 하면 '김밥천국'이 떠오른다는 답변이 많았다. 썩 유쾌하지 않은 결과로 받아들일 수도 있었지만, 김천시는 오히려 이를 지역축제와 연결했다.
시는 1~2만 명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5배에 달하는 10만여 명이 축제장을 찾았고 김밥이 동나 떡볶이 또는 햄버거만 먹었다는 방문자들의 불만이 제기됐다.
이튿날인 27일에도 방문객이 몰리면서 시는 오후 2시경 "현재 시각 이후로 모든 김밥존 판매를 종료한다"고 알렸다.
축제 장소 진입로가 좁고 혼잡한 점도 문제점으로 꼽혔다.
!["김천 아니라 김밥지옥"…인구 13만명 도시에 10만명 몰렸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410/01.38457019.1.jpg)
그러면서 "시의 지원받고 홈페이지와 캐릭터까지 만들면서 작은 축제를 계획하나"라며 "그 정도 준비할 거면 처음부터 김천 내에서만 광고했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한 현지인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김천 전체 인구가 13만명인데 10만이나 모였다. 김천에는 처음 있는 일이다"라며 "행사 때 김밥을 1만 줄이나 준비했다. 너무 많은 거 아니냐 걱정했는데 오전에 이미 판매가 다 돼 버렸다. 평소 하던 자두 축제, 포도 축제 때는 키오스크가 충분했는데 이것도 미처 구매나 대여할 겨를이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번 축제에서는 오단이김밥, 톳김밥, 다담김밥, 사명대사호국김밥, 지례흑돼지김밥 등 다양한 김밥이 판매됐다. 김밥쿠킹대회, 김밥 배달게임 등 다양한 행사도 진행됐다. 노래 '김밥'을 부른 가수 자두의 초청 공연도 열렸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