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누구나 '마음건강 상담'…2030년까지 자살률 절반 낮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시 '자살예방 종합계획'
24시간 콜센터 인력 12→30명
매년 10만명에 심리상담 제공
동네병원·상점이 고위험 발굴
민간 심리기관 연계 맞춤 지원
24시간 콜센터 인력 12→30명
매년 10만명에 심리상담 제공
동네병원·상점이 고위험 발굴
민간 심리기관 연계 맞춤 지원
서울시가 그동안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펼치던 자살 예방 정책을 일반 시민이 일상에서 마음 건강을 챙길 수 있는 방향으로 확대한다. 동네별로 자살 예방 시스템을 구축하고 2027년부터 매년 시민 10만 명에게 심리상담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인구 10만 명당 23명에 달하는 자살자 수(자살률)를 2030년 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10.7명)으로 낮춘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28일 이 같은 내용의 ‘자살예방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시가 지난 21일 내놓은 ‘고립·은둔 종합 대책-외로움 없는 서울’의 후속 1탄이다. 김태희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마음의 병을 정신 질환으로 키우기 전 단계에서 누구나 쉽게 치료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라고 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민 자살률은 2015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또 서울시민 2명 중 1명(52.5%)은 스스로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고 지난 5년간 우울감 경험률도 상승(6.5%→8.4%)했다.
시는 우선 자살 충동이 들거나 어려움이 있을 때 24시간 연결 가능한 ‘마음이음 상담전화’ 인력을 기존 12명에서 2026년까지 30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전화를 걸어도 45%는 안내음만 듣다 결국 상담받지 못한다는 지적을 반영했다. 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시민이 이용할 수 있는 민간 전문심리상담 서비스도 제공한다. 올해 2만 명을 시작으로 매년 대상을 늘려 2027년부터는 매년 10만 명에게 상담을 제공할 계획이다. 상담은 주 1회(50분 이상), 총 8주간 제공하며 1인당 지원 금액은 회당 8만원이다.
마을 상담소도 현재 9개 자치구 11곳에서 2026년까지 전 자치구 27곳으로 늘린다. 마을 상담소에서는 정신건강전문요원과 임상심리전문가가 마음건강에 대한 1차 상담을 하고 필요하면 민간 심리기관을 연계해 준다. 자살률이 높은 지역을 ‘동행촌 생명 존중 마을’(가칭)로 지정하고 동네 병원 의사, 상점 주인, 통반장 등이 자살 고위험군을 발굴해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 생명지킴이 역할을 하도록 한다. 동네 병원에서는 1차로 우울증 건강 설문과 자살행동 척도 진단 등을 하고 필요한 경우 지역 보건소, 시 자살예방센터 등으로 연계해 심층 상담을 받게 한다.
관련 조직 체계도 손볼 예정이다. 내년 1월부터 12개 부서와 각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서울시 자살예방위원회’를 신설해 자살예방 정책을 수립한다.
최해련 기자 haeryon@hankyung.com
서울시는 28일 이 같은 내용의 ‘자살예방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시가 지난 21일 내놓은 ‘고립·은둔 종합 대책-외로움 없는 서울’의 후속 1탄이다. 김태희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마음의 병을 정신 질환으로 키우기 전 단계에서 누구나 쉽게 치료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라고 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민 자살률은 2015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또 서울시민 2명 중 1명(52.5%)은 스스로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고 지난 5년간 우울감 경험률도 상승(6.5%→8.4%)했다.
시는 우선 자살 충동이 들거나 어려움이 있을 때 24시간 연결 가능한 ‘마음이음 상담전화’ 인력을 기존 12명에서 2026년까지 30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전화를 걸어도 45%는 안내음만 듣다 결국 상담받지 못한다는 지적을 반영했다. 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시민이 이용할 수 있는 민간 전문심리상담 서비스도 제공한다. 올해 2만 명을 시작으로 매년 대상을 늘려 2027년부터는 매년 10만 명에게 상담을 제공할 계획이다. 상담은 주 1회(50분 이상), 총 8주간 제공하며 1인당 지원 금액은 회당 8만원이다.
마을 상담소도 현재 9개 자치구 11곳에서 2026년까지 전 자치구 27곳으로 늘린다. 마을 상담소에서는 정신건강전문요원과 임상심리전문가가 마음건강에 대한 1차 상담을 하고 필요하면 민간 심리기관을 연계해 준다. 자살률이 높은 지역을 ‘동행촌 생명 존중 마을’(가칭)로 지정하고 동네 병원 의사, 상점 주인, 통반장 등이 자살 고위험군을 발굴해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 생명지킴이 역할을 하도록 한다. 동네 병원에서는 1차로 우울증 건강 설문과 자살행동 척도 진단 등을 하고 필요한 경우 지역 보건소, 시 자살예방센터 등으로 연계해 심층 상담을 받게 한다.
관련 조직 체계도 손볼 예정이다. 내년 1월부터 12개 부서와 각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서울시 자살예방위원회’를 신설해 자살예방 정책을 수립한다.
최해련 기자 haery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