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반도체법 비판에…해리스 "中에 첨단반도체 팔아 안보 위협" 발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해리스, 반도체법 앞세워 미시간주 공략 나서

28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방송 CNBC에 따르면 해리스 부통령은 이날 미시간주 새기노 소재 헴록반도체 공장을 둘러본 뒤 연설을 통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얼마 전 라디오 토크쇼에서 반도체법을 없애는 것에 대해 말했다”며 “그 법은 지금 여기서 벌어지고 있는 것과 같은 일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민간 부문이 이런 일을 할 수 있도록 세액 공제를 만들었고, 그것은 좋은 일”이라고 덧붙였다.
CNBC는 “대선을 불과 일주일 앞두고 해리스 부통령이 제조업 중심 지역을 방문한 것은 미국 제조업의 발상지에서 경제문제에 대해 여론조사 우위를 점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 중 하나였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25일 팟캐스트 진행자 조 로건과의 인터뷰에서 미국 반도체법을 비판했다. 부유한 반도체 기업에 보조금까지 지원하면서 미국 생산을 장려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대신 관세로 미국 생산을 강제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우리는 부자 기업들이 와서 돈을 빌려서 여기에 반도체 기업을 설립하도록 수십억달러를 대는데, 그들은 어차피 우리한테 좋은 기업들은 주지 않을 것”이라며 “매우 높은 관세를 부과해 그들이 와서 반도체 기업을 공짜로 설립하도록 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트럼프 전 대통령의 핵심 지지 기반인 고졸 이하의 노동자들을 겨냥해 반도체법 투자 등으로 만들어진 일자리에 대학 졸업장이 없어도 되도록 하겠다고도 약속했다. 해리스는 “고숙련 일자리에 대학 학위가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경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