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태어나면 2년간 월세 지원"…서울시, 파격 대책 내놨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시 '탄생응원 프로젝트' 시즌2
"무주택 자녀 가구에 2년간 월세 지원"
"무주택 자녀 가구에 2년간 월세 지원"

서울시는 내년부터 2년간 저출생 극복 정책에 6조 7000억 원을 투자하는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 시즌2를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바닥을 모르고 추락했던 출산율이 반등 조짐을 보이자 관련 정책을 더 강화해 불씨를 최대한 살려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통계청에 따르면 최근 5개월간(올 4~8월) 서울 출생아 수는 연속 상승했고 전년 대비 증가율은 6.6%로 전국 평균(3.5%)를 상회했다. 혼인건수도 23.5%를 기록했다.
새롭게 볼 만한 부분은 주거 분야 대책이다. 내년 1월부터 아이가 태어난 무주택 가구는 2년간 총 720만 원(가구당 월 30만 원)의 주거비를 받는다. 주거비 때문에 서울을 떠나거나 아이 낳기를 포기하는 일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이다. 김선순 시 여성가족실장은 "서울시와 경기·인천지역 간 주거비 차액이 평균 월 30만원인 점을 고려해 지원 규모를 산정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충족해야 하는 조건은 까다롭다. 대상은 기준 중위소득이 150% 이하인 가구이며 주택은 전세보증금 3억원 또는 월세 130만원 이하여야 한다. 내년 1380가구를 지원하고, 2026년에는 4140가구로 확대한다.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 지원사업의 대출한도를 2억 원에서 3억 원으로 상향하고, 지원금리도 최대 연 3.6%에서 연 4.5%로 높여 최대 10년간 지원한다. 올 7월부터 관심을 모은 신혼부부 대상 장기전세주택(시프트 2)도 2026년부터 매년 4000가구씩 공급하기로 했다.

또 다른 사각지대인 소상공인을 위해 육아휴직자 대체인력 지원, 민간 아이돌봄 서비스 연계, 휴업손실 지원으로 구성된 '3종 세트'도 이달부터 시행 중이다. 내년부터 1인 자영업자·프리랜서 등도 본인 또는 배우자 출산 시 출산휴가를 갈 수 있도록 전국 최초로 출산·휴가 급여 지원에도 나선다. 1인 자영업자·프리랜서 가운데 임산부 본인에게는 90만원의 출산급여를, 임산부 배우자를 둔 1인 자영업자와 프리랜서 등에는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80만원을 지원한다.
결혼식 준비와 살림에 드는 비용을 지원하는 '일상혁명' 정책도 추진한다. 신혼부부를 위해 이른바 '스드메'(사진 촬영 스튜디오·웨딩드레스 예약·신부 메이크업) 등 결혼 준비와 혼인 살림 장만에 쓸 수 있도록 내년부터 최대 100만 원을 지원한다. 내년 1월 1일 이후 혼인신고를 한 1년 내 신혼부부(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가 대상이며 내년에 2만 가구 이상을 지원할 예정이다.
서울형 키즈카페는 동마다 1곳씩 2026년까지 400곳을 조성한다. 영유아·초등학생 자녀의 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1시간 단위로 맡길 수 있는 '서울형 시간제 전문 어린이집'과 등교 전 아침 시간대 초등학생을 돌봐주고 등교까지 시켜주는 '서울형 아침돌봄 키움센터'를 각각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한다.
시의 양육친화 정책 패키지는 그동안 총 283만명에게 혜택을 제공했다. 평균 만족도는 96.4%에 달했다.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서울시는 서울연구원을 통해 '양육행복지원정책 성과평가'를 매년 실시하고 평가 결과를 반영해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를 업그레이드해나갈 계획이다.
최해련 기자 haery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