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예술감독 "한강 작가처럼 국립극단도 세계서 인정 받을 수 있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정희 국립극단 예술감독 인터뷰
임기 중 최우선 목표로 '해외 진출' 꼽아
"한강 작가도 좋은 번역으로 세계서 인정 받아,
국립극단도 세계 무대에 설 것"
임기 중 최우선 목표로 '해외 진출' 꼽아
"한강 작가도 좋은 번역으로 세계서 인정 받아,
국립극단도 세계 무대에 설 것"
박정희 국립극단 예술감독은 실험적인 연극으로 이름을 알린 연출가다. 2001년부터는 극단 '풍경'을 이끌며 2008년 서울연극제 연출상 수상작 '첼로'를 포함해 연극 '하녀들', '이영녀'를 무대에 올렸다. 일반적인 이야기 구조를 거부하고 인간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는 작품들이었다.
29일 만난 박 감독에게 당시 작품으로 무엇을 추구하고 싶었는지 물었다. 그는 "젊은 시절에는 예술가로서 '날'이 서 있었다"며 "이야기로 감성을 일으키는 연극보다는 인간을 탐구하고 파고드는 작품들에 흥미를 느꼈다"고 설명했다.
지난 4월 취임해 국립극단 예술감독직을 맡은 지 6개월이 지난 현재. 처음으로 국립 단체를 이끌기 시작한 그도 변화하는 중이다. 박 감독은 "국립극단을 이끄는 만큼 제 팬이나 제 극단을 좋아하는 사람만 상대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을 관객으로 생각해야 한다"며 "이제는 이야기도 있고, 대중적으로 사람들이 찾을 작품들도 올리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국립극단은 '관객추천지수'를 활용해 재공연할 작품을 선정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관객추천지수는 극단 공연을 본 관객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낸 설문조사를 수치화한 점수다. 국립극단은 이 지수를 관객이 가장 재밌게 본 작품을 구분하는 척도로 활용하고 있다.
남은 2년 6개월의 임기 중 가장 이루고 싶은 목표를 묻자 박 감독은 "한국 연극의 해외 진출"을 꼽았다. 그 일환으로 국립극단은 올해 '국제교류전문 PD' 시스템을 도입했다. 연출가가 작품 제작에 집중한다면, 국제교류전문PD는 해외 유명 연극제와 페스티벌의 예술감독들과 네트워킹 형성을 전문적으로 맡는다. 박 감독은 "그동안 이런 방식의 해외 교류가 전혀 없었던 상황이었다"며 "올해 국립극단은 전문 PD를 채용해 중국, 일본, 프랑스와 구체적으로 참여를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6년부터는 해외 페스티벌에서 국립극단의 작품들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연극이 문화적 장벽을 넘기 어렵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못 박았다. 그는 "우리말의 리듬과 배우들의 에너지가 있기 때문에 좋은 번역을 거치면 세계 무대에 충분히 오를 수 있다"며 국립극단 예술감독으로서 포부를 말했다.
"한강 작가도 번역에 공을 들여서 해외 독자들에게 인정받았잖아요. 대한민국 국립극단도 한국에 머물지 않고 세계 무대에 오르는 위상을 가지도록 노력할 겁니다."
구교범 기자
29일 만난 박 감독에게 당시 작품으로 무엇을 추구하고 싶었는지 물었다. 그는 "젊은 시절에는 예술가로서 '날'이 서 있었다"며 "이야기로 감성을 일으키는 연극보다는 인간을 탐구하고 파고드는 작품들에 흥미를 느꼈다"고 설명했다.
지난 4월 취임해 국립극단 예술감독직을 맡은 지 6개월이 지난 현재. 처음으로 국립 단체를 이끌기 시작한 그도 변화하는 중이다. 박 감독은 "국립극단을 이끄는 만큼 제 팬이나 제 극단을 좋아하는 사람만 상대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을 관객으로 생각해야 한다"며 "이제는 이야기도 있고, 대중적으로 사람들이 찾을 작품들도 올리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국립극단은 '관객추천지수'를 활용해 재공연할 작품을 선정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관객추천지수는 극단 공연을 본 관객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낸 설문조사를 수치화한 점수다. 국립극단은 이 지수를 관객이 가장 재밌게 본 작품을 구분하는 척도로 활용하고 있다.
남은 2년 6개월의 임기 중 가장 이루고 싶은 목표를 묻자 박 감독은 "한국 연극의 해외 진출"을 꼽았다. 그 일환으로 국립극단은 올해 '국제교류전문 PD' 시스템을 도입했다. 연출가가 작품 제작에 집중한다면, 국제교류전문PD는 해외 유명 연극제와 페스티벌의 예술감독들과 네트워킹 형성을 전문적으로 맡는다. 박 감독은 "그동안 이런 방식의 해외 교류가 전혀 없었던 상황이었다"며 "올해 국립극단은 전문 PD를 채용해 중국, 일본, 프랑스와 구체적으로 참여를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6년부터는 해외 페스티벌에서 국립극단의 작품들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연극이 문화적 장벽을 넘기 어렵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못 박았다. 그는 "우리말의 리듬과 배우들의 에너지가 있기 때문에 좋은 번역을 거치면 세계 무대에 충분히 오를 수 있다"며 국립극단 예술감독으로서 포부를 말했다.
"한강 작가도 번역에 공을 들여서 해외 독자들에게 인정받았잖아요. 대한민국 국립극단도 한국에 머물지 않고 세계 무대에 오르는 위상을 가지도록 노력할 겁니다."
구교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