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의료·자율주행 가장 필요한 건 지방 복지공백 메울 묘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글로벌 1위 퓨처테크 최전선을 가다
박윤미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박윤미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대도시에서는 기업이 스마트시티를 주도할 수 있도록 규제를 풀어주고, 인구가 줄어드는 중소도시에서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스마트시티 기술을 활용해 복지 공백을 메꿔야 합니다.”
박윤미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사진)는 정부가 스마트시티 정책을 주도해 실패한 대표 사례로 ‘디지털 트윈’을 꼽았다. 디지털 트윈은 3차원 세계에 도시를 가상으로 구현해 각종 변화를 미리 시뮬레이션하는 기술을 말한다. 박 교수는 “디지털 트윈이 실제로 작동하려면 건축물과 도로 등에 CCTV, 센서가 달려 실시간 데이터와 동기화돼야 하지만 그렇게 운영되는 도시는 극소수에 불과하다”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단기간에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디지털 트윈 사업을 스마트시티의 우선 사업으로 선정하곤 하는데 실시간 동기화 레벨까지 도달한 사례는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비해 주민들에게 도움이 되지만 눈에 보이는 성과를 내기 어려운 방범, 돌봄 프로젝트는 후순위로 밀린다는 게 박 교수의 진단이다.
이어 박 교수는 “한국 지방도시의 인구 감소 흐름은 막기 어렵다”며 “그렇더라도 소멸 지역에 사는 주민 삶의 질이 낮아지는 것을 방치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대안으로 그는 “원격의료, 자율주행, 디지털 행정체계 등을 도입해 복지 공백을 메워야 한다”며 “오히려 지방이야말로 스마트시티를 더 구현해야 하는 곳”이라고 말했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
박윤미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사진)는 정부가 스마트시티 정책을 주도해 실패한 대표 사례로 ‘디지털 트윈’을 꼽았다. 디지털 트윈은 3차원 세계에 도시를 가상으로 구현해 각종 변화를 미리 시뮬레이션하는 기술을 말한다. 박 교수는 “디지털 트윈이 실제로 작동하려면 건축물과 도로 등에 CCTV, 센서가 달려 실시간 데이터와 동기화돼야 하지만 그렇게 운영되는 도시는 극소수에 불과하다”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단기간에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디지털 트윈 사업을 스마트시티의 우선 사업으로 선정하곤 하는데 실시간 동기화 레벨까지 도달한 사례는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비해 주민들에게 도움이 되지만 눈에 보이는 성과를 내기 어려운 방범, 돌봄 프로젝트는 후순위로 밀린다는 게 박 교수의 진단이다.
이어 박 교수는 “한국 지방도시의 인구 감소 흐름은 막기 어렵다”며 “그렇더라도 소멸 지역에 사는 주민 삶의 질이 낮아지는 것을 방치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대안으로 그는 “원격의료, 자율주행, 디지털 행정체계 등을 도입해 복지 공백을 메워야 한다”며 “오히려 지방이야말로 스마트시티를 더 구현해야 하는 곳”이라고 말했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