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가 감소하는 지방 시·군에 하루 세 시간 이상 머무는 ‘체류인구’가 거주인구보다 지역경제 활성화에 더 큰 도움이 된다는 통계가 나왔다. 거주인구보다 체류인구를 늘리는 방향으로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양양 체류인구 주민의 17배…카드 사용액도 2배 넘었다
행정안전부와 통계청은 30일 이런 내용의 ‘2분기 89개 인구감소지역(시·군) 생활인구 산정 결과’를 발표했다. 생활인구는 주민등록인구·등록외국인(등록인구)과 월 1회 하루 세 시간 이상 머무는 체류인구를 더한 수치다.

지난 1분기에 등록인구 대비 체류인구 배수가 10.2배로 2위이던 강원 양양군은 2분기엔 17.4배로 뛰어 1위에 올랐다. ‘서핑 성지’로 꼽히는 양양군을 방문한 체류인구의 10명 중 8명은 타지 거주자였다.

양양군에 이어 등록인구 대비 체류인구 배수가 높은 지역은 △경기 가평군(15.6배) △강원 고성군(15.4배) △인천 옹진군(13.7배) △강원 평창군(12.2배) 등 순이었다.

이번 조사부터는 신용카드 사용액 등 데이터를 분석해 생활인구별 소비 특성까지 살폈다. 그 결과 소비 활동도 등록인구보다 체류인구에서 두드러졌다. 강원 지역 카드 사용액 중 체류인구의 사용 비중(55.8%)은 등록인구보다도 컸다. 양양군에서는 71.6%로 거주민 소비액의 두 배 이상을 쓰는 것으로 확인됐다.

체류인구의 평균 카드 사용액은 1인당 약 11만5000원이었다. 주요 사용 유형은 음식업이 28.9%로 가장 많았고 이어 △슈퍼마켓 등 종합소매 17.8% △문화 여가 12.1% △전문 소매(시장 상점 등) 10.8% 등이었다. 행안부 관계자는 “평균 체류 일수가 3.2일인 것을 감안할 때 체류인구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은 큰 편”이라고 설명했다.

김근식 통계청 빅데이터통계과장은 “체류인구의 절대 다수는 관광객인 만큼 지자체별로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정책이 효과가 클 것”이라면서도 “일자리 통근·통학을 위해 체류하는 인구도 적지 않아 이들을 고려한 맞춤형 대책 또한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유림 기자 ou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