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으로 날아온다, '가장 예술적인 도시' 오스트리아 빈의 1900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립중앙박물관-한국경제신문
레오폴트미술관 특별전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
주요 작품으로 미리 가보는
빈의 찬란했던 1900년
레오폴트미술관 특별전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
주요 작품으로 미리 가보는
빈의 찬란했던 1900년

“빈은 축제의 도시였다. 매일이 새로웠고, 듣지 못했던 것과 보지 못했던 것들이 도처에 가득했다. 무엇이 아름다운가를 아는 것, 인생을 즐기는 것, 그리고 축제를 여는 것이 빈 사람들의 특별한 재능이었다.”
풍요와 향락, 빈곤과 멸망에 대한 예감이 공존하는 이 도시의 모순적인 풍경은 다양한 생각과 예술을 낳았다. ‘빈 분리파’를 이끈 황금의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 청춘의 초상을 그린 에곤 실레, 20세기 그래픽아트를 바꾼 콜로만 모저, ‘오스트리아의 반 고흐’ 리하르트 게르스틀 등 미술사에 길이 남은 거장들이 활동한 것도 이때다. 비록 10여 년 뒤 제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사라예보에서 황태자를 총탄에 잃고(사라예보 사건) 제1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하면서 해체되지만, 천재 예술가들이 남긴 찬란한 걸작들은 영원히 남았다. 극작가 카를 크라우스가 “빈은 세계의 종말을 위한 실험실이었지만 거기서 새로운 세계가 태어났다”고 말한 이유다.
오는 11월 30일 국립중앙박물관과 한국경제신문사가 공동 개최하는 전시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은 클림트와 실레, 모저와 게르스틀이 남긴 걸작 원본을 국내에서 즐길 수 있는 기회다. 전시의 주요 작품과 이 작품들을 소장한 빈 레오폴트미술관에 얽힌 이야기를 통해 전시를 미리 돌아봤다.

오는 11월 30일 개막하는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 전시도 비슷한 기대를 받는다. 큐레이터는 양승미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사로, 합스부르크전과 동일하다. 벌써 전시장은 당시 빈의 분위기와 새로운 미술 사조인 ‘빈 분리파’, 이들이 만들어낸 걸작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새단장 중이다. 개막을 한 달 앞둔 지금, 국립중앙박물관이 공개한 주요 작품을 통해 전시 흐름을 미리 간략하게 살펴봤다.
① 구스타프 클림트, ‘수풀 속 여인’(1898)

② 에곤 실레의 ‘작은 마을’(1913)

접할 기회가 많지 않지만, 그의 독특한 풍경화도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이번 전시에서 만날 수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소설가 한강(54)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계기로 그의 대표작 <채식주의자> 초판본 표지가 실레의 그림 ‘네 그루의 나무’였다는 사실이 재조명됐다.



⑤ 콜로만 모저가 디자인한 ‘와인잔, 메테오 100번’(1899)

빈 공방은 중산층도 살 수 있는 합리적인 상품 가격을 매기기 위해 비용을 절감하려고 노력했다. 디자인과 생산 등 여러 공정을 각기 다른 회사에서 담당하는 분업이 대표적이다. 빈 공방에서 분업 방식으로 생산한 첫 번째 제품이 이 와인잔이다. 상품 디자인부터 순수예술까지 다양한 시각예술을 통해 당시 빈의 모습과 분위기를 입체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는, 이번 전시만의 매력을 상징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디자이너는 콜로만 모저(1868~1918). 분리파 창립 멤버였던 그는 다재다능한 만능 예술가다. 그래픽, 포스터, 제품 디자인 등에 매진하던 그는 훗날 회화에도 손을 뻗는다. 이번 전시에는 그가 디자인한 제품은 물론이고 회화도 걸려 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