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드디어 작정했나…애플에 밀리고 中에 쫓기더니 '대반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전자, 갤S24 FE 국내 출시
출고가 약 95만원 '가성비' 주목
'9월 1등' 애플·中 3사 공세 격화
갤S24 FE, 전작보다 출시일 빨라
갤Z폴드 SE 등 제품군도 다양화
출고가 약 95만원 '가성비' 주목
'9월 1등' 애플·中 3사 공세 격화
갤S24 FE, 전작보다 출시일 빨라
갤Z폴드 SE 등 제품군도 다양화

갤S24 FE 국내 출시…'AI 탑재' 가성비 주목
1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보급형 AI폰 '갤럭시 S24 팬에디션(FE)' 기종이 이날 국내 출시됐다. FE 기종은 삼성전자 플래그십 기종인 '갤럭시 S 시리즈'의 핵심 기능을 구현하면서도 사양을 낮춰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모델이다.이 모델은 사진 편집 기능을 한층 끌어올렸다. AI 기반의 '프로비주얼 엔진'을 탑재해 줌 기능부터 '나이토그래피'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된 화질을 제공한다.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적용해 어두운 곳에서도 노이즈가 적은 선명한 인물 사진을 활영할 수 있다.
사진 편집 기능은 생성형 편집·인물사진 스튜디오 등 갤럭시 AI 기반의 '포토 어시스트'를 통해 지원된다.
170.1mm(6.7형)의 다이내믹 아몰레드(AMOLED) 2X 디스플레이와 4700메가암페어시(㎃h)의 대용량 배터리로 더 오래 영상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갤럭시 주요 AI 기능도 모두 사용 가능하다. 화면에서 궁금한 내용이 위에 동그라미를 그리면 검색 결과를 제시하는 '서클 투 서치', 상대방의 언어를 번역해주는 '실시간 통역' 등이 제공된다. 긴 글을 정리해주는 '노트 어시스트', 인터넷 페이지를 원하는 언어로 번역·요약하는 '브라우징 어시스트' 기능도 갖췄다.

전작보다 출시 한 달 빨라…'글로벌 1위' 수성 집중
삼성전자는 아이폰16 시리즈로 국내 시장을 공략 중인 애플에 맞서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전작인 갤럭시 S23 FE의 경우 지난해 10월 초 공개한 이후 약 2개월 뒤인 같은 해 12월 초 국내 출시됐다. 하지만 신작 S24 FE는 지난 9월 27일 공개됐고 약 한 달 만인 이날 출시된 것.아이폰16 시리즈가 기대 이하의 성능으로 실망감을 줬다는 평가가 이어지면서 예상 판매량도 낮춰잡혔지만 여전히 막강한 시장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애플은 아이폰16 시리즈 출시에 힘입어 지난 9월 전 세계 1위 브랜드에 올랐다.
삼성전자는 판매량 1위 자리를 지키기 위해 중국 업체들과의 폴더블폰 두께 전쟁에도 뛰어들었다. 최근 출시한 갤럭시 Z폴드 스페셜에디션(SE)은 역대 Z폴드 중 가장 얇지만 중국 업체들이 내놓은 폴더블폰보다는 두껍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조사를 보면 삼성전자는 올 3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 중 19%를 차지해 선두를 달렸다. 애플은 16%로 뒤를 이었다. 중국 샤오미·오포·비보 등 3곳은 자국과 인도 시장을 중심으로 판매량을 늘려 이 기간 총 32%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전날 스마트폰 사업을 맡는 자사 모바일경험(MX) 부문에서 3분기에만 29조98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2분기보다는 13%,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3% 증가한 것이다. 플래그십 제품을 중심으로 매출이 늘면서 실적을 끌어올렸다.
삼성전자는 올 4분기 연말 성수기를 노려 두 자릿수 이상의 플래그십 매출 성장률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내놨다. 내년엔 AI 기능을 고도화하고 연초에 갤럭시 S25를 출시할 계획이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