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부실 금고' 이사장한테 수천만원 퇴임 기념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념품 한도 300만→2400만원
사상 최대 적자에도 '돈잔치'
서형교 금융부 기자
사상 최대 적자에도 '돈잔치'
서형교 금융부 기자
작년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로 홍역을 치른 새마을금고가 올해 또 한 번 위기를 맞았다. 전국 1284개 새마을금고는 올해 상반기 1조2019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반기 실적 기준으로 1963년 창립 이후 최대 적자다. 관리형 토지신탁, 공동대출 등 부동산 개발 대출을 급속도로 늘려오다가 시장이 침체하면서 부실 대출이 확 늘어난 탓이다.
개별 금고의 경영 상황이 최악에 치달았지만, 새마을금고 이사장들은 여전히 한몫 챙기기에 바쁘다. 최근 금고 안팎에선 새마을금고 이사장의 ‘퇴임 기념품’을 둘러싼 논란이 한창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지난달 ‘새마을금고 임원 보수 및 퇴직금 규정’을 개정하고 각 단위 금고에 내용을 안내했다. 이사장에게 지급하는 퇴임 기념품 관련 조항을 유리하게 손본 게 핵심이다.
기존에는 경영실태평가에서 4등급(취약) 이하를 받거나 손실 보유, 자본잠식 금고의 경우 퇴임 이사장에게 기념품을 지급하지 않았다. 자본 상태가 좋지 않은 만큼 불필요한 지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이번 규정 개정을 통해 이 같은 조항이 삭제됐다. 앞으론 경영실태평가에서 5등급(위험)을 받은 부실 금고도 퇴임 이사장에게 기념품을 지급할 수 있게 됐다.
이사장들이 받는 기념품 금액대도 크게 늘었다. 지금까지는 금고별 자산 규모에 따라 200만~300만원을 지급해왔다. 앞으로는 자산 규모와 상관없이 재임 기간에 비례해 연 200만원, 최대 2400만원(12년)까지 지급할 수 있도록 상향했다. 최대 기념품 금액 한도를 여덟 배로 키운 것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 측은 이번 개정에 대해 “퇴임 기념품은 재임 기간에 대한 노고를 기리기 위해 지급하는 것”이라며 “대내외 환경에 따라 출렁이는 실적 등의 사유로 지급을 제한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해명했다. 이런 설명에 고개가 끄덕여지지 않는 건 기자만일까. 최근 새마을금고 실적 악화에 따른 책임은 모든 이들이 나누고 있다. 금고 직원들은 불필요한 인력이나 지출을 정리하고, 회원들은 출자금을 추가로 납부하고 있다. 새마을금고 직원 A씨는 “올해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데 이사장만을 위한 돈 잔치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많은 직원이 답답함을 넘어 분노하고 있다”고 전했다.
개별 금고를 감독하는 새마을금고중앙회가 이런 결정을 내린 것도 비판받아 마땅하다. 내년 3월 전국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를 앞두고 새마을금고중앙회가 ‘선심성 정책’을 편 것 아니냐는 지적마저 나온다. 새마을금고의 신뢰 회복을 위한 첫 번째 조건은 뼈를 깎는 노력이라는 점을 잊지 말기 바란다.
개별 금고의 경영 상황이 최악에 치달았지만, 새마을금고 이사장들은 여전히 한몫 챙기기에 바쁘다. 최근 금고 안팎에선 새마을금고 이사장의 ‘퇴임 기념품’을 둘러싼 논란이 한창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지난달 ‘새마을금고 임원 보수 및 퇴직금 규정’을 개정하고 각 단위 금고에 내용을 안내했다. 이사장에게 지급하는 퇴임 기념품 관련 조항을 유리하게 손본 게 핵심이다.
기존에는 경영실태평가에서 4등급(취약) 이하를 받거나 손실 보유, 자본잠식 금고의 경우 퇴임 이사장에게 기념품을 지급하지 않았다. 자본 상태가 좋지 않은 만큼 불필요한 지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이번 규정 개정을 통해 이 같은 조항이 삭제됐다. 앞으론 경영실태평가에서 5등급(위험)을 받은 부실 금고도 퇴임 이사장에게 기념품을 지급할 수 있게 됐다.
이사장들이 받는 기념품 금액대도 크게 늘었다. 지금까지는 금고별 자산 규모에 따라 200만~300만원을 지급해왔다. 앞으로는 자산 규모와 상관없이 재임 기간에 비례해 연 200만원, 최대 2400만원(12년)까지 지급할 수 있도록 상향했다. 최대 기념품 금액 한도를 여덟 배로 키운 것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 측은 이번 개정에 대해 “퇴임 기념품은 재임 기간에 대한 노고를 기리기 위해 지급하는 것”이라며 “대내외 환경에 따라 출렁이는 실적 등의 사유로 지급을 제한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해명했다. 이런 설명에 고개가 끄덕여지지 않는 건 기자만일까. 최근 새마을금고 실적 악화에 따른 책임은 모든 이들이 나누고 있다. 금고 직원들은 불필요한 인력이나 지출을 정리하고, 회원들은 출자금을 추가로 납부하고 있다. 새마을금고 직원 A씨는 “올해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데 이사장만을 위한 돈 잔치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많은 직원이 답답함을 넘어 분노하고 있다”고 전했다.
개별 금고를 감독하는 새마을금고중앙회가 이런 결정을 내린 것도 비판받아 마땅하다. 내년 3월 전국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를 앞두고 새마을금고중앙회가 ‘선심성 정책’을 편 것 아니냐는 지적마저 나온다. 새마을금고의 신뢰 회복을 위한 첫 번째 조건은 뼈를 깎는 노력이라는 점을 잊지 말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