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 '매출 부풀리기' 중징계 임박…플랫폼 업계도 '촉각' [선한결의 회계포커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증선위, 회계 기준 위반으로 내일 징계안 발표 예정
검찰로 이첩…추가 조사 가능성도
"'원칙중심 회계처리' 논란 일 것"
검찰로 이첩…추가 조사 가능성도
"'원칙중심 회계처리' 논란 일 것"

증선위, 내일 카카오모빌리티 '분식회계' 중징계 전망
5일 금융당국 안팎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오는 6일 정례 회의를 열고 카카오모빌리티의 회계기준 위반 혐의와 관련한 제재 수위를 결정한다. 증선위는 사전 논의를 통해 중과실 1~2단계 적용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이에 따라 증선위는 이창민 카카오모빌리티 경영전략담당 부사장(CSO)에 대해선 해임 권고와 직무정지 6개월 조치를, 카카오모빌리티 법인엔 2년간 감사인 지정 조치를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 전 CSO는 카카오모빌리티의 전 최고재무책임자(CFO)다.
증선위는 카카오모빌리티 법인엔 과징금 34억원을,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최고경영자(CEO)와 이 CSO엔 각각 과징금 3억4000만원씩을 부과하는 안도 금융위로 넘긴다.
'삼각구조' 문제 삼아
금융감독당국은 카카오모빌리티가 경제적 실질과는 동떨어진 구조로 회계처리를 해 매출을 부풀렸다고 판단했다. 사실상 하나의 계약을 둘로 나눈 뒤 각각을 매출과 비용으로 계상했다는 시각이다.카카오모빌리티와 택시는 서로 수수료를 주고받는 구조다. 택시는 카카오모빌리티에 가맹계약 수수료를 지급한다. 통상 운임의 20%다. 이와 별도로 카카오모빌리티는 가맹택시를 통해 주행 데이터를 수집하고, 광고를 노출하는 대가로 운임의 약 17%를 지급한다.
고의성만 빠진 '강경안'
증선위의 이번 판단은 당초 금감원의 '최고형' 추진안 보다는 소폭 누그러진 조치다. 금감원은 당초 카카오모빌리티에 대해 가장 강한 고의 1단계를 적용했다. 카카오모빌리티 경영진이 기업공개(IPO)시 더 높은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일부러 외형을 불렸다는 게 금감원의 시각이다. 더 높은 가치를 인정받을수록 스톡옵션을 보유한 임원들의 이득도 커지는 만큼 고의성도 충분하다는 주장이다.반면 증선위는 카카오모빌리티에 고의성을 적용하긴 어렵다는 잠정 결론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일단 당국 등이 플랫폼의 회계처리 방식을 특정하게 규정한 바가 없다는 게 주요 근거인 것으로 풀이된다. 카카오모빌리티가 회계 처리에 앞서 주요 회계법인에 자문을 구했고, 외부감사인으로부터도 회계처리 적정성을 인정받았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회계업계선 과도한 처벌 우려…"IFRS는 기업 재량이 원칙"
증선위의 잠정 결론이 공식화된다면 회계업계와 플랫폼업계 등에서 상당한 논란이 일 전망이다. 플랫폼 기업의 회계 처리에 대해 당국이 특정 방식을 사실상 지정한 사례가 되서다. 플랫폼은 사업 구조에 따라 중개 대상간 수수료를 받고 처리하는 방식이 기업마다 천차만별이다.회계업계 일각에선 그간 당국과의 시각차를 근거로 분식회계 징계를 적용하는 것은 과도하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한국이 전면 채택해 쓰고 있는 국제회계기준(IFRS)은 기업의 자율적 회계 처리를 중시하는 게 원칙이다. 기업 자신이 그 기업의 경제적 실질을 가장 잘 안다는 철학에 근거한다.
회계업계의 한 관계자는 “IFRS는 각 사가 재무제표 작성기준을 명확하게 잡고 알리면 된다는 것이 원칙”이라며 “이번 사안을 두고 고강도 제재가 현실화되면 기업들의 경영 불확실성이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