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손' 중국인 믿고 수십억 달러 썼는데…명품업계 '초비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들의 매출이 곤두박질치고 있다. 중국 명품시장의 거품이 꺼지면서다.
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의 경제 둔화와 주택시장 침체, 중국 정부의 반부패 정책 등으로 인해 중국의 중산층이 지갑을 닫으면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컨설팅 업체 디지털럭셔리그룹에 따르면 지난 몇 년간 급성장해온 중국의 명품시장은 올해 최대 15%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루이뷔통, 디올, 티파니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프랑스 명품 그룹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는 베르나르 아르노 회장이 지난해 6월 베이징을 방문해 주력 브랜드 루이뷔통의 플래그십 매장 개설을 올해 상반기로 계획하고 진두지휘했으나, 매장 오픈은 무산되고 내년까지 문을 열지 않을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통신은 유럽 명품 기업들이 중국에서 직면한 어려움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짚었다.
구찌 등을 보유한 케링그룹, LVMH 같은 기업들은 그간 중국의 명품 수요를 잡기 위해 수십억 달러를 중국 시장에 쏟아부었다. 베인앤컴퍼니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10년 사이 중국의 명품시장은 4배 이상 급성장해 660억달러 규모로 커졌다.
그러나 최근 명품 매장에 부는 찬바람은 매섭다. LVMH는 3분기 중국을 포함한 지역의 매출이 16% 감소했다고 보고했다. 케링그룹은 연간 수익이 2016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스위스 시계의 대중국 수출이 지난 9월 기준으로 지난해의 반토막이 됐다. 화장품 업체 로레알은 지난 분기 북아시아 매출이 6.5% 줄어들었다.
소비 트렌드 변화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젊은 소비층이 명품 구매 대신 여행이나 자기 계발 등에 더 많은 돈을 쓰고 있다는 것이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
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의 경제 둔화와 주택시장 침체, 중국 정부의 반부패 정책 등으로 인해 중국의 중산층이 지갑을 닫으면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컨설팅 업체 디지털럭셔리그룹에 따르면 지난 몇 년간 급성장해온 중국의 명품시장은 올해 최대 15%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루이뷔통, 디올, 티파니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프랑스 명품 그룹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는 베르나르 아르노 회장이 지난해 6월 베이징을 방문해 주력 브랜드 루이뷔통의 플래그십 매장 개설을 올해 상반기로 계획하고 진두지휘했으나, 매장 오픈은 무산되고 내년까지 문을 열지 않을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통신은 유럽 명품 기업들이 중국에서 직면한 어려움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짚었다.
구찌 등을 보유한 케링그룹, LVMH 같은 기업들은 그간 중국의 명품 수요를 잡기 위해 수십억 달러를 중국 시장에 쏟아부었다. 베인앤컴퍼니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10년 사이 중국의 명품시장은 4배 이상 급성장해 660억달러 규모로 커졌다.
그러나 최근 명품 매장에 부는 찬바람은 매섭다. LVMH는 3분기 중국을 포함한 지역의 매출이 16% 감소했다고 보고했다. 케링그룹은 연간 수익이 2016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스위스 시계의 대중국 수출이 지난 9월 기준으로 지난해의 반토막이 됐다. 화장품 업체 로레알은 지난 분기 북아시아 매출이 6.5% 줄어들었다.
소비 트렌드 변화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젊은 소비층이 명품 구매 대신 여행이나 자기 계발 등에 더 많은 돈을 쓰고 있다는 것이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