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집값은 떨어지고 전세값은 오른다"…수도권은 강보합세 전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내년 주택시장은 지역에 따른 양극화 현상 속에 매매가는 하락하고 전셋값은 상승한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6일 오후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2025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를 열어 내년도 부동산 시장 전망을 제시했다.
김성한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이날 발표에서 "시장 심리가 연초 대비 상당폭 회복됐지만 여전히 과거 대비 부담스러운 가격 수준"이라며 "지난 9월 이후 은행의 대출 심사 강화, 전반적인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올해 상반기에 나타났던 가격 수준을 보이기는 어려울 전망"이라고 밝혔다.
또한 수도권은 강보합세를 유지하나 지방은 하락세가 이어지며 지역에 따른 양극화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됐다.
이러한 지역이나 단지에 따른 가격차로 실제 느끼는 주택 가격 등락이 각자 다를 것으로 추정된다.
전셋값의 경우 전세 사기 등으로 나타나던 아파트 쏠림 현상 완화 등으로 올해보다는 상승폭이 다소 줄어들 전망이다.
또 월세로의 전환이 진행 중이나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시중 상품금리 인하 영향으로 전환 속도는 둔화할 것으로 건산연은 진단했다.
이와 함께 전세 사기로 하방 압력이 높았던 연립이나 다세대 등 비아파트의 임대가격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사업자의 매입임대 정책이 안정판 역할을 하면서 하락세가 다소 진정될 것으로 추정했다.
한편 내년도 건설 수주는 전년 대비 2.2% 증가한 210조4천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건설 수주는 2022년 248조4천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으나 2023년에는 16.8% 감소한 206조7천억원으로 감소했으며 올해도 0.4% 줄어든 205조8천억원이 예상되는 등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내년에는 사회기반시설(SOC) 예산은 감소하지만 추가 금리 인하와 정부의 주택정비사업 및 3기 신도시 등으로 하반기로 갈수록 건설수주가 회복될 전망이다.
건설 투자는 전년 대비 2.1% 줄어든 295조3천억원을 예상했다.
2022∼2023년 건축 착공이 감소한 영향이 2025년까지 건설투자 부진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 투자 감소를 점치는 이유다.
이지혜 연구위원은 "건설 수주는 추가적인 금리 하락과 정부의 주택공급 노력에 힘입어 점진적으로 회복하겠으나 건설 투자는 선행지수인 수주 및 착공 감소의 영향이 2025년까지 이어지며 부진한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6일 오후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2025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를 열어 내년도 부동산 시장 전망을 제시했다.
김성한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이날 발표에서 "시장 심리가 연초 대비 상당폭 회복됐지만 여전히 과거 대비 부담스러운 가격 수준"이라며 "지난 9월 이후 은행의 대출 심사 강화, 전반적인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올해 상반기에 나타났던 가격 수준을 보이기는 어려울 전망"이라고 밝혔다.
또한 수도권은 강보합세를 유지하나 지방은 하락세가 이어지며 지역에 따른 양극화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됐다.
이러한 지역이나 단지에 따른 가격차로 실제 느끼는 주택 가격 등락이 각자 다를 것으로 추정된다.
전셋값의 경우 전세 사기 등으로 나타나던 아파트 쏠림 현상 완화 등으로 올해보다는 상승폭이 다소 줄어들 전망이다.
또 월세로의 전환이 진행 중이나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시중 상품금리 인하 영향으로 전환 속도는 둔화할 것으로 건산연은 진단했다.
이와 함께 전세 사기로 하방 압력이 높았던 연립이나 다세대 등 비아파트의 임대가격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사업자의 매입임대 정책이 안정판 역할을 하면서 하락세가 다소 진정될 것으로 추정했다.
한편 내년도 건설 수주는 전년 대비 2.2% 증가한 210조4천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건설 수주는 2022년 248조4천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으나 2023년에는 16.8% 감소한 206조7천억원으로 감소했으며 올해도 0.4% 줄어든 205조8천억원이 예상되는 등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내년에는 사회기반시설(SOC) 예산은 감소하지만 추가 금리 인하와 정부의 주택정비사업 및 3기 신도시 등으로 하반기로 갈수록 건설수주가 회복될 전망이다.
건설 투자는 전년 대비 2.1% 줄어든 295조3천억원을 예상했다.
2022∼2023년 건축 착공이 감소한 영향이 2025년까지 건설투자 부진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 투자 감소를 점치는 이유다.
이지혜 연구위원은 "건설 수주는 추가적인 금리 하락과 정부의 주택공급 노력에 힘입어 점진적으로 회복하겠으나 건설 투자는 선행지수인 수주 및 착공 감소의 영향이 2025년까지 이어지며 부진한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