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도 AI로 무장 "새 서비스 도입해 고객 이탈 막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신아 카카오 대표 콘퍼런스콜
"메타처럼 다중 플랫폼 전략 구사
카카오톡-카나나 둘 다 키울 것"
"메타처럼 다중 플랫폼 전략 구사
카카오톡-카나나 둘 다 키울 것"
카카오가 해외 빅테크인 메타처럼 다중 플랫폼 전략을 펴기로 했다. 인공지능 비서(AI 에이전트)뿐 아니라 카카오톡에도 AI를 붙이기로 했다. 새로운 AI 서비스로 카카오톡 이용자의 앱 체류시간을 늘리겠다는 구상이다.
카카오는 7일 3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AI 에이전트로 개발 중인 ‘카나나’와 카카오톡의 사업 전략을 공개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사진)는 “카카오톡에도 AI 접목을 시도하고 있다”며 “올해 카카오톡 채널에서 상품 추천 AI 서비스인 ‘AI 커머스 MD’를 출시하겠다”고 말했다. 카카오톡 선물하기 서비스에서 이용자가 자신만의 상품기획자(MD를 둘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카카오톡은 카카오 실적에서 중요도가 가장 크다. 지난 3분기 이 메신저 앱의 광고·커머스 사업에서만 매출 5073억원이 나왔다. 불황에도 광고주가 늘면서 광고 메시지 사업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나 늘어난 덕을 봤다.
카카오는 AI 서비스를 통해 이 사업 매출을 지금보다 두 배 이상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 대표는 “카카오톡에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도입하려고 한다”며 “볼거리와 재미 요소를 확대해 이용자가 뚜렷한 목적 없이도 앱을 고루 탐색하게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카나나와 카카오톡이 서로 경쟁해 캐니벌라이제이션(자기 잠식)이 일어날 수 있다는 시장 우려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메타가 인스타그램, 스레드, 페이스북 등 여러 SNS를 공존시키는 전략을 카카오도 쓸 수 있다는 얘기다. 정 대표는 “메타도 사용성이 중복되지만, 생태계 내 충성 이용자층은 넓어지고 있다”며 “카카오톡은 사람 간 소통을 담당하는 메신저라면, 카나나는 대화하며 이용자의 상황과 맥락을 이해하는 초개인화 서비스”라고 설명했다.
AI 서비스로 인한 비용 문제는 여러 대규모언어모델(LLM)을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것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정 대표는 “난도가 낮은 작업엔 비용이 적은 자체 모델이나 미세 조정한 오픈소스 모델을 활용하고, 고난도 작업엔 해외 빅테크의 최첨단(SOTA) 모델을 도입해 비용을 합리적으로 쓰겠다”고 말했다. 카카오는 매개변수(파라미터) 수를 기준으로 자체 LLM을 경량급인 ‘나노’와 중간 규모인 ‘에센스’로 나눠 구축했다. 중량급 LLM인 ‘플래그’는 개발 단계다.
3분기 실적은 매출 1조9214억원, 영업이익 1305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보다 매출은 4% 줄었지만, 영업이익이 5% 늘었다. 콘텐츠 부문은 비핵심 사업을 정리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웹툰 자회사인 카카오픽코마가 지난 상반기 프랑스 법인 철수를 결정했고 카카오엔터테인먼트도 인도네시아와 대만에서 웹툰 서비스를 종료하기로 했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
카카오는 7일 3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AI 에이전트로 개발 중인 ‘카나나’와 카카오톡의 사업 전략을 공개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사진)는 “카카오톡에도 AI 접목을 시도하고 있다”며 “올해 카카오톡 채널에서 상품 추천 AI 서비스인 ‘AI 커머스 MD’를 출시하겠다”고 말했다. 카카오톡 선물하기 서비스에서 이용자가 자신만의 상품기획자(MD를 둘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카카오톡은 카카오 실적에서 중요도가 가장 크다. 지난 3분기 이 메신저 앱의 광고·커머스 사업에서만 매출 5073억원이 나왔다. 불황에도 광고주가 늘면서 광고 메시지 사업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나 늘어난 덕을 봤다.
카카오는 AI 서비스를 통해 이 사업 매출을 지금보다 두 배 이상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 대표는 “카카오톡에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도입하려고 한다”며 “볼거리와 재미 요소를 확대해 이용자가 뚜렷한 목적 없이도 앱을 고루 탐색하게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카나나와 카카오톡이 서로 경쟁해 캐니벌라이제이션(자기 잠식)이 일어날 수 있다는 시장 우려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메타가 인스타그램, 스레드, 페이스북 등 여러 SNS를 공존시키는 전략을 카카오도 쓸 수 있다는 얘기다. 정 대표는 “메타도 사용성이 중복되지만, 생태계 내 충성 이용자층은 넓어지고 있다”며 “카카오톡은 사람 간 소통을 담당하는 메신저라면, 카나나는 대화하며 이용자의 상황과 맥락을 이해하는 초개인화 서비스”라고 설명했다.
AI 서비스로 인한 비용 문제는 여러 대규모언어모델(LLM)을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것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정 대표는 “난도가 낮은 작업엔 비용이 적은 자체 모델이나 미세 조정한 오픈소스 모델을 활용하고, 고난도 작업엔 해외 빅테크의 최첨단(SOTA) 모델을 도입해 비용을 합리적으로 쓰겠다”고 말했다. 카카오는 매개변수(파라미터) 수를 기준으로 자체 LLM을 경량급인 ‘나노’와 중간 규모인 ‘에센스’로 나눠 구축했다. 중량급 LLM인 ‘플래그’는 개발 단계다.
3분기 실적은 매출 1조9214억원, 영업이익 1305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보다 매출은 4% 줄었지만, 영업이익이 5% 늘었다. 콘텐츠 부문은 비핵심 사업을 정리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웹툰 자회사인 카카오픽코마가 지난 상반기 프랑스 법인 철수를 결정했고 카카오엔터테인먼트도 인도네시아와 대만에서 웹툰 서비스를 종료하기로 했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