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KPMG "美 트럼프 수혜 국내 산업, 조선·건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7일 삼정KPMG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공언한 주요 정책을 중심으로 반도체, 자동차·이차전지, 에너지, 조선, 건설, 농식품, 방위, 인공지능(AI) 등 국내 주요 산업 영향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같이 전망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외교·안보 정책에서 일방주의와 비개입주의를 강화하며 동맹국 방위비 부담금 증액 등을 강조해 왔다. 중국에 고관세 60% 부과를 포함한 보호무역 조치 확대와 함께 전면적 디커플링 전략(De-Coupling) 등 강력한 통상 대응도 예고했다.
경제·통상 정책으로는 미국 노동자 보호와 무역 적자 해소를 목표로 보편관세 부과 및 양자 간 무역협정 강화에 방점을 두고 있다는 게 삼정KPMG의 분석이다. 공급망 측면에서는 미중 경제 분리를 추진하며 중국의 최혜국 대우 지위 철회, 대중 관세 인상, 필수품 수입 단계적 폐지 등을 계획하고 있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정책으로는 친환경·에너지 관련 규제 완화를 통한 저가 에너지 정책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제조업 중심의 경제 성장을 이룬다는 목표다.
'트럼프 2.0' 수혜 섹터로는 조선·건설업을 꼽았다. 조선 산업은 액화천연가스(LNG) 및 액화석유가스(LPG) 수요 증가로 에너지 운반선 건조에서 강점을 보이는 한국 조선업이 수혜를 입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삼정KPMG는 "트럼프 행정부의 화석 연료 중심 정책이 국내 조선 산업에 긍정적인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건설 산업은 트럼프 당선인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지속적으로 언급한 만큼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한국 건설사의 해외 사업 기회를 확대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트럼프 신임 행정부는 화석 연료 생산을 늘리고, 파리 기후협약 재탈퇴 등 친환경 정책을 약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정KPMG는 "이는 한국 기업의 ESG 부담을 완화하는 한편, 에너지 전환 속도가 늦어질 가능성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트럼프 당선인이 동맹국에 방위비 분담을 요구하는 자국 우선주의 정책을 펼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한미 방산 협력에는 일부 불확실성이 예상된다"며 "다만 글로벌 자주국방 강화 기조에 따라 한국 방산 산업의 수출 확대 기회도 견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삼정KPMG 경제연구원은 "트럼프 당선인의 정책이 국내 산업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특히 보호무역주의 및 미중 관계의 변화가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한국 기업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글로벌 공급망 구축, 수출국 다변화, 가격 전략 강화 등의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