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AI 검색으로 빅테크와 '맞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온 서비스 AI'로 수익화 시동
최수연 "생활 밀착형으로 승부
기술 개발 수준, 상향 평준화돼
적은 비용으로 상용화 가능해져"
내년 맥락 읽는 'AI브리핑' 출시
초개인화 쇼핑, 3D 지도도 도입
최수연 "생활 밀착형으로 승부
기술 개발 수준, 상향 평준화돼
적은 비용으로 상용화 가능해져"
내년 맥락 읽는 'AI브리핑' 출시
초개인화 쇼핑, 3D 지도도 도입
네이버가 인공지능(AI) 기술을 자사 서비스에 전면 도입한다. 지금까지 AI 기술 개발에 초점을 맞췄다면 앞으로는 서비스와 결합하는 ‘온 서비스 AI’ 전략으로 이용자 편의를 높이고 수익도 올리겠다는 전략이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지난해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한 이후 1년 동안 사용자, 판매자, 비즈니스 파트너 등을 위한 생성형 AI 기술 라인업을 갖췄다”며 “이제는 네이버의 기술을 서비스에 밀착할 시기”라고 말했다.
핵심은 검색 서비스다. 단순히 정보를 찾는 일부터 쇼핑, 예약 등 다양한 행위가 검색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챗GPT 서치, 퍼플렉시티 같은 생성형 AI 기반 검색 서비스가 떠오르고 있는 만큼 네이버도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네이버는 이날 새로운 검색 서비스인 ‘AI 브리핑’을 공개했다. 현재 통합 검색 기능에 AI와 개인화 추천 기술을 결합한 생성형 AI 검색 서비스다. 출처 문서를 연결해 세부 정보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콘텐츠와 연관된 클립, 블로그, 카페 등 다양한 콘텐츠를 연결하는 것은 물론 쇼핑, 플레이스 등 버티컬 서비스까지 이어준다.
네이버는 사용자 질문을 AI가 분석해 필요한 질문을 생성하는 ‘유저 인사이트’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의 팩트 체크를 돕는 ‘오토 브라우징’ 등으로 AI 검색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최재호 네이버 발견·탐색 프로덕트 부문장은 “다른 AI 검색 서비스는 대규모언어모델(LLM)의 환각 문제를 극복하고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검색 결과를 사용했다”며 “반면 AI 브리핑은 매일 수천만 명이 사용하는 네이버 검색 결과 자체를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LLM을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검색 인프라 강화를 위해 공공 사이트 등 신뢰도 높은 콘텐츠를 강조하는 기술을 고도화하고 색인 규모를 기존 대비 50% 확대했다. AI 브리핑은 내년 상반기부터 서비스할 예정이다.
네이버 지도는 3차원(3D) 기능을 강화한 ‘거리뷰 3D’ 서비스를 도입한다. 증강현실(AR) 내비게이션과 실내 지도, 가상현실(VR) 실내 투어 등 기능도 새로 선보인다. 광고 플랫폼에도 AI 기술을 적용한 ‘애드부스트(ADVoost)’를 구축했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AI 기술총괄은 “오픈AI도 그렇고 생성형 AI는 획기적인 성능 향상이 어려운 상향 평준화 단계에 이르렀다”며 “네이버는 안정적으로 기술 고도화를 하면서 AI로 만들어 낼 매출 대비 자본지출(CAPEX) 규모가 크지 않은 수준까지 도달했다”고 설명했다. 비용을 적게 쓰면서 상용화가 가능한 AI를 기존 서비스에 녹여내겠다는 얘기다.
최 대표는 “국내 AI 생태계를 지키기 위해 매출의 20~25% 규모로 연구개발(R&D) 투자를 계속할 것”이라며 “AI 스타트업과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임팩트 펀드를 조성하고 향후 6년간 1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말했다.
이승우/이주현 기자 leeswoo@hankyung.com
검색에 AI·개인화 접목
네이버는 1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단24’를 열고 이 같은 계획을 발표했다. ‘단’은 플랫폼의 순우리말이다. 네이버는 지난해부터 이 행사를 통해 최신 기술과 서비스 현황을 공개하고 있다.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지난해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한 이후 1년 동안 사용자, 판매자, 비즈니스 파트너 등을 위한 생성형 AI 기술 라인업을 갖췄다”며 “이제는 네이버의 기술을 서비스에 밀착할 시기”라고 말했다.
핵심은 검색 서비스다. 단순히 정보를 찾는 일부터 쇼핑, 예약 등 다양한 행위가 검색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챗GPT 서치, 퍼플렉시티 같은 생성형 AI 기반 검색 서비스가 떠오르고 있는 만큼 네이버도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네이버는 이날 새로운 검색 서비스인 ‘AI 브리핑’을 공개했다. 현재 통합 검색 기능에 AI와 개인화 추천 기술을 결합한 생성형 AI 검색 서비스다. 출처 문서를 연결해 세부 정보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콘텐츠와 연관된 클립, 블로그, 카페 등 다양한 콘텐츠를 연결하는 것은 물론 쇼핑, 플레이스 등 버티컬 서비스까지 이어준다.
네이버는 사용자 질문을 AI가 분석해 필요한 질문을 생성하는 ‘유저 인사이트’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의 팩트 체크를 돕는 ‘오토 브라우징’ 등으로 AI 검색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최재호 네이버 발견·탐색 프로덕트 부문장은 “다른 AI 검색 서비스는 대규모언어모델(LLM)의 환각 문제를 극복하고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검색 결과를 사용했다”며 “반면 AI 브리핑은 매일 수천만 명이 사용하는 네이버 검색 결과 자체를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LLM을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검색 인프라 강화를 위해 공공 사이트 등 신뢰도 높은 콘텐츠를 강조하는 기술을 고도화하고 색인 규모를 기존 대비 50% 확대했다. AI 브리핑은 내년 상반기부터 서비스할 예정이다.
네이버 지도는 3차원(3D) 기능을 강화한 ‘거리뷰 3D’ 서비스를 도입한다. 증강현실(AR) 내비게이션과 실내 지도, 가상현실(VR) 실내 투어 등 기능도 새로 선보인다. 광고 플랫폼에도 AI 기술을 적용한 ‘애드부스트(ADVoost)’를 구축했다.
“매출 20~25% R&D에 지속 투자”
네이버는 2021년 세계에서 세 번째로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를 개발하는 등 독자 AI 모델 개발에 주력해왔다. 국내 테크 기업 가운데 AI 모델부터 서비스까지 독자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유일한 기업이다. 네이버가 온 서비스 AI 전략을 들고나온 이유는 상용화를 통해 안정적 시장 기반을 조기에 마련하기 위해서다.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AI 기술총괄은 “오픈AI도 그렇고 생성형 AI는 획기적인 성능 향상이 어려운 상향 평준화 단계에 이르렀다”며 “네이버는 안정적으로 기술 고도화를 하면서 AI로 만들어 낼 매출 대비 자본지출(CAPEX) 규모가 크지 않은 수준까지 도달했다”고 설명했다. 비용을 적게 쓰면서 상용화가 가능한 AI를 기존 서비스에 녹여내겠다는 얘기다.
최 대표는 “국내 AI 생태계를 지키기 위해 매출의 20~25% 규모로 연구개발(R&D) 투자를 계속할 것”이라며 “AI 스타트업과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임팩트 펀드를 조성하고 향후 6년간 1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말했다.
이승우/이주현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