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 "트럼프 2기, 대미흑자 큰 한국·대만·베트남도 요주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트럼프 정부, 국가간 양자적자 감소에 집중할 것"
"트럼프 관세, 아시아 개방경제 국가에 더 큰 고통"
"트럼프 관세, 아시아 개방경제 국가에 더 큰 고통"
골드만삭스는 트럼프의 승리로 중국뿐 아니라 한국·대만·베트남의 대미 무역도 더 엄격한 감독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11일(현지시간) CNBC가 인용한 보고서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중국과의 양자간 무역 적자는 다소 줄었으나 다른 아시아 수출국과의 적자가 상당히 증가함에 따라 이들 국가도 곤경에 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 대만, 특히 베트남은 미국과의 무역에서 대규모 무역 흑자를 거두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과 대만은 반도체 공급망에서의 독점적 위치를 반영하고 있으며 베트남은 미국 기업이 중국에 의존해온 공급망을 다각화하는 노력에 따른 혜택을 입었다고 덧붙였다.
한국의 경우 지난 해 대미 무역흑자는 역대 최대인 444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며 자동차수출이 대미 전체 수출의 약 30%를 차지한다.
대만의 올해 1분기 대미수출은 246억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작년 같은 기간보다 57.9% 증가했다. 수출 증가가 가장 큰 분야는 정보 기술과 시청각 제품이다. 베트남의 올 1월부터 9월까지 대미무역흑자는 900억달러에 달한다.
골드만삭스는 인도와 일본도 대미 무역 흑자를 기록하고 있으나 일본의 흑자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고 인도의 흑자는 최근 몇 년 동안 적절한 선에서 증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분석가는 앞으로 이들 아시아 무역 파트너가 가능한 미국으로 수입을 전환하는 등의 노력으로 주의를 돌리려 노력할 것으로 예상했다.
바클레이즈은행의 분석가들도 지난 8일 보고서에서 트럼프는 신흥 아시아 국가에 무역정책을 통해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적었다.
세계은행 경제학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한 관세는 아시아의 개방경제 국가에 더 큰 고통을 안겨줄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대만이 한국이나 싱가포르보다 그같은 위협에 더 노출돼있다고 적었다. 그는 또 “태국과 말레이시아가 중간 정도의 타격을, 태국은 좀 더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추정했다.
미국의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은 대중 무역적자는 2016년 3,468억 3,000만 달러에서 2023년 2,791억 1,000만 달러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네시아의 전 무역부 장관인 마리 팡게스투는 지난 주 트럼프 행정부 1기에서의 관세로 미국과 중국의 무역이 감소하고 대신 베트남, 대만, 멕시코, 인도네시아 등과의 무역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실제로 공급망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부품이 여전히 중국에서 오고 있다”며 이를 공급망 연장이라고 일컸었다.
따라서 "트럼프 2.0에서는 이들 지역과의 무역이 여전히 중국과 관련돼있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양자무역에서 적자가 있는 모든 국가들과의 무역에 대한 보호가 강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골드만 삭스는 한편 관세와 관계없이 중국에서 동남아시아, 특히 인도와 멕시코로 공급망을 이전하려는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트럼프 당선자는 모든 수입품에 10%~20%의 일괄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에서 수입되는 제품에는 60%~10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의향이 있다고 공언해왔다. 골드만은 미국이 2025년 상반기에 중국 제품의 평균 20%에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11일(현지시간) CNBC가 인용한 보고서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중국과의 양자간 무역 적자는 다소 줄었으나 다른 아시아 수출국과의 적자가 상당히 증가함에 따라 이들 국가도 곤경에 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골드만 삭스의 아시아태평양 수석 경제학자 앤드류 틸튼은 ″트럼프와 몇몇 유력한 임명자들이 양자간 무역적자 감소에 집중하면서 결국 미국이 다른 아시아 경제권에 관세를 부과하는 결과를 낳을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대만, 특히 베트남은 미국과의 무역에서 대규모 무역 흑자를 거두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과 대만은 반도체 공급망에서의 독점적 위치를 반영하고 있으며 베트남은 미국 기업이 중국에 의존해온 공급망을 다각화하는 노력에 따른 혜택을 입었다고 덧붙였다.
한국의 경우 지난 해 대미 무역흑자는 역대 최대인 444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며 자동차수출이 대미 전체 수출의 약 30%를 차지한다.
골드만삭스는 인도와 일본도 대미 무역 흑자를 기록하고 있으나 일본의 흑자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고 인도의 흑자는 최근 몇 년 동안 적절한 선에서 증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분석가는 앞으로 이들 아시아 무역 파트너가 가능한 미국으로 수입을 전환하는 등의 노력으로 주의를 돌리려 노력할 것으로 예상했다.
세계은행 경제학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한 관세는 아시아의 개방경제 국가에 더 큰 고통을 안겨줄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대만이 한국이나 싱가포르보다 그같은 위협에 더 노출돼있다고 적었다. 그는 또 “태국과 말레이시아가 중간 정도의 타격을, 태국은 좀 더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추정했다.
미국의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은 대중 무역적자는 2016년 3,468억 3,000만 달러에서 2023년 2,791억 1,000만 달러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트럼프 2.0에서는 이들 지역과의 무역이 여전히 중국과 관련돼있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양자무역에서 적자가 있는 모든 국가들과의 무역에 대한 보호가 강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골드만 삭스는 한편 관세와 관계없이 중국에서 동남아시아, 특히 인도와 멕시코로 공급망을 이전하려는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트럼프 당선자는 모든 수입품에 10%~20%의 일괄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에서 수입되는 제품에는 60%~10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의향이 있다고 공언해왔다. 골드만은 미국이 2025년 상반기에 중국 제품의 평균 20%에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