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조원 드는 신약 개발…'오픈 이노베이션' 공동개발로 '윈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바이오 기업이나 중소 제약사
초기 연구 데이터 제공해 R&D 비용 확보
제약사는 막대한 자금 드는 임상 개발 집중
유한양행 '렉라자' 성공으로 협업 바람
유망기술 보유한 바이오 기업에 선제적 투자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과 협력도 늘어
초기 연구 데이터 제공해 R&D 비용 확보
제약사는 막대한 자금 드는 임상 개발 집중
유한양행 '렉라자' 성공으로 협업 바람
유망기술 보유한 바이오 기업에 선제적 투자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과 협력도 늘어
![Getty Images Bank](https://img.hankyung.com/photo/202411/AA.38609338.1.jpg)
13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내 제약사들이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수조원에 이르는 신약 개발 비용에 대한 실패 부담을 줄이려는 노력이 활발하다. 바이오 기업이나 중소 제약사는 초기 연구 데이터를 제공하는 대신 연구개발(R&D) 비용을 확보하고 제약사는 막대한 자금이 드는 임상 개발에 집중할 수 있다.
○렉라자 성공이 부른 오픈 이노베이션 열풍
![수조원 드는 신약 개발…'오픈 이노베이션' 공동개발로 '윈윈'](https://img.hankyung.com/photo/202411/AA.38628223.1.jpg)
일동제약의 R&D 자회사 유노비아는 지난 5월 대원제약과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를 공동 개발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소화성 궤양용제 시장에서 점유율이 꾸준히 늘고 있는 3세대 위장약(P-CAB·칼륨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을 개발한다. 대원제약은 유노비아가 보유한 후보물질에 대한 임상 개발을 진행하고 국내 상업화 권리를 갖게 됐다.
종근당은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유전자치료제를 개발한다. 4월 국내 바이오 기업 큐리진과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고 암세포 증식 및 전이에 관련된 유전자(mTOR·STAT3)를 동시 표적하는 방광암 치료제를 개발한다. 종근당은 2022년 서울성모병원에 유전자치료제 연구센터(Gen2C)를 운영하는 등 유전자치료제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선제적 투자로 유망 신약 후보군 확보
초기 단계 투자를 통해 유망 기술을 보유한 바이오 기업과의 협력 관계를 선점하려는 시도도 있다. 감기약 ‘콜대원’의 괄목할 성과로 매출 5000억원대 제약사 반열에 오른 대원제약은 서울바이오허브와 함께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8월 에큐리바이오, 엔파티클 등 2개 기업을 선발해 개발 초기 단계부터 협력하기로 했다.눈에 띄는 기술을 가진 기업이 있다면 전략적투자자(SI)로 경영에 직접 참여하기도 한다. 동구바이오제약은 5월 큐리언트에 100억원을 투자해 최대주주에 올라선 뒤 경영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2021년부터 뷰노, 디앤디파마텍, 지놈앤컴퍼니 등 국내 바이오 기업에 투자를 지속해 왔다.
○해외 협력 사례도 늘어
최근에는 국내 제약사와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 간 협력이 늘어난 점도 눈에 띈다. JW중외제약은 인공지능(AI) 기반 정밀의료 분야에서 글로벌 선두주자인 미국 템퍼스AI와 협력한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템퍼스AI가 보유한 임상 기록, 병리 이미지 등의 멀티모달 데이터와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 모델을 활용해 JW중외제약의 신약 후보물질을 검증한다.기술 도입을 통해 신약 개발 속도를 높이기도 한다. 올 5월 HK이노엔은 중국 사이윈드 바이오사이언스로부터 임상 3상 단계에 있는 비만약에 대한 기술이전 및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이전 단계 임상을 통해 안전성 및 내약성이 확인된 물질을 도입해 비만약을 신속히 개발하겠다는 계획이다. 곽달원 HK이노엔 대표는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비만 치료시장에 본격 진출한다”며 “국내 비만치료 시장에서 1000억원 이상의 성과를 내는 제품으로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애 기자 0ae@hankyung.com